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8일 오후 4시에 어깨강의, 광배근, 전거근, 그리고 유방관련 공부를 했습니다.
2시간 매주 합니다.
광배근의 정지점이 어디 인지 유심히 보셔야. 상완골 소결절 능선에 있습니다. 광배근의 정지점인 소결절 능선 광배근 아래에 대원근이 있습니다. 여기에 근육이 부착되고 시작점이 등뒤에 있으니 이근육은 당연히 주요 기능이 어깨관절의 내회전과 내전에 관여합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겨드랑이 주변의 근육들을 자세히 보여 주고 있습니다. 우리가 발가락을 겨드랑이 깊숙이 넣어 밟아서 풀어주는 도움주기를 할 경우 어느 근육을 풀어는 동작이며 도움주기 일까요? 사진을 보시고 어깨와 겨드랑이에 어떤 근육이 있는 지를 보세요. 그러면 발가락을 겨드랑이 깊숙이 넣었을 어떤 근육을 터치하게 되는 알게 됩니다.
슬라이들의 맨앞사진을 보면 광배근이 빨간 화살표이고 그위가 대원근 그리고 삼각근 후부섬유가 있습니다. 손으로 도툼한 광배근을 누워있는 상태에서 만질 수 있지만 발가락을 깊숙이 겨드랑이에 넣을 때는 견갑하근을 터치하게 됩니다.
광배근이 흉추 8번부터 12번까지 해서 장골능에 붙어 있는 사진입니다. 오른쪽은 광배근 아래에 대원근이 상완골 앞쪽에 붙어 있는 사진입니다.
촉진하는 법 참고로 보시고요.
아래 사진에서 빨간색화살표를 보면 광배근으르 따라 가는 대원근도 살짝 보입니다.
연관통은 견갑골 가쪽모서리부위와 대원근과 만나는 자리, 가쪽지점, 그리고 근육중앙, 늑골 부위입니다. 통증은 약지 소지까지 앞뒤로 내려갑니다.
푸는 법들도 참고로 보시고....자세를 편하게 하고 팔을 위치를 보시면서...자가신전은 대원근과 광배근을 스트레칭하는 방법인데 우리가 고양기 기지개 켜는 자세로 일으날때 응용할 수 있는 동작입니다.
어느 부위를 만지면 되는 지 사진을 유심히 보시고, 촉진법 참고해서 만져보세요.
광배근 근걸이 검사도 보시고 팔이 최대한 180도 굴곡이 안되는 아래 사진을 보시고 광배근이 수축되어 있는 경우 허리가 들리면서 팔이 180도 굴곡이 안되는 경우는 보입니다.
전거근은 약화되었을 경우 견갑골을 익상시키는 근육입니다. 전거근과 함께 길항작용을 하는 능형근(소능형근, 대능형근)약화도 견갑골을 익상시킬 수 있습니다. 같이 보셔야. 정지점을 잘 보시고.
아래 슬라이드 맨오른쪽 사진을 보면 발가락을 깊숙이 넣었을 경우 대원근을 지난 견갑하근을 누르게 된다는 것을 사진으로 보면 알게 됩니다. 전거근은 늑골에 붙어 있으니 호흡근입니다. 호흡과 관련이 깊습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유방부위까지 아래로 들어가 있습니다.
전거근의 작동원리를 보시고....사진상을 화살표를 보면 팔을 90도 외전시킬때 전거근이 견갑골을 몸쪽으로 당기는 역할을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맨아래쪽에 전거근이 기능을 못하고 이기능을 승모근이 보상작용을 할때 견갑골 익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적시하고 있습니다. 전거근을 또한 호흡근이 신경지배는 장흉신경(c3~c5)이라 목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팔을 180굴곡시키는 동작을 할 시 견갑골이 상방회전하는데에도 전거근이 관여합니다. 늑골사이 옆구리를 풀어주는 동작과 도움주기를 하면 호흡과 팔을 굴곡 신전동작이 부드럽게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수련생들에게 테스트 해보세요. 옆구리 전거근을 풀어주었을 때 호흡과 팔을 움직임이 어떤지?
촉진법 보시고....
통증유발점 두곳 보시고요. 유두쪽 아래 늑골 5.6번 지점이고 늑골 중간부위 입니다. 여성의 경우 유방과 함께 전거근, 대흉근 풀기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할지 공부해보세요.
위에 설명하면서 여성의 경우 유방과 함께 대흉근, 전거근 풀어주는 동작을 여성사범님들이 공부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