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그릇 心椀과
함께 배우는 불교
제 1110편
* 한국 불교(韓國佛敎)
역대 선사(歷代 禪師(祖師))
오도송(悟道頌)
오도송(悟道頌)이란 무엇인가 ?
불교(佛敎)를
공부(功夫)하는
수행자(修行者)가
자신의 깨달음을 읊은
선승(禪僧)의 게송(偈頌)
가운데(中) 하나를
오도송(悟道頌)
이라고 한다.
오도송(悟道頌)과
열반송(涅槃訟)은
게송(偈頌)의 하나로써
구체적으로
비교해서 설명하면
고승(高僧)이
자신만의 깨달음(覺)을
노래(歌, 句)한 것이
바로
오도송(悟道頌)이며
고승(高僧)이
자신의 임종(臨終) 전에
남겨놓고 가는 노래(歌, 句)를
열반송(涅槃訟이라고
한다.
게송(偈頌)이란
불교의 가르침(敎義)을
함축(含縮 집약)하여
표현(表현)하는
운문체(韻文體)의
짧은 시구(詩句 문자)를
말하는데
곧 선시(禪詩) 내지
또는 선어(禪語 문장)를
이르는 말이다.
본래(本來)
게(偈)와 송(頌)은
같은 의미로
《게(偈)》
라는 글자(字)는
산스크리트어(梵語)
《가타(gatha)》의
음을 빌려와(音借) 따서
만든 말이고
《송(頌)》
이라는 글자(字)는
《가타(gatha)》를
한문(漢文)으로 번역한
것이다.
이렇듯
자신의 깨달음(正等覺)을 읊은
선승(禪僧)의 게송(偈頌)
역대(歷代)
조사(佛祖師 선사)
스님(高僧)들의
게송(偈頌)
즉,
오도송(悟道頌)과
열반송(涅槃訟)은
오랫동안
수련과정(修練過程)을
통해 함축된 의미로
세속(사바세계)의
사람(大衆)들에게
무엇인가를 전(傳)하고
말(說法 이야기)하고저
하는 것이며
후세(후학)들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역사적(歷史的)
문헌 기록상(文獻記錄上)
오도송(悟道頌)을
가장 먼저 남긴 이(僧侶)는
조동종을 일으킨
동산 양개(洞山良价,
807∼869) 선사(禪師)
이다.
생사일여(生死一如)의
구분이 부질없는 일임에야
사람들은
태어남을 기뻐하고,
헤어짐은 슬퍼한다.
오랜 세월
훌륭한 선승(禪僧)이나
선사(禪師) 스님들의
깨달음의 길(佛道行)이
매우 힘들고 어려우며
지난(至難)하듯이
역대(歷代)
조사(佛祖師 선사)
스님(高僧)들의 남겨진
오도송(悟道頌)과
열반송(涅槃訟)은
일반인들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렇듯
깨달음의 노래는
다시 한번
자신(수행자)의 삶(人生)을
돌이켜보게 하고
느슨해졌던 마음을
추스리게 한다.
여기
역대(歷代)
조사(佛祖師 선사)
스님(高僧)들의
오도송(悟道頌)과
열반송(涅槃訟)을
올려놓으니
그 깊은 뜻이야
어찌 우리가 모두 다 헤아려
알 수 있겠는가마는
행간(行間)의
곳곳(處處)에 숨겨져 있는
깊고 깊은 심오(深奧)한 뜻을
함께 발견(發見)하고
공부(功夫)하며
오늘을 사는
지혜(반야 보리 광명 智慧)를
찾아보시기 바램해 본다.
본론(本論)
불교(韓國佛敎)
역대 선사(歷代 禪師(祖師))
오도송(悟道頌)
"
검각(劍覺,
부처님 지혜의 칼)
飛星爆竹機鋒峻
비성폭죽기봉준
烈石崩 氣像高
열석붕의기상고
對人殺活如王劍
대인살활여왕검
凜凜威風滿五湖
늠름위풍만오호
비성(飛星)과 폭죽(爆竹)의
날카로운(銳) 칼날(刀 취모검)
우뚝하고 갈라지는 돌,
무너지는 언덕의 기상 높도다.
사람을 죽이고 살림(死活)이
왕(法王)의 검(劍)과 같은데
늠름한 위풍(위엄 기운 威風)이
온 세상에 가득(充滿)하도다.
– 혜감국사 –
"
"
각문(覺門,
깨달음의 문(入口))
忽聞杜宇啼窓外
홀문두우제창외
滿眼春山盡故鄕
만안춘산진고향
汲水歸來忽回首
급수귀래홀회수
靑山無數白雲中
청산무수백운중
홀연히 들려오는
소쩍새 소리(杜鵑聲)에
창 밖을 보니
봄빛에 물든 온 산(山)이
모두 고향(盡故鄕)이구나.
물 길어 오는 길(路道)에
문득 머리(고개) 돌리니
수많은 청산(靑山)이
흰 구름(白雲) 속에 솟았네.
"
"
성관(聲觀,
소리에 불타(佛陀 불세존)를
보고 깨우쳤네)
髮白非心白 발백비심백
古人曾漏洩 고인증루설
今聽一聲鷄 금청일성계
丈夫能事畢 장부능사필
忽得自家底 홀득자가저
頭頭只此爾 두두지차이
萬千金寶藏 만천금보장
元是一空紙 원시일공지
머리 결(髮)는 세어도(白)
마음은 늙지 않는다고(不白)
옛 사람(古人)들이
일찍히 이미 말했네.
오늘에 이르러서
닭 우는 소리 들으니
대장부 해야할 일(일대본분사)
능히 모두 다 마쳤네.
홀연히 낯은 곳에서
네 집을 발견(發見)하니
일체(一切)의 모든 것이
모두 바로 이 것이어라.
천언 만어(千言萬語) 많은말
금구(金句)의 경전(經典)들이
본시 하나의 공(空)이요
텅비고 빈 종이(紙)였어라.
– 청허선사 –
"
※
청허 휴정(淸虛 休靜,
1520∼1604) 선사(禪師)
조선 중기의
고승(高僧大德)이자
승군장(僧軍將)으로
속가(俗家 속세)의
이름은 여신(汝信)이며
아명(兒名)은 운학(雲鶴)
자(字)는 현응(玄應)이며
호(號)는 청허(淸虛)
법명(法名)이 휴정(休靜)이다.
별호(別號)는
백화도인(白華道人)
풍악산인(楓岳山人)
두류산인(頭流山人)
묘향산인(妙香山人)
조계퇴은(曹溪退隱)
병로(病老)
또는
서산대사(西山大師)로
불리웠다.
평안도(平安道)
안주(安州) 출신으로
시조(始祖)는
완산(完山) 최씨(崔氏)이고
어머니의 시조는
한남(漢南) 김씨(金氏)이다.
어머니 김씨는
어떤 노파(老婆)가 찾아와
아들(男兒)을 잉태하였다.
말하며
축하(祝賀)하는
태몽(胎夢)을 꾸고
다음해 3월에
그(淸虛 休靜 운학)를
낳았다.
3세되던 해
4월초파일(부처님 오신 날)에
아버지가
등불(초파일 燈燭) 아래에서
졸고 있는데
한 노인이 나타나
"
꼬마스님을 뵈러 왔다.
"
라고 말하며
두 손으로
어린 여신(汝信 청허 휴정)을
번쩍 안아 들고
몇 마디 주문을 외우며
머리를 쓰다듬은 다음(後)
아이의 이름을
“ 운학(雲鶴) ”이라 하고
"
귀하고 소중하게
기르시기를 바랍니다.
”
하고
말을 마치자마자
홀연히 자취를 감춘다.
그 뒤
어린 여신(汝信 청허 휴정)의
아명(兒名)은 운학(雲鶴)이
되었다.
운학(汝信 청허 휴정)은
어려서 아이들과 놀 때에도
남다른 바가 있어
돌을 세워 부처(佛陀)라 하고
모래를 쌓아 올려놓고
탑(塔 보배탑 칠보탑)이라
말하며 놀았다.
그 후(後)에
청허 휴정(淸虛 休靜,
1520∼1604) 선사(禪師)는
도솔산(兜率山)으로 가서
학묵(學默) 선사(禪師)
회상(會上 門下)에 나아가
수참(修參,
수행정진 참선 명상)하여
인가(佛僧認可)를 받았다.
이 후(以後)
지리산 삼철굴(三鐵窟)
사불산 대승암(大乘庵)
등(etc)
여러 선방(禪房)에서
몇 년(數年)을 보낸 후(後)
남원(南原)에 사는
벗(도반)을 만나러 가는 도중
한 낮(晝)에
닭 우는 소리(鷄鳴聲)에
문득 깨달음(惺正覺, 正等覺)을
얻어서
가슴 속이
환하게 밝은 것이
마치
백 천개의 태양(太陽)이
떠올라 뜬 것과 같이
시방세계(十方世界)
한 순간(一瞬間 찰나)에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것
즉,
털끝만치도 그 어떤 것이
틀리지 않을 것 같은
수행(修行精進)이
마침내 완성(完成)되어
증득(證得) 하게 된
완전(完全)한 깨달음의
구경(究竟覺)의 경지(敬地)와
상응(相應)할 수 있는
오로지
자신(自己)만의 깨달음으로
확철대오(廓徹大悟)
하였다.
※
ㅡㅡㅡㅡㅡㅡㅡㅡ
※
원문을
해석함에 있어서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見解)와
해석(解釋)으로
오역(誤譯)
오판(誤判)한 부분도
분명하게 있을 것이다.
언제든지
글 내용 가운데
잘못 된 부분은 옳고 바르게
지적(指摘)해 주시고
새로운 가르침을 주시기를
간절히 바램해 본다.
- 마음그릇 心椀 드림 -
ㅡㅡㅡㅡㅡㅡㅡㅡ
마음그릇 心椀과
함께 배우는 불교
《== 다음편에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