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구소멸과 로컬리즘"에 대한 서평을 쓰고, 또 읽으신 과정에서 찾은 논의할 지점을 댓글로 작성해주세요. - 편한 방식으로 작성하시되, 모두가 논의를 따라가기 편하도록 고려 부탁드립니다. Ex) 인용을 통한 질문인 경우 쪽수 명시, 시사 문제를 들고 올 경우 설명이나 링크 공유
첫댓글 1. 저자가 주장하는 ‘이상적인’ 로컬리즘은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어떤 수단이 필요한가?2. 철학은 로컬리즘 사회에 어떤 방식으로 일조할 수 있을까?
1. 저자가 예시로 든 일본의 사례는 한국의 로컬리즘 부흥에 조응할 수 있을까.2. 인구소멸의 해결방안으로 로컬리즘의 회복을 주장하고 있는데, 다른 방안을 제시할 수는 없었을까. 3. 수도권 과밀화에 대한 해결방안은 왜 제시되지 않은 것일까.
1. 인구소멸의 해결이 인구유출 방지라면, 인구소멸을 해결 할 로컬리즘은 도대체 어떤 모습일까? 1-1. 인구유출의 주체들의 유출을 막을 로컬리즘은 무엇이었을까? 1-2. 그 로컬리즘이 지역에 남은 이들의 유출을 야기하지는 않는가?
첫댓글 1. 저자가 주장하는 ‘이상적인’ 로컬리즘은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어떤 수단이 필요한가?
2. 철학은 로컬리즘 사회에 어떤 방식으로 일조할 수 있을까?
1. 저자가 예시로 든 일본의 사례는 한국의 로컬리즘 부흥에 조응할 수 있을까.
2. 인구소멸의 해결방안으로 로컬리즘의 회복을 주장하고 있는데, 다른 방안을 제시할 수는 없었을까.
3. 수도권 과밀화에 대한 해결방안은 왜 제시되지 않은 것일까.
1. 인구소멸의 해결이 인구유출 방지라면, 인구소멸을 해결 할 로컬리즘은 도대체 어떤 모습일까? 1-1. 인구유출의 주체들의 유출을 막을 로컬리즘은 무엇이었을까? 1-2. 그 로컬리즘이 지역에 남은 이들의 유출을 야기하지는 않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