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금북정맥 제10-7구간(모래재~돌고개)
◈ 산행코스 : 모래재 →봉학사지 5층석탑→보광산정상석→보광산→406.6봉→임도→소매리갈림길→고리터고개→소암리갈림길→백마산갈림길→삼각점→내동고개→보천고개(토골고개)→오대산 갈림길→오대산 왕복→물고리고개→가정자고개→행치고개(반기분생가)→큰산→임도정상→514.9봉→삼실고개→풋내고개(밤나무고개)→삼각점(352.7봉)→돌고개
◈ 산 행 지
▶ 들머리 : (모래재)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 수암리 산49
▶ 날머리 : (돌고개)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초전리 산73-1
◈ 산행거리
▶ 전체거리 : 22.0Km (7시간14분 (휴식 0시간 52분 포함))
▶ 접속거리 : 0Km ( )
▶ 도상거리 : 22.0Km (7시간14분 (휴식 0시간 52분 포함))
◈ 산행일자 : 2022年 06月 04日 土
◈ 날 씨 : 맑음
◈ 누 구 랑 : 명산클럽 한북정맥런칭팀들과~~
◈ 교 통 편 : 명산클럽 달구지와
◈ 산행트랙 :
◈ 산행지도 :
◈ 사진 및 흔적 :
☞ 주중에 설악산을 다녀온 후 몸이 영 좋지가 않다. 사족보행을 많이해서 그런지 컨디션이 좋지가 않다.
그래도 한남금북정맥을 위해서 출발을 하였다.
이번 코스는 모래재에서 시작해서 돌고개로 하산하는 22km의 거리다. 초반 등산로는 고속도로지만 마지막 후미구간은
조금 오르내림이 있는 코스이고 반기문생가에서 큰산 오르는 구간은 조금 힘들게 올라야 할것 같다.
날씨도 덥고 심한 가뭄으로 인하여 힘들겠지만 오늘도 열심히 가볼 생각이다.
☞ 모래재에 있는 의병격전지 앞에서 단체 샷을 하고서 출발 함..
마지막 휴게소를 들리지 않아서인지 화장실 땜에 여럿이 고생을 하고 있다.~~
☞ 저수지를 지나 굴다리를 지나 좌측으로 진행하면 우측에 등산로가 있음.
☞ 이곳 묘지옆에서 등로를 높이면 보광산 정상을 만날수 있음.
☞ 등로를 높여서 만나는 임도
임도를 건너 좌측 보광사 방향으로 진행~~
☞ 보광사 갈림길~
보광사는 패스하고 바로 진행 함.
☞ 보광사 봉학사지 오층석탑~~
이곳에서 돌탑 뒷 좌측에 있는 보광산 정상석이 있는곳에서 인증 후 보광산을 거쳐서 진행함.
보광산은 지도상 정상과 정상석이 따로 있고 꽤 멀리 떨어져 있음.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의 문화재)
1.괴산 봉학사지 오층석탑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
지 정 일 1976.12.21
소 재 지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 모래재로시동2길 231 (사담리 산1)
시 대 고려시대
이 석탑은 기단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채, 평평한 돌 위로 5층의 탑신이 올려져 있다. 탑신의 1층 몸돌은 2개의 돌로 이루어졌고, 나머지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다. 1층 몸돌은 큰편이고, 2층 몸돌에서 급격히 낮아지다가 5층까지는 비슷한 크기를 유지한다. 각 층 지붕돌은 두꺼운 편이며, 밑면에는 5단씩의 받침을 두었다.
전체적으로 비례가 좋지 않고, 지붕돌이 두꺼워진 점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 작품으로 짐작된다. 일제시대에 쓰러졌던 것을 1967년 마을 주민들이 다시 세워놓은 것이다.
☞ 보광산 정상석 도착 후 인증을 마치고 바로 진행 함
☞ 고리티재 갈림길.
이곳에서 고리티재로 바로가면 보광산 정상을 볼수가 없음.
보광산 정상을 들렸다가 일행들을 따라 감.
☞ 보광산 정상(지도에 표기된곳)
정상에는 아무것도 없다~~~~~~
☞ 406.6봉
☞ 삼각점 바로 아래에 있는 소암갈림길.
☞ 삼각점~~~
☞ 보광산 1.5km 지점 표지목.
☞ 임도. 보광산 1.6km 지점
☞ 보광산 1.9km 지점 표지목.
☞ 고리티고개 도착.
보광산 2.0km 지점 표지목.
☞ 보광산 2.4km 지점 표지목.
☞ 보광산 2.8km 지점 표지목.
이 지점부터 일행들과 함께 이동함. 등산로가 좋아 진행 속도가 엄청 빠르다.
☞ 두타분맥분기점. 보광산 4.0km 지점 표지목.
백마산을 갈려면 이곳에서 좌측으로 지행해야 됨. 잠깐 휴식을 취하고 삼각점까지만 갔다가 옴
☞ 삼각점.
백마산 정상까지 1.7km 남은 지점
☞ 내방고개.
삼각점을 들렸다가 오니 일행들이 다 가고 없다.
☞ 삼각점.
☞ 한참이 지나서 따라 잡은 일행들~~
☞ 토골(보천)고개.
450년된 느티나무가 떡하니 자리를 잡고 있다.
점심은 이곳말고 오대산 갈림길에서 하기로 하고 등로를 높인다.
☞ 오대산 갈림길에서 식사 후 한남금북정맥에서 벗어나 있는 오대산 정상
☞ 물고리고개
☞ 반기문생가가 있는 행치마을까지 2.2km나 남은 상황
☞ 가정자고개
☞ 달성석재~~
행치마을도착
☞ 행치재에서 굴다리를 지나면 만나는 상당가든과 반기문생가 주차장
☞ 반기문생가 전경
☞ 이곳에서부터 큰산까지 1.17km 열심히 가보자
☞ 큰산(보덕산) 짜기 0.8km 남은 지점.
여기서부터 큰산까지 가파르게 등로를 치고 올라야 함.
☞ 큰산 바로 아래에 있는 큰산 등산로
☞ 큰산 정상 도착 후 인증을 마치고 일행들과 함께 바로 진행
☞ 임도 정상
☞ 삼실고개
☞ 풋내고개
이곳에서 한번 더 가파르게 등로를 높인다.
☞ 삼각점이 있는 352.7봉.
이곳을 통과 후 한번 더 등로를 살짝 높이고 나면 돌고개가 나옴.
☞ 돌고개 도착.
여기서 오늘의 산행 마무리 . 한남금북정맥은 계곡이 없아 씻기가 힘듬.
그래서 씻을물을 따로 들고 다니면서 씨소 있는중임.
☞ 뒷풀이는 음성읍네서 어탕국수로 ~~
경상도 사람입에는 안 맞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