지방과 축문
○ 지방
예전에는 집집마다 조상의 위패(位牌), 즉 신주(神主)를 모신 사당이 있었다. 사당은 조선시대 양반층이 먼저 만들기 시작해서 조선 후기가 되면 각계각층으로 일반화되었다. 가난한 사람들도 집안 한쪽에 간단하게나마 조상의 위패를 모신 자리를 마련하였다. 제사를 지낼 때는 이 위패를 모셔다 지냈다. 그런데, 오늘날은 일반적으로 가정에 사당도 없고 조상의 위패도 없다. 그러니 제사 등을 지낼 때 형편상 종이에 글을 적어 임시로 위패를 대신 삼는 것이 바로 지방이다.
▷지방은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쓰며 길이는 22㎝ 넓이 6㎝ 정도로 한다. 지방을 쓸때에는 몸을 청결하게하고 남자의 지방을 쓸때에는 벼슬이 없으면 學生(학생) 또는 處士(처사)로 쓰고 벼슬이 있으면 관직을 쓴다. 남자 지방의 考는 父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父라하고 사후에는 考라하며 비(비)는 母(모)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母(모)라하고 사후에는 비(비)라한다.
▷ 여자의 경우에는 孺人(유인) 다음에는 본관 성씨를 쓰며 아내의 경우 자식이 있어도 남편이 주제가 되며 자식의 경우에는 손자가 있어도 아버지가 주제가 된다.
지방 쓰는 법
제사를 지낼 때 부모 한쪽이 생존해 있을 경우는 단독으로 지내니 지방에도 한 분만 쓴다. 그런데, 두 분 다 돌아가시면 같이 지내므로 지방에 부모를 같이 쓴다. 이때 오른쪽에 어머니의 신위를 쓰고 왼쪽에 아버지의 신위를 쓴다.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의 지방 쓰는 법.
지방에는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제주, 祭主)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를 적고, 고인의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는다. 각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고인과 제주의 관계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 조부모는 ‘조고(祖考)’, ‘조비(祖?)’,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라 하여 앞에 현(顯)을 써서 ‘顯考(현고), 顯?(현비), 顯祖考(현조고), 顯祖?(현조비), 顯曾祖考(현증조고), 顯曾祖?(현증조비)’라고 쓴다. 남편은 顯?(현벽)이라고 쓰며, 아내는 ‘顯(현)’을 쓰지 않고 亡室(망실) 또는 故室(고실)이라 쓴다. 형은 顯兄(현형), 형수는 顯兄嫂(현형수), 동생은 亡弟(망제), 또는 故弟(고제), 자식은 亡子(망자), 또는 故子(고자)라고 쓴다.
2. 고인의 직위
전통적으로는 남자 조상이 벼슬을 한 경우에는 벼슬의 이름을 쓰고, 여자 조상은 남편의 급에 따라서 貞敬夫人(정경부인), 貞夫人(정부인), 淑夫人(숙부인) 등의 호칭을 나라에서 받았기 때문에 그 호칭을 썼다. 벼슬을 안 한 경우 남자 조상은 ‘學生(학생)’이라 쓰고, 그 부인은 ‘孺人(유인)’이라 썼다.
3. 고인의 이름
남자 조상의 경우 모두 ‘府君(부군)’이라고 쓰며, 여자조상이나 아내는 본관과 성씨(사례에서는 ‘김해 김씨’)를 쓴다. 자식이나 동생의 경우 이름(사례에서는 ‘길동’)을 쓴다.
백숙부모, 형제, 부부, 자식의 지방 쓰는 법.
다양화된 현대 사회에서는 공직이 아니더라도 사회적으로 지위를 얻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여자가 공직을 지낸 경우도 흔하다. 예를 들어 밀양 박씨 여자가 서기관을 지낸 경우 현대 사회상에 맞추어 직위에 ‘서기관’이라고 쓸 수도 있을 것이다.
* 지방(신위) 쓰는 법
전통식으로 지방을 쓰시는 가정, 지역인 경우,
길이 2자(약60cm) 너비 2자6치(약78cm)의 백지를 12간으로 접어서
접힌 선 11개를 오른쪽에서부터 1-11로 번호를 가정해주시고
오른쪽부터 1선과 2선을 겹쳐 왼쪽으로 접고 3선은 건너 뛴 다음
4선을 기준으로 하여 왼쪽의 부분을 오른쪽으로 접습니다.
5선을 기준으로 다시 왼쪽으로 접으면 6,7,8,9,10,11선이 보이게 되는데
이를 접어진 그대로 뒤집어서 6선을 왼쪽으로 싸서 접으면 7,8,9,10,11선이 남게 됩니다.
위 아래의 일정 부분을 접어주고 8선과 10선을 오른쪽으로 접은 뒤
11선을 안으로 끼워 넣으면 완성됩니다.
현대식의 지방 쓰는 방법은 고인의 사진으로 대체를 하시거나 간결하게 지방을 쓰시는데요,
너비 6cm, 길이 22cm 정도의 한지 또는 백지 위에 먹으로 지방을 씁니다.
지방의 경우에는 제사의 주체가 되시는 조상님과의 관계에 따라서
명시되는 내용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제사를 모시는 분들께서는 꼭 어느 분의 제사인지 반드시 확인을 하시고
해당 사항에 맞는 알맞은 내용을 써주셔야 합니다.
남자 지방의 경우에는 중간에 학생學生이라고 쓰며
부인의 경우에는 보통 유인孺人이라고 씁니다.
양위 지방일 경우에는 좌측에 남자, 우측에 여자 지방을 함께 씁니다.
부모님 께서 벼슬이 있을 경우 관직명을 쓴다
(현고 도지사 부군 신위) 라고 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