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림은 제1차 선거법 개정으로도 혜택을 받지 못한 노동자들이 선거권 획득을 위해 런던에서 대규모 집회를 개최한 상황을 풍자한 것이다. 당시 노동자들은 정치적 권리를 주장하며 의회에 청원서를 제출하려 하였으나, 존 러셀 내각은 이를 완강히 거부하였다. |
① 코민테른을 인정해야 합니다.
② 권리 장전을 승인해야 합니다.
③ 브나로드 운동을 확대해야 합니다.
④ 인민헌장의 내용을 전면 수용해야 합니다.
⑤ 러다이트 운동에 대한 탄압을 중지해야 합니다.
<정답> ④ 챠티스트(인민헌장) 운동
<세계사. 금성. 2014. 264쪽>
영국에서는 비교적 순조롭게 자유주의 개혁이 진행되었다. 무엇보다 종교로 차별받지 않도록 법적 보완이 이루어졌다. 심사법이 폐지되어 신교도들에게도 관직이 허용되었고, 가톨릭 해방법이 제정되어 구교도들에 대한 차별이 철폐되었다.
1832년에는 선거법 개정이 이루어져 부패 선거구가 없어지고, 신흥 상공업자들을 비롯한 중산 계급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다. 그러나 선거법 개정의 혜택을 받지 못한 노동자들은 선거권을 비롯한 정치적 권리를 쟁취하기 위해 인민 헌장을 내걸고 차티스트 운동을 전개하였다. 비록 차티스트 운동은 실패하였으나, 훗날 제2차, 제3차 선거법 개정으로 노동자들에게도 선거권이 주어졌다.
한편, 곡물법과 항해법이 폐지되는 등 경제 분야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완화되어 자유 무역 체제가 확립되었다. 이로써 영국은 자윶의적 경제 체제를 수립하고, 산업화의 성과를 바탕으로 세계적인 강대국으로 부상할 수 있었다.
① 코민테른을 인정해야 합니다.
<세계사. 금성. 2014. 336쪽> 러시아 사회주의 혁명 이후 레닌이 각 나라의 사회주의자들을 연결하는 코민테른을 건설
② 권리 장전을 승인해야 합니다.
<세계사. 금성. 2014. 250쪽>
찰스 2세는 가톨릭교도를 우대하고, 전제 정치를 실시하려고 하였다. 이에 의회는 국교도가 아니면 공직자 취임을 금지하는 심사법과 법적 근거가 없이는 인신의 체포 · 구속을 금지하는 인신보호법을 제정하였다. 이때부터 국왕을 옹호하는 토리당과 의회를 존중하는 휘그당이 나타나 서로 대립하게 되었다.
찰스 2세의 뒤를 이은 제임스 2세는 친가톨릭 정책을 펼치고 심사법과 인신 보호법을 폐지하는 등 전제 정치를 단행하였다. 결국 의회는 국왕을 폐위하고, 공주인 메리와 그의 남편 윌리엄을 공동 왕으로 추대하였다. 메리와 윌리엄은 즉위한 직후 의회가 제정한 권리 장전을 승인하였다(1689). 명예혁명으로 영국에서는 국왕이 의회 속에 있다는 전통이 수립되고, 의회 중심의 안정적인 입헌 군주제의 토대가 마련되었다. 그 후 앤 여왕 때에는 스코틀랜드를 병합하여 대영 제국이 성립되었다.
③ 브나로드 운동을 확대해야 합니다. - 19세기 말 러시아
<세계사. 금성. 2014. 250쪽>
러시아의 현실에 절망한 많은 지식인(인텔리겐치아)들이 차르 전제정에 맞서 혁명 운동에 투신하였다. 이들은 무지한 농민을 계몽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생각하여, '브나로드(민중 속으로)' 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하였다. 이들을 '나로드니키(인민주의자)'라고 부른다.
* 브나로드 운동 : '브나로드(v narod)'란 러시아 말로 '민중 속으로'라는 뜻이다. 당시 러시아의 지식인들은 농민을 대상으로 급진적 혁명사상을 전파하기 위해 계몽 활동을 벌였다. 1873년부터 시작된 이 운동은 많은 지식인들이 농촌으로 들어가면서 정점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 운동은 정작 농민들로부터는 별로 호응을 얻지 못하였고, 주동자들이 체포되면서 막을 내렸다.
우리나라에서는 1920년대부터 일본의 유학생과 지식인을 통해 브나르도 운동이 소개되다가 1931년 동아일보사 주도로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문맹 퇴치를 목적으로 시작한 이 운동은 많은 학생들이 참여하여 적잖은 효과를 거두었으나 조선 총독부의 명령으로 중단되었다.
④ 인민헌장의 내용을 전면 수용해야 합니다.
⑤ 러다이트 운동에 대한 탄압을 중지해야 합니다.
<세계사. 금성. 2014. 275쪽> 산업 혁명에 이후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고통이 기계 탓이라고 생각하여 대대적인 기계파괴운동(러다이트 운동)을 전개하였다. 기계 파괴 운동이 진압된 후에는 차티스트 운동이 등장하여 노동자들의 정치적 권리 획득을 시도하였으나 이 또한 실패로 돌아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