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五 行 |
木 |
火 |
土 |
金 |
水 | |
人
體 |
臟 |
肝 |
心 |
脾 |
肺 |
腎 |
腑 |
膽 |
小腸 |
胃 |
大腸 |
膀胱 | |
形體 |
筋 |
脈 |
肉 |
皮毛 |
骨 | |
五官 |
目 |
舌 |
口 |
鼻 |
耳 | |
五聲 |
呯 |
笑 |
歌 |
哭 |
呻 | |
變動 |
握 |
憂 |
噦 |
咳 |
栗 | |
情態 |
怒 |
喜 |
憂 |
悲 |
恐 |
오행이 인체 안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이상, 사람의 생리․병리와 치료는 모두 당연히 오행의 이치를 활용하여 해석할
수 있다. 『내경』에서 활용하는 오행의 이치는 생(生), 극(克), 승(乘), 모(侮)의 네 가지 함의를 포괄한다. 생(生)은 곧
오행의 상생이니 자생(資生)․조장(助長)․촉진(促進)의 의미를 함축하며, 그 상생의 순서와 자연생화의 순서는 상응하니,
바로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이다. 극(克)은 곧 오행의 상승으로 극제(克制)․억압(抑壓)․약속(約束)의
의미를 함축하는데, 그 상극의 순서는 목극토, 토극수, 수극화, 화극금, 금극목이다. 승(乘)은 상극이 너무 지나친 것을
가리키며, 모(侮)는 극을 반하여 해를 끼침을 가리킨다. 승과 모는 모두 오행의 생극관계의 반(反: 비정상)과 상(常: 정
상)을 말하므로, 그에 포함된 내용은 여전히 오행 생극의 관념이다.
행 사이에는 일정한 생극관계가 존재한다. 그것을 상생관계에서 보면 어떤 ‘행’에나 모 두 당연히 ‘나를 낳는다[生我]’와
‘내가 낳는다[我生]’는 양면의 관계가 있는데, 나를 낳는 것은 어미이고 내가 낳은 것은 자식이다. 따라서 이런 관계는
모자관계라고도 할 수 있다. 그것을 상극관계에서 보면 내가 극하는 것은 나에게 지는 것이고, 나를 극하는 것은 내가
지는 것이니, 따라서 이런 관계는 또한 ‘이기는 것[所勝]’과 ‘이기지 못하는 것[所不勝]’의 관계라고도 할 수 있다. 어떤
사물에 대해 말하더라도 생과 극은 모두 없을 수 없는 것이 다. 생이 없으면 사물의 발전과 성장이 없고, 극이 없으면
발전하고 성장하는 과정 속에서 사물의 평형과 협조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내경』이 오행학설을 의학에 끌어
들이 면서 활용한 것이 바로 이런 이론이다.
오장설을 예로 들어 보자. 『내경』은 오행 속의 어떤 한 행도 모두 고립된 존재가 아니 며, 그들 사이에는 일정한 생극
관계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오행과 서로 결합된 오장 속의 어떤 한 장(臟)도 모두 고립된 존재물이 아니고, 그들 사이에
도 일정한 생극관계가 존재한 다고 본다. 상생의 모자(母子) 관계로 보면, 신장(수)의 정(精)은 간장(목)을 기를 수 있고,
간장(목)은 혈을 간직하여 심장(화)을 기를 수 있으며, 심장(화)의 열은 비장(토)을 덥힐 수 있고, 비장(토)은 수곡(水穀:
먹고 마시는 모든 음식물)의 정미를 화생하여 폐장(금)을 채울 수 있으며, 폐장(금)의 청숙함은 신장(수)을 도울 수 있다.
상극관계에서 보면, 폐장 (금)의 청숙은 하강하여 간장(목)의 상항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간장(목)의 조달은 비장(토) 의
막히고 쌓인 것을 씻어낼 수 있고, 비장(토)의 운화는 신장(수)의 범람을 제지할 수 있 으며, 신장(수)의 자윤은 심장(화)
의 항열을 방지할 수 있고, 심장(화)의 양열은 폐장(금) 이 지나치게 숙강함을 억제할 수 있다. 오장 사이에 생이 있고
극이 있으며 각기 각자의 기능이 있기 때문에, 그들 사이에 비로소 정상적인 협조관계가 보존될 수 있고, 일종의 질 서를
가지고 상대적인 안정성을 띤 구조적 연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의해 인체 가 정상적인 역동적 평형상태를
보존하게 한다.
그런데 오장의 상생 상극의 연관 속에서도 또한 정상에서 어긋나는 때가 없을 수는 없 다. 내경』은 오장 기능의 비정상
을 ‘태과(太過: 偏盛)’와 ‘불급(不及: 偏衰)’의 두 가지 큰 부류로 나눈다. 태과나 불급이 출현했을 때, 정상적인 생극관계
는 곧 승모의 관계로 대 치 되는데, 이때 오장의 기능에 병변(病變)이 발생하며, 또한 이런 병변은 서로 영향을 미 칠 수
있다. 오행의 관점에서 오장의 병변이 서로 끼치는 영향을 보면, 상생관계의 전변 (傳變)과 상극관계의 전변으로 개괄
할 수 있다. 상생관계의 전변은 ‘모병급자(母病及子: 어 미의 병이 자식에게 미치는 것)’와 ‘자병범모(子病犯母: 자식의
병이 어미를 범하는 것)’의 두 면을 포괄한다. 예컨대 간장의 병이 심장에 전해지는 것은 모병급자라 하고, 간장의 병 이
신장에 전달되는 것은 자병범모라고 하는 식이니, 나머지는 유추할 수 있다. 상극관계 의 전변은 ‘상승(相乘)’과 ‘반모
(反侮)’의 두 면을 포괄하니, 예컨대 간장의 병이 비장에 전 변하면 ‘목승토’라고 하며, 간장의 병이 폐에 전변하면 ‘목모
금’이라 하는 식이니, 나머지 는 모두 유추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오행의 ‘생극승모’관계를 이용하여 인체 내 오장의
상호연관 및 그 병변의 내재적 기제(機制: mechanism)와 변천의 추세를 개괄적으로 해석 한 것이다.
사람의 생리, 병리가 모두 오행의 이치와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라면, 인체에 출현한 병변에 대해 치료를 진행하는
것도 당연히 오행의 이치에 의거해야 할 것이다. 사람의 생 리와 병리에 모두 일정한 유형<모델>이 존재하니, 따라서
사람들은 이 유형을 인식함으 로써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내경』 「팔정신명론(八正神明論)」에서는 이렇게
말한다. “뛰어난 기술자는 병이 싹트는 상태에서 구제하며, …… 하등의 기술자는 병이 이 미 발병된 것을 구제하거나
이미 악화된 것을 구제한다.” 「사기조신대론(四氣調神大論)」에서도 “성인은 이미 발병한 것을 고치지 않고 병이 나기
전에 고치며, 이미 어지러운 것을 고치지 않고 어지럽기 이전에 고친다” (聖人不治巳病治未病, 不治巳亂治未亂)라고
하였다.
병이 나기 전[未病]의 치료란 무엇인가? 원나라 사람 주진형(朱震亨)은 그의 저서 『단계 심법(丹溪心法)』에서 이렇게
해석하였다. “간장에 병이 있음을 보고는 그 사람의 비장이 허한 것을 먼저 실하게 만드는데, 그러면 목의 사기가 전달
되지 않는다. 뺨에 붉은 기가 있음을 보고는 먼저 환자의 폐장 경맥에 있는 열을 없애는데, 그러면 금의 사기가 극성하
지 않는다. 이것이 바로 병이 나기 전에 다스리는 방법이다.”
이는 다시 말해 사람의 오장에 병변이 발생한 상황일 경우, 지나치게 허한 것은 보하고, 지나치게 성한 것은 마땅히 나머
지 각 장기 사이의 생극관계를 활용하여 억압해야 하며, 증세의 전변을 저지하려면 다시금 예방하는 조치를 의식적으로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 국 고대의학에서는 오행의 이치를 질병의 치료에 운용하였는데, 이는 곧 오행생극의 법 칙에
근거해 망진(望診), 문진(聞診), 문진(問診), 절진(切診)의 네 진단법에서 얻어진 자료 로 진단하는 것이다. 예컨대 위장
에 병이 든 것은 토병에 속하는데 범산(犯酸)을 겸했다면 간장(목)이 위장(토)을 범하는 병증에 속한다. 이와 상응하여
치료와 약의 사용도 모두 오행과 서로 결합된 오장의 생극관계에 의거해야 한다. 중의학에서 사용되는 많은 치료방법,
예컨대 ‘배토생금(培土生金)’, ‘자수함목(滋水涵木)’, ‘부토억목(扶土抑木)’, ‘장수치화(壯水治 火)’ 등은 모두 오행생극학
설의 구체적인 운용이다. 병은 본래의 장기에 있고 치료는 다 른 장기에 있다는 이런 방법은 중국의 고대의학이 지닌 총
체적(總體的) 치료의 특징을 충 분히 체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약물의 오색과 오미를 오장에 투입하는 등의 치료
방법도 모두 오행의 이치를 적용한 것이다.
여기서 볼 수 있듯이 중국의 고대의학 체계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오행학설은 구체적으로 응용되고 발전되었다. 『황제
내경』은 사람의 생리, 병리와 치료에 대해 논술하면서, 오행 학설을 그 이론적 기초로 삼고 있는 것이다. 그 의학체계의
형성은 오행학설이 의학영역 에서 응용된 산물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유용상)
다음글은 '우리'님의 관련글 입니다. '잠재의식이 관여 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못한다.'
병이란 꼭 오장육부의 부조화에서 일어난다고만 볼 수 있겠습니까? 모든 병, 특히 암과 같은 난치병은 스트레스에서
일어나고 그 스트레스를 풀지 못하는 한 암 덩이를 수술로 제거해도 결국 재발하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유명했던 외과의
전홍준 박사도 결국 웃음과 춤과 노래 등 대체의학으로 말기 암 환자를 완쾌 시켰다는 KBS 아침아당 이야기를 카페에
올린일이 있고 따라서 신나는 밝달춤으로 현대병을 이겨야 한다는 이론을 세운 일이 있습니다.
또 한의학에는 경낙과 경혈 등이 있는데 이는 形而下도 아니고 形而上도 아닌 그 이각지대(異角地代)로 현대 과학 에서도
그 정체를 아직 밝혀내지 못하고 있는데 이 이각지대가 과연 오장육부에만 적용될까요? 또 신농씨나 화타, 허준 선생이
여러 풀을 맛보아 약초를 정할 때 꼭 음양오행설에 맞추어 정했을 까요?
명의는 맥을 짚어 보지 않고 그 사람의 얼굴만 봐도 벌써 그 사람의 병을 압니다. 나중에 맥을 본다거나 병세를 묻는 것
등 은 다 군더더기 장식품 이지요. 또 한의사를 점쟁이 이와 비교 한다는 것이 좀 뭐 하지만 원리가 같으니 말 한다면
용한 점술가나 역술인도 그 사람의 사주를 보기 전 얼굴만 보는 순간 벌써 그 사람의 현재 운세를 대강 압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날까요?
이는 다 경험으로 잠재의식이 알아 버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간이 하는 모든 일, 즉 말 하거나 걸음 거리까지 그 잠재의식이 활용되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가 없고 그
잠재의식을 잘 활용하는 사람이라면 어떤 성공이건 못할 일이 없다고 봅니다.
그러므로 이를 만약 삼극 이론을 붙인다면 또 거기에도 연결 시킬수 있다고 봅니다. 지금 이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
는 음양 양극 이외 중성자가 안정시켜 주지 않는다면 그 원자는 백만분 자승 백만분의 일초 사이에 소멸하고 따라서 이
우주도 사라집니다. 이를 다시 한약에 비유하면 한약에 반듯이 들어가는 감초는 치로 제는 아니지만 악과 약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부조화 독성을 중화 시킬 수 있기에 반듯이 넣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만약 음양오행설이 그렇게 정확 하다면 인공위성을 쏘는 나사나 기상대에서도 음양오행설을 써야합니다. 그러나 기상대
청소부만 해도 100 년후 어디에에서 일식 월식이 일어날것을 아는데 음양오행 신봉인들은 내일 일기 예보 하나 모릅니다.
따라서 음양오행설이란 역술인들이 잠재의식적으로도 알 수 있는것을 군더더기로 역서를 펴 놓고 설명하는 군더덕이에
불과 하고 한의학을 꼭 음양오행설로만 설명한다는 것 역시 같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