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의 노랑리그, 전창수
[1] 창수의 8~9회 투수 운영 방법
1. 8회 전문투수가 있다
2. 8회나 9회 올라오는 전문투수가 있다
3. 마무리 투수는 세이브상황에서만 올라온다
[2] 창수의 타자 운영 방법
1. 8번과 9번에 플래툰시스템 적용
(플래툰 시스템이란?
상대선발이 좌투수일 경우는 우타자를 선발타자에 배치하고
상대선발이 우투수일 경우는 좌타자를 선발타자에 배치하는 시스테을 말한다)
[3] 창수의 5번 타자 배치 방법
1. 5번 타자에 홈런타자를 배치한다
2. 5번 타자가 6번보다 타율이 낮더라도 홈런을 많이 치면 5번에 배치한다
3. 홈런타자를 5번에 배치하는 이유는 한방이 너무 재밌어서다.
[3] 창수의 5번 타자 배치 팁
1. 홈런을 잘 치나 타율이 낮고, 타율이 높으나 홈런수가 적은 타자가 있어서, 5번과 6번에 배치해야 할 상황이 생길 경우
2. 5번에 타율이 좋은 타자를 배치할 경우에는
1) 찬스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2) 득점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3) 대신, 지고 있을 때는 역전확률이 조금 낮아질 수 있다
3. 5번에 홈런 타자를 배치할 경우에는
1) 지고 있을 경우에 한방으로 분위기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
2) 득점확률은 낮아질 수 있다
3) 5번 타자에 홈런타자를 배치했을 경우 5번 타순에 대타는 안 쓰는 게 승률확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많다
[4] 창수의 중간투수 운용방법
1. 우타자 전문투수가 있다
2. 좌타자가 나오면 나오는 투수가 있다. 그 투수는 좌타자 한 타자만 상대하지는 않고 최소 1이닝에서 길게는 2이닝까지 던지는 투수다 다만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는 단, 두 타자만 상대하는 경우도 있다
3. 클린업 전문 투수가 있다
4. 우타자 전문 투수, 좌타자위주투수, 클린업전문투수는 주로 6회나 7회에 많이 나오나, 가끔 8회나 9회에 나오는 경우도 있다 또 때로는 선발이 일찍 무너지면, 앞의 투수를 이어받아 3이닝까지 던지는 경우도 있다
[5] 창수의 전체투수 운용방법
1. 마당쇠 역할은 누가 하나요?
◗ 클린업 전무투수와 우타전문투수가 마당쇠 역할을 한다
▶ 클린업 전문투수란?
◆ 3,4,5번 타자가 나왔을 떄, 그 타순만 전문적으로 상대하는 투수이다.
▶ 마당쇠 역할이란?
◆ 점수차가 많이 차이났을 때, 나오는 투수들
2. 연장전에 돌입했을 때, 투수 운용 방법
◗ 8~9회 전문투수와 마무리투수 위주로 기용
◗ 연장전에 돌입하는 경우는, 팽팽한 경우이므로
◗ 투수기용과정 ▸ 8회 전문투수 기용 ▸ 8~9회 전문투수 9~10회 2이닝 기용 ▸ 마무리 11~12회 2이닝 기용 ▮12회까지이므로
◗ 마무리는 점수차 앞서는 상황이 되어 세이브상황이 되면 등판시킴
[6] 창수의 선발투수 운용방법
01. 좌완 두명, 우완 세명이 있다
02. 1선발은 정통파 우투수이고, 가장 능력치가 높다
03. 2선발은 오버핸드 좌완이고, 능력치가 높은 편이다
04. 3선발은 정통파 우투수이고, 4~5선발에 비해서 능력치가 높다
05. 4번발은 언더스로 우투수이다.
06. 5선발은 오버핸드 좌완이고, 능력치가 2선발에 비해 낮은 편이다
07. 선발은 최소 5이닝 이상을 책임지는 걸 목표로 한다
08. 5이닝 이전에 선발투수가 완전히 무너지지 않는 한, 투수를 교체하지 않으려 노력한다
09. 5이닝 이상이 되었을 때, 점수차가 차이가 거의 안 나거나, 점수차가 아주 많이 났을 때는, 투수를 중간투수로 바꾼다
10. 안 바꾸는 기준은, 투수가 5이닝까지 실점을 3점 이내로 했을 때, 점수차가 4~6점 이상일 때는 바꾸지 않는다.
11. 단, 투수가 실점을 너무 많이 해서 점수차가 4~6점 이상으로 지고 있을 때도 선발투수를 바꾸지 않는다. 이 경우는 선발투수의 교체타임을 놓쳤을 때
12. 단, 중요한 경기, 즉 포스트시즌일 때는, 5이닝 이전이라도 투수를 빠른 타이밍에 교체할 때가 있다
[7] 창수의 타자 타순별 기용방법
1. 1번 – 홈런과 장타, 그리고 타율을 겸비한 선수를 배치한다
2. 2번 – 홈런도 잘 치고 타율도 좋은 선수를 배치한다
3. 3번 – 홈런도 잘 치고 타율도 좋고 타점능력도 있는 선수를 배치해야 하는데, 마땅한 3번 타자가 없어서, 적당히 타율도 좋고 홈런도 적당히 치는 타자를 배치했다
4. 4번 – 홈런타자를 배치했으나, 타율이 너무 뛰어나다.
5. 5번 – 타율은 낮으나 홈런을 많이 치는 타자를 배치한다
6. 6번 – 홈런을 많이는 못치나, 5번보타 타율이 좋은 타자를 배치한다
7. 7번 – 경우에 따라 다르다. 발 빠른 타자가 7번에 가기도 하고, 홈런 타자가 7번에 가기도 한다. 플래툰 시스템을 적용할까 고민 중이다
8. 8번 – 포수도 배치할 때가 있었으나, 포수는 홈런을 잘 치는 관계로 5번에 배치, 8번 타자는 플래툰 시스템으로 타순을 배치한다
9. 9번 – 경우에 따라, 제일 못 치는 타자를 배치하기도 하고, 수비전문 선수를 배치하기도 하고, 플래툰 시스템을 적용하기도 하고, 홈런타자를 배치하는 경우도 있다.
◆ 창수의 대타 기용 방법 ▷ 플래툰 시스템의 대타를 기용
[8] 9번의 경우
1. 제일 못 치는 타자를 배치하기도 하고
▸ 우리 팀 타순이 정말 좋을 때
2. 수비전문 선수를 배치하기도 하고
▸우리 팀 투수가 잘하는 투수일 때
3 플래툰 시스템을 적용하기도 하고
▸ 상대 팀 투수가 잘하는 투수일 때
4. 홈런타자를 배치하는 경우도 있다.
▸ 앞의 세가지 경우가 모두 아닐 때
◇ 우리 팀 타순이 좋지 않다 ◇ 상대 투수와 우리 투수가 잘 하는 선수가 아닐 때
◕ 9번의 홈런타자는?
▸ 타율이 정말 너무 낮은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