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불편증 (Gender Dysphoria)
자신의 생물학적 성과 성역할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불편감을 느끼는 경우를 말한다.
(신체적으로 남성임에도 불구하고 남자라는 것과 남자의 역할을 싫어하며 여성의 옷을 입고 여성적인 놀이나 오락을 좋아하는 등 여자가 되기를 소망하며 대부분 성전환수술을 원하게 된다) 이러한 장애는 다양한 연령대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성정체감 장애라고 불리기도 한다.
성불편증을 지닌 아동이나 성인은 다양한 행동적 특성을 나타낸다.
남자 아동의 경우는 전통적인 여성적 행위나 역할을 좋아한다. 이러한 남아들은 여자의 옷을 좋아하고 여성적인 외모로 치장하기를 좋아하며 여성적인 놀이 게임에 강한 호기심을 나타낸다. 이들은 소꿉장난을 즐기고 예쁜 소녀나 공주를 마음속에 그리며 멋있는 여성 주인공이 등장하는 비디오나 텔레비전을 보며 즐긴다. 놀이에서도 여성적 역할을 좋아하며, 성장하여 여자가 되기를 바란다.
여자 아동의 경우는 여성적인 차림새를 싫어하는 대신 남자의 옷이나 짧은 머리를 좋아한다. 놀이 친구로는 남자 아이를 선호하고 신체적 접촉을 필요로 하는 운동이나 거친 놀이등 전통적으로 남자들의 놀이에 관심이 많다. 이들은 힘세고 용감한 남자나 영웅을 이상화하고 좋아하며 성장하여 남자가 되기를 바라며 미래에 대한 상상이나 소망에서 뚜렷학 남성에 대한 동일시를 나타낸다.
성인의 겨우는 반대 성을 지닌 사람으로 행동하며 사회에서 그렇게 받아들여지기를 강렬하게 소망한다. 반대 성의 외모와 옷차림새로 치장하고 다니거나 반대 성의 역할이나 직업을 지니고 생활하기도 한다.
성 불편증을 지닌 사람은 가족, 동성의 또래, 사회적 기대나 역할과의 갈등 때문에 대인관계나 직장생활을 비롯한 생활전반에서 현저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들은 자신의 성에 대해서 심한 불편감을 느끼며 성전환수술을 통해서 반대 성의 육체적 모습을 갖추려는 강한 소망을 지닌다.
성불편증은 동성애와 구분된다. 동성애는 동성인 사람에 대해서 성적인 애정과 흥분을 느끼거나 성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성행위를 하는 경우를 말한다. 동성애자는 자신의 생물학적 성이나 성역할에 대해서 불편감을 겪지 않으며 성전환을 원하지도 않는다. 현재 동성애는 독특하지만 정상적인 성적 성향이자 생활방식으로 인정되고 있다.
성불편증은 선천적 요인 또는 후천적 요인에 의해서 유발된다고 주장하는 보고가 있다.
선천적 요인으로는 유전자의 성이상이 성 불편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 되었다.
또한 후천적인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는 다양한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성불편증을 지닌 사람들은 대부분 반대 성에 대한 동일시가 확고하여 강력하게 성전환수술을 원한다. 성 불편증 환자에게는 성전환수술이 주요한 치료방법이 된다.
성불편증에 대한 심리치료는 성정체성 장애에 수반되는 우울이나 불안 등의 심리적 문제를 다루어 주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