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 분 |
무속신화 |
가족제도 |
의생활 |
식생활 |
주생활 |
평등성 |
•가진자와 못가진자 간 •남녀 간 •막내 중심주의 |
•균분상속 •제사분할상속(돌림제사) •부부중심가족제도 •차별없는 처첩제도 •겹부조 등 여성지위 |
•갈옷: 일 년 중 가장 흔하게 누구나 입는 옷 |
•소박한 밥상 •일가족이 장유구별없이 둘러앉아 식사 •반 태움의 문화 |
•두거리, 세거리, 네거리집은 빈부차이를 증거하지 않음 •큰구들과 작은구들 •여성전용공간: 챗방, 안뒤 |
현세성 |
•내세보다 현세를 다스리는 신이 되려함 |
•문전제 •조왕신와 고팡신 •사혼의 관습 |
•봇뒤창옷(배냇저고리) •호상옷(저승옷, 장옷) |
•고시래 문화 •제례 떡과 무속 떡 |
•집안 곳곳에 신이 존재 (상방은 집안 신들의 중심, 문전신, 조왕신, 안칠성, 밧칠성, 주목지신, 정살지신, 눌굽지신, 울담신, 오방토신, 칙로부인, 삼신할망, 구삼실할망) |
합리성 |
•본매본장 •수수께기 •꽃가꾸기, 오줌싸기내기 |
•장남분가 •부모독립성 •연애결혼과 재가허용 •비혈연 양자제도 |
•소중이 •물옷(해녀옷):전문직 옷 •갈중이 •가죽옷 •우장옷(비옷) |
•단순 조리법(냉국, 물회, 쌈 등) •된장 위주의 단순 양념 •제철 재료 이용 요리법 •구황음식, 민간요법용 음식 |
•초가집 지붕의 새와 벽돌의 현무암 •축담 •우영밭 •돗통시 •쇠막 |
온정성 |
•설득, 용서, 사랑 |
•괸당문화 •삼춘호칭문화 •수눌음 문화 |
•곡선미를 갖춘 옷 형태 |
•공식(나누는)문화 •해녀공동체(상군의 역할) •통물(우물)과 물통(용천수) •방아계와 장례계 |
•상방 •올래(공동사용) •두 올래길 •옹기종기형 마을구조 |
묘합성 |
•유불선을 가리지 않은 신명들의 출현 |
•친가, 외가, 처가를 두루 포함하는 친족제도 |
•머리수건: 일할 때, 땀닦을 때 이용하지만, 예의용(모자)이기함 •가는 대구덕: 물건을 담아는 두는 것이지만 핸드백이기 함 •갈옷: 일상 옷이면서 일옷(작업옷) •우장옷: 비옷이지만 겨울외투이고 돗자리이고 이불이기도 함 |
•상차림의 묘합성 •밥은 낭푸니(공동), 국은 사발(개별) •잡곡밥, 범벅류, 국류 등이 발달 |
•안거리와 밖거리 •지붕의 곡선미(용마름없음)와 내부공간의 직선구조 •정지: 취사, 요리, 난방 •올래: 사적 공간이면서 공적 공간이기도 함 •한질에서 안뒤까지 완충공간을 고려한 배치구조 •주거공간 배치: 문간(혹은 정낭), 안거리, 밖거리, 정지거리, 장항굽, 쇠막, 통시, 눌왓, 안뒤, 우영밭 |
※참고문헌: 강봉수, “왜 제주인의 문화문법인가?”, <제주문화의 인문학 이야기> 강의자료 (제주대안연구공동체 외 공동주최, 2014. 9. 24).
현진숙, “제주 옷의 특성”, <제주문화의 인문학 이야기> 강의자료 (제주대안연구공동체 외 공동주최, 2014. 10. 8).
양상호, “제주 주거, 건축문화의 이해”, <제주문화의 인문학 이야기> 강의자료 (제주대안연구공동체 외 공동주최, 2014. 10. 15).
양용진, “제주의 향토(전통) 음식문화”, <제주문화의 인문학 이야기> 강의자료 (제주대안연구공동체 외 공동주최, 2014. 10. 18).
첫댓글 제주문화의 인문학 이야기 6강을 종합하여 제주인의 문화문법을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제줏말과 문법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여기에 종합하여 담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쉽습니다.
재밌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