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청리 출신 종친 님들께 협조 안내드립니다. 화순군에서 화순군내 마을 지명록을 재정비한다고 합니다. 현재 화순군에서 발행한 '마을유래지'는 (95년 초판, 96년 재판) 일부 오류가 있어 화순군의 의뢰를 받아 화순문화원에서 자료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아래에 현재 마을유래지에 기록한 내용을 올립니다. 살펴보시고 어린시절 어르신들께 들었거나 불렀던 지명이나 고샅 등 잘못된 내용이나 이름, 역사, 전설, 예화 등 죽청리에 관한 모든 내용을 알려주십시오. 맞고 틀리고를 떠나서 떠오른 옛 기억을 모두 댓글로 남겨주십시오.
댓글을 쓰려면 가입을 해야합니다. 가입이 어려울 경우 저에게 문자로 보내주십시오. 전화는 05061844491 안심번호입니다.
5년 전에도 화순군에서 군내 마을에 흩어져 있는 고서를 전산화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습니다. 그런데 우리 마을에서는 고서를 찾지 못했습니다. 그 이유는 마을 회관을 개축하면서 보관하고 있던 장서와 고서 등 모든 책을 고물상에게 넘겼기 때문입니다. 참으로 안타까운 마음에 고심을 하던 중 올 봄에 마을에 관한 시라도 한 편 남겨야겠다는 생각으로 '대푸른마을'이라는 제목을 정하고 자료를 찾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중에 카페를 개설하여 마을의 역사를 기록으로 남겨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입니다.
이 글을 보신 종친 님들께서는 마을의 역사를 기록하는 사관의 마음으로 많은 분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협조 부탁드립니다. 혹시 프린트하여 볼 필요가 있을 경우를 생각해서 파일을 첨부합니다.
《상죽청마을(上竹靑,웃대포리)》
●지명유래
죽청리(竹靑里)의 지명은 죽청(竹靑) 마을의 이름을 취하여 이름하였다. 죽청리는 하죽청마을, 상죽청마을 등 2개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죽청마을의 뜻은 예전에 마을 주위에 시누대가 많이 자라고 있어 이를 보고 대포리 마을이라 하였는데 이를 한자로 대죽자를 취하여 죽청리라 하였다고 전한다.
상죽청 마을이란 곧 대포리 마을이 커지자 대포리 마을중 윗쪽에 위치하므로 웃대포리 또는 상죽청이라 하였다.
1789년 호구총수에는 능주목(綾州牧) 북면(北面) 죽청리(竹靑里)로 기록되어 있으며, 1912년 지방 행정구역 명칭 일람에는 능주군(綾州郡) 오도면(吾道面) 죽청리(竹靑里)로 기록되어 있고, 1913년에는 화순군(和順郡) 오도면 죽청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대곡면, 오도면, 화남면을 합하여 화순군 도곡면으로 개편하면서 화순군 도곡면 죽청리(竹靑里) (죽청리)에 편입되었다.
현재 죽청2리이며 2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산물(쌀, 보리), 특산물(참외, 메론), 주 소득원(쌀, 보리, 참외, 메론)
●성씨 : 광산 李(26), 광산 金(1), 전주 李(1)
●마을 형성
상죽청 마을은 동쪽으로는 안산, 자산들(잣들), 서쪽으로는 주내들, 웃대포리가 있으며 남쪽으로는 건넌들, 양연보가 있고 북쪽으로는 뒤까끔이 있다.
마을의 방향은 남동쪽을 향하고 있다.
고려말에 상곡 죽청제 저수지 자리에 양씨, 허씨, 김씨, 이씨가 거주하였다고 구전되고 있다.
1589년경 광산이씨 李大立(1579~1636) 이 기축사화를 피하여 남평에서 거주하다 입향하였다.
1650년경 국가의 명으로 여씨, 김씨, 이씨가 현재의 마을터로 이거 입향하였다고 전한다.
1970년경 전주이씨 이영춘(1934~ )이 영암에서 거주하다가 입향하였다.
이전에 광산김씨가 거주하다가 이거하였다.
동쪽으로는 능주면, 서쪽으로는 미곡리 구사마을, 남쪽으로는 하죽청 마을, 북쪽으로는 화순읍 주도리가 있다.
●유물. 유적
죽산사(竹山祠, 1946년 건립, 李先齊, 李亨元, 李達善, 李公仁, 李伯虎 등 음 9. 20 향사), 죽산강당(竹山講堂), 봉명재(鳳鳴齋)
●민속놀이 . 전설. 민담
⊙원래 마을터는 죽청제 저수지 자리에 있었는데 1650년경에 지금의 마을터로 이거하였다.
⊙예로부터 시누대가 주변에 자라고 있어 이를 이용, 능주관아에 사용할 화살을 만들었다.
⊙일본인 자산이와 설정이가 자산보와 설정보를 막아 밭농사 위주의 생활을 논농사 위주로 전환시켰다고 한다.
⊙아홉바우 : 비봉포란 형국 중 봉이 알을 품고 있는 형세라 말하는데 아홉 개의 바위를 봉의 알이라 부른다. 전설에 의하면 언젠가는 이곳에서 고관 9명이 나올 것이라 하여 마을 주민 간 교육열이 대단히 높다.
⊙농악 : 정월 대보름이면 시암굿, 마당볼비를 하였다. 상쇠로는 이천석이 잘 하였다.
⊙강강수월래 : 정월 대보름 또는 추석날 밤에 부녀자들이 하였다.
⊙줄다리기 : 정월 대보름이면 남여 편을 나누어 줄다리기를 하였다.
⊙기우제 : 가뭄이 극심하면 용봉(구랭이산)에서 기우제를 지냈다.
●풍수지리 및 주요지명
⊙비봉포란 형국 : 봉황이 날으면서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이라 한다.
⊙잠발치 : 누에의 발 모습을 닮았다고 한다.
⊙화다실 : 꽃이 만발하여 이렇게 부른다고 전한다.
⊙잠두등 : 누에 머리를 닮았다고 이렇게 부른다.
⊙설정들 : 설정이라는 일본인에 의해 개간하였다고 하여 이렇게 부른다.
⊙자산들 : 자산이라는 일본인에 의해 개간하였다고 하여 이렇게 부른다.
⊙짐대터 : 마을입구에 있는데 예전에 긴 나무를 세우고 그위에 나무로 만든 오리를 올려 놓았다.
⊙둔전들 : 이전에 군사들이 주둔하면서 갈던 들이라 이렇게 부른다.
⊙종괘산 : 마을 북서쪽에 있는 산이다.
⊙산, 등 : 안산, 매봉산, 잠발치, 종괘산, 잠두봉, 산부레기산, 포밭등, 용봉
《하죽청마을(下竹靑,아랫대포리)》
●지명유래
죽청리(竹靑里) 의 지명은 죽청(竹靑) 마을의 이름을 취하여 이름하였다. 죽청리는 하죽청마을, 상죽청마을 등 2개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죽청마을의 뜻은 예전에 마을 주위에 시누대가 많이 자라고 있어 이를 보고 대포리라 하였는데 이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대죽자를 취하여 죽청리라 하였다고 전한다.
하죽청마을이란 곧 대포리마을이 커지자 아랫쪽에 위치하므로 아랫대포리 또는 하죽청이라 하였다.
1789년 호구총수에는 능주목(綾州牧) 북면(北面) 죽청리(竹靑里) 로 기록되어 있으며, 1912년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는 능주군(綾州郡) 오도면(吾道面) 죽청리(竹靑里) 로 기록되어 있고, 1913년에는 화순군(和順郡) 오도면 죽청리, 1914년 행정구역개편으로 대곡면, 오도면, 화남면을 합하여 화순군 도곡면으로 개편하면서 화순군 도곡면 죽청리(竹靑里) (죽청리) 에 편입되었다.
현재 죽청1리 이며 4개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산물(쌀, 보리), 특산물(참외, 메론), 주소득원(쌀, 보리, 참외, 메론)
●성씨 : 광산李(75), 김해金(3), 창녕曺(2), 제주梁(1)
●마을형성
하죽청마을은 동쪽으로는 안산, 자산들(잣들), 잣들 냇가, 서쪽으로는 주내들, 남쪽으로는 건넌들, 양연보, 북쪽으로는 뒤까끔이 있다.
마을의 방향은 남동쪽을 향하고 있다.
고려말에 상곡 죽청제 저수지 자리에 양씨, 허씨, 김씨, 이씨가 거주하였다고 구전되고 있다.
1589년경 광산이씨 李大立(1579~1636) 이 기축사화를 피하여 남평에서 거주하다 입향하였다.
1650년경 국가의 명으로 여씨, 김씨, 이씨가 현재의 마을터로 이거 입향하였다고 전한다.
1860년경 제주양씨가 월곡마을에서 입향하였다가 후손이 이거하였다.
1910년경 김해김씨 김성태(1880~1964)가 한천에서 거주하다가 입향하였다.
1930년경 창녕조씨 曺成基(1907~1964)가 나주 다도에서 거주하다가 입향하였다.
동쪽으로는 능주면, 서쪽으로는 미곡리 구사마을, 남쪽으로는 대곡리, 북쪽으로는 상죽청마을이 있다.
●유물. 유적. 고문서
竹溪居士光山李公遺蹟碑(1960년 초건, 1989년 개건, 높이 250㎝, 폭 80, 두께 30, 李大立碑), 죽청제 저수지(1944년 축조), 죽청교(1968년 건립), 李奉璣가옥(367번지, 1755년 춘 3월 건립), 동백나무(367번지, 수령 2백년), 만괴정(晩槐亭, 1927년 건립), 북애정(北涯亭, 처음 龜沙里에 梁斗南 건립, 申酉年 후손 梁在鶴이 移建 재각으로 사용)
●공공건물
도곡동국민학교(263번지, 1955 죽청분교 개교, 1968년 도곡동국교 승격, 1992 죽청분교)
●민속놀이 전설. 민담
⊙원래 마을터는 죽청제 저수지 자리에 있었는데 1650년경에 지금의 마을터로 이거하였다.
⊙예로부터 시누대가 주변에 자라고 있어 이를 이용, 능주관아에 사용할 화살을 만들었다.
⊙일본인 자산이와 설정이가 자산보와 설정보를 막아 밭농사 위주의 생활을 논농사 위주로 전환시켰다고 한다.
⊙아홉바우 : 비봉포란 형국중 봉이 알을 품고 있는 형세라 말하는데 아홉개의 바위를 봉의 알이라 부른다. 전설에 의하면 언젠가는 이곳에서 고관 9명이 나올 것이라 하여 마을 주민간 교육열이 대단히 높다.
⊙농악 : 정월 대보름이면 시암굿, 마당볼비를 하였다. 상쇠로는 이천석이 잘 하였다.
⊙강강수월래 : 정월 대보름 또는 추석날 밤에 부녀자들이 하였다.
⊙줄다리기 : 정월 대보름이면 남여로 편을 나누어 줄다리기를 하였다.
⊙기우제 : 가뭄이 극심하면 용봉(구랭이산) 에서 기우제를 지냈다.
●풍수지리 및 주요지명
⊙비봉포란 형국 : 봉황이 날으면서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이라 한다.
⊙잠발치 : 누에의 발모습을 닮았다고 한다.
⊙화다실 : 꽃이 만발하여 이렇게 부른다고 전한다.
⊙잠두등 : 누에 머리를 닮았다고 이렇게 부른다.
⊙설정들 : 설정이라는 일본인에 의해 개간하였다고 하여 이렇게 부른다.
⊙자산들 : 자산이라는 일본인에 의해 개간하였다고 하여 이렇게 부른다.
⊙짐대터 : 마을입구에 있는데 예전에 긴 나무를 세우고 그위에 나무로 만든 오리를 올려 놓았다.
⊙산, 등 : 안산, 매봉산, 잠발치, 종괘산, 잠두봉, 산부레기산, 포밭등, 용봉(구랭이산)
⊙들 : 설정들, 자산들, 주내들, 둔전들, 건넌들
⊙바위 : 아홉바위
⊙골짝 : 안골, 뒷골, 화다실
⊙터 : 삼굿터(안산밑 신지보), 물레방아터, 짐대터
⊙샘 : 웃시암, 아랫시암
⊙밭 : 설정밭, 자산밭, 둔전밭
⊙보 : 신지보(새들보), 설쟁이보, 자산보
⊙길 : 웃똘고샅, 동편고샅, 서편고샅, 새터고샅
⊙고개 : 수개재(~능주 수동), 잠발재(~주도리 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