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트의 종류 및 부속기구
덕트의 종류를 그 속에 흐르는 공기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면 공조기에서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보내는 급기덕트, 실내공기를 다시 공조기로 되돌려보내는 환기덕트,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버리는 배기덕트, 외기를 공조기로 도입하는 외기덕트 등으로 그림 1-1과 같이 구분된다.
덕트재료
덕트재료는 일반적으로 아연도금 강판을 사용하나, 그밖에 열간압연 박강판 및 냉간압연 강판, 동판, 알루미늄판, 스테인레스 강판, 염화비닐 등이 사용되고 있고, 또 글라스울(glass wool) 및 건물 구조체를 이용하는 콘크리트 덕트 등이 있다.
아연도금 강판은 일명함석(KS D 3506)이라고도 하며, 이는 가격이 싸고 가공이 쉬우며 강도가 높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사용용도는 부식성이 적은 일반 공조용 및 환기용덕트, 공조기의 케이싱(casing), 풍량조절 댐퍼, 급배기용 루버(louver), 덕트행거(hanger)등에 사용된다.
열간압연 박강판(KS D 3501)과 냉간압연 강판(KS D 3512)은 고온의 공기 및 가스가 통과하는 덕트 및 방화댐퍼, 보일러의 연도 등에 사용된다.
알루미늄판은 평판으로 사용되는 경우보다는 골판으로 성형하여 플랙시블덕트(flexible duct)로 사용되며 글라스울은 단열성이 좋아서 덕트의 단열재 및 흡음재로 사용되며, 글라스울판에 알루미늄 박지나 염화비닐을 접착하여 저압용 덕트로 사용하기도 한다. (일명 fiber glass duct라 한다.)
장방형덕트의 장변 (mm) |
판두께 |
원형덕트지름(mm) |
판두께 (mm) |
스파이럴덕트지름 (mm) |
판두께 (mm) |
mm |
No |
450 이하 |
0.5 |
26 |
500이하 |
0.5 |
200이하 |
0.5 |
460~750 |
0.6 |
24 |
510~700 |
0.6 |
210~600 |
0.6 |
760~1,500 |
0.8 |
22 |
710~1,000 |
0.8 |
610~800 |
0.8 |
1,510~2,200 |
1.0 |
20 |
1,010~1,200 |
1.0 |
810~1,000 |
1.0 |
2,210~ |
1.2 |
18 |
1,210~ |
1.2 |
|
|
▲ 표 1-1. 덕트치수와 아연도금강판재의 판두깨 (mm) | |
시공도 작성시의 유의사항
덕트의 시공도는 제작과 시공시에 필수적인 도면으로서 기능과 공법 및 경제적으로 적절한가를 검토해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검토한 후 시공도를 작성한다.
1) 덕트의 경로는 될수 있는 한 최단거리로 한다.
2) 설치시에 작업공간을 고려한다.
3) 필요한 치수를 기입한다. (덕트의 종,횡치수, 취출구의 위치, 취출구의 종류와 풍량, 주위 장애물과의 거리, 적절한 분기 및 변형과 치수, 주위기기의 설치 위치 등)
4) 댐퍼의 조작 및 점검은 가능한 위치에 있도록 한다.
5) 소음과 진동을 고려한다.
6) 기타설비(조명기구, 스피커, 스프링클러 등)와의 공간을 고려한다.
7) 덕트내로 배관과 같은 장애물의 통과는 없는지 살핀다.
8) 단열 및 도장공사의 필요성을 검토한다.
9) 취출구와 분기부의 위치는 적절한가 검토한다.
10) 실내의 공기분포와 취출구 및 흡입구의 위치와의 관계를 검토한다.
11) 진동이나 소음의 전파는 없는지 검토하고 필요시에 캔버스(canvas)이음 또는 플레시블(flexible)이음 및 방진, 소음장치를 한다.
덕트 및 기기의 풍속
같은 양의 공기가 덕트를 통해 송풍될 때 풍속을 높게 하면 덕트의 단면치수가 작아도 되므로 설치스페이스를 적게 차지한다. 그러나 고속으로 인한 소음, 진동 및 송풍기의 동력이 많이 들고 덕트 구조의 강도도 높여야 한다.
따라서 일반건물에서는 저속(보통 주덕트의 풍속은 15m/s이하)덕트를 사용하며, 공장이나 창고 등과 같이 소음이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 곳이나 차량, 선박, 고층빌딩 등 설치 스페이스를 크게 취할 수 없는 곳에는 고속덕트(보통 15~20m/s)를 사용한다.
표 2-1은 저속덕트와 고속덕트의 용도별 각 기기의 적정 풍속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
저 속 덕 트
|
고 속 덕 트 |
권장풍속 |
최대풍속 |
권장 |
최대 |
주택 |
공공건물 |
공장 |
주택 |
공공건물 |
공장 |
임대빌딩 |
공기취입구* |
2.5 |
2.5 |
2.5 |
4.0 |
4.5 |
6.0 |
3.0 |
5.0 |
팬 흡입구 |
3.5 |
4.0 |
5.0 |
4.5 |
5.5 |
7.0 |
8.5 |
16.5 |
팬 취출구 |
5~8 |
6.5~10 |
8~12 |
8.5 |
7.5~11 |
8.5~14 |
12.5 |
25 |
주 덕트 |
3.4~4.5 |
5~6.5 |
6~12 |
4~6 |
5.5~10 |
6.5~15 |
12.5 |
30 |
분기덕트 |
3.0 |
3~4.5 |
4~9 |
3.5~4 |
4~8 |
5~11 |
10 |
22.5 |
분기입형덕트 |
2.5 |
3~3.5 |
4 |
1.5 |
4~6 |
5~8 |
|
|
필터* |
1.25 |
1.5 |
1.75 |
2.5 |
1.75 |
1.75 |
1.75 |
1.75 |
가열코일* |
2.25 |
2.5 |
3.0 |
2.25 |
3.0 |
3.5 |
3.0 |
3.5 |
냉각코일* |
2.25 |
2.5 |
2.5 |
2.5 |
2.5 |
3.0 |
2.5 |
2.5 |
에어워셔 |
2.5 |
2.5 |
2.5 |
2.5 |
2.5 |
2.5 |
2.5 |
2.5 |
환기덕트 |
|
|
|
3.0 |
50~7.5 |
7.5~9.0 |
저속 |
*표는 전면적풍속, 기타는 자유면적(free area)에 대한 풍속임. ▲ 표 2-1. 덕트치수와 아연도금강판재의 판두깨 (mm)
| |
덕트의 배치
송풍기에서부터 덕트와 단말기인 취출구의 배치계획은 건축설계계획과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덕트의배치방식은 그림 2-1의 (a),(b)와 같은 간선덕트방식, (c)와 같은 개별덕트방식, (d)와 같은 환상덕트방식으로 구분되며 그림 2-2의 (a)와 같은 각개개별입상덕트방식과 (b)와 같은 수평덕트방식으로 구분된다.
간선덕트방식은 주덕트인 입상덕트로부터 각 층에서 분기되어 각 취출구로 취출관을 연결한다.
이 방식은 보통 그림 2-1의 (a)천장에서 취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b)와 같이 벽취출방식도 있다. 전자는 실내공기의 분포도는 좋으나 덕트스페이스를 많이 차지하고, 후자는 덕트스페이스는 적게 필요하지만 실내에서 기류의 분포가 좋지 않고 덕트가 지나가는 복도 등의 천장을 거실보다 낮게 시공해야 한다.
개별덕트방식은 그림 2-1의 (c)와 같이 입상덕트(주덕트)에서 각개의 취출구로 각개의 덕트를 통해 분산하여 송풍하는 방식으로 각 실의 개별제어성은 우수하다. 그러나 덕트스페이스를 많이 차지하고 공사비도 많이 소요되므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일반적으로 적용하지 않는다.
환상덕트방식은 그림 2-1의 (d)와같이 2개의 덕트말단을 루프(loop)상태로 연결함으로써 양쪽덕트의 정압이 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덕트말단에 가까운 취출구에서 송풍량의 언밸런스를 개선할 수 있다. 이 방식은 공장의 급배기에 사용된다.
그림 2-2의 (a)와 같은 각개입상 덕트방식은 호텔, 오피스빌딩 등에서 공기,수(水)방식인 덕트병용 팬코일 유닛방식이나 유인 유닛방식 또는 고속덕트의 입상덕트용으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