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자료 안전 취급 및 사고 대처 방법
1. 가열기구의 안전취급
가. 알코올램프 점검
① 알코올램프의 높이가 가열 장치에 알맞은가?
② 애자와 병 입구 사이에 틈이 없이 잘 맞는가?
③ 알코올램프를 쓸 때는 먼저 알코올이 2/3쯤 들어있는가?
④ 심지의 재료가 무명실, 약솜, 가제, 등이며 밖에 나와 있는 심지의 길이는 0.5-1cm 정도로 알맞은가?
나. 알코올 따르기
∙ 공업용 매탄올(메틸알코올)을 깔때기를 사용하여 알코올 램프에 반쯤 넣는다.
라. 불 붙이는 방법
∙ 가스점화기를 이용해서 지도교사나 실험보조원이 불을 붙여주도록 한다. 가스점화기가 준비되지 못한 경우에는 성냥불을 옆에서부터 스치듯이 붙인다. 성냥을 켤 때에는 반드시 성냥갑을 닫고 불을 켠다.
마. 불끄기
∙ 입으로 불어서 끄지 않고, 뚜껑을 옆에서 살며시 덮어 끈다. 잠시 후 뚜껑을 살짝 열었다가 다시 잘 덮는다.


바. 알코올램프가 넘어져서 불이 붙었을 때
∙ 불에 타지 않는 실험대 위에 알코올이 조금 쏟아져 불이 붙었을 때에는 당황하지 말고, 주변에 있는 불붙기 쉬운 물체를 치우고 불이 꺼질 때까지 기다린다.
∙ 큰 방석, 물걸레 등으로 덮어 끈다
∙ 모래를 뿌려 끈다.
∙ 다른 물체에 불이 옮겨 붙었을 때에는 소화기를 이용한다.
사. 알코올램프에 의한 화재 사고 예방
초등과학 실험 중 가열은 보통 알코올램프를 사용하는데 이때 연료는 보통 메틸알코올을 사용한다. 메틸알코올을 소량이 인체에 흡입되면 눈이 멀고, 일정량 이상 흡입되면 죽게 된다. 그래서 흡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일 년에 두세 번씩 과학실험실에서 일어나기 쉬운 사고는 알코올램프에 의한 화재 사고이다. 다음과 같은 알코올램프를 사용할 때 주의사항을 지킨다면 이러한 사고는 미리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금이 가 깨어진 애자나 주둥이보다 작은 애자는 사용하지 않는다. 심지가 가늘어 공간이 많은 경우도 위와 같은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램프안의 알코올의 양을 30-80% 정도로 담아 쓴다. 알코올의 양이 너무 적을 경우에는 알코올 증기가 많이 차서 점화할 때 폭발하여 심지가 튀어나오기 쉽다.
∙ 알코올램프 불을 기울여 알코올램프에 불을 붙이는 일이 없도록 한다.
∙ 물질이 휘발성일 때는 마개를 단단히 하여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놓아둔다. 인화성이 큰 물질은 불 가까이에 두지 않는다. 휘발성과 인화성이 큰 물질이 있는 곳에서는 환기를 충분히 시킨 다음 성냥불을 켜도록 한다.
※ 알코올램프나 가열 기구에 가벼운 화상을 입었을 경우에는 응급처치로 화상부위를 차가운 수돗물에 담근 후 올리브기름이나 바셀린 등을 바르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어느 정도 심한 화상을 입었을 때에는 응급처치를 한 다음, 신속히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도록 하여야 한다.

가. 알코올램프 점검
① 알코올램프의 높이가 가열 장치에 알맞은가?

② 애자와 병 입구 사이에 틈이 없이 잘 맞는가?
③ 알코올램프를 쓸 때는 먼저 알코올이 2/3쯤 들어있는가?
④ 심지의 재료가 무명실, 약솜, 가제, 등이며 밖에 나와 있 는 심지의 길이는 0.5-1cm 정도로 알맞은가?
나. 알코올 따르기
∙ 공업용 매탄올(메틸알코올)을 깔때기를 사용하여 알코올 램프에 반쯤 넣는다.

다. 알코올램프 놓는 위치
∙ 실험대의 한가운데에 놓는다. 뚜껑을 열어서 램프 옆에 엎 어 놓는다. 불이 붙기 쉬운 위험한 물체는 옆에 두지 않는다.
라. 불 붙이는 방법
∙ 가스점화기를 이용해서 지도교사나 실험보조원이 불을 붙 여주도록 한다. 가스점화기가 준비되지 못한 경우에는 성냥불 을 옆에서부터 스치듯이 붙인다. 성냥을 켤 때에는 반드시 성냥갑을 닫고 불을 켠다.
마. 성냥개비 버리기
∙ 불을 붙이고 난 성냥개비는 모래나 물그릇에 버린다. 다른 알코올램프에 불을 옮길 때에는 반드시 성냥개비를 사용한다(불이 켜져 있는 램프의 불로 옮기면 위험하다)
바. 불끄기
∙ 입으로 불어서 끄지 않고, 뚜껑을 옆에서 살며시 덮어 끈다. 잠시 후 뚜껑을 살짝 열었다가 다시 잘 덮는다.
사. 알코올램프가 넘어져서 불이 붙었을 때
∙ 불에 타지 않는 실험대 위에 알코올이 조금 쏟아져 불이 붙었을 때에는 당황하지 말고, 주변에 있는 불붙기 쉬운 물체를 치우고 불이 꺼질 때까지 기다린다.
∙ 큰 방석, 물걸레 등으로 덮어 끈다.
∙ 모래를 뿌려 끈다.
∙ 다른 물체에 불이 옮겨 붙었을 때에는 소화기를 이용한다.
아. 알코올램프에 의한 화재 사고 예방
초등과학 실험 중 가열은 보통 알코올램프를 사용하는데 이때 연료는 보통 메틸알코올을 사용한다. 메틸알코올을 소량이 인체에 흡입되면 눈이 멀고, 일정량 이상 흡입되면 죽게 된다. 그래서 흡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일 년에 두세 번씩 과학실험실에서 일어나기 쉬운 사고는 알코올램프에 의한 화재 사고이다. 다음과 같은 알코올램프를 사용할 때 주의사항을 지킨다면 이러한 사고는 미리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금이 가 깨어진 애자나 주둥이보다 작은 애자는 사용하지 않는다. 심지를 끼우는 애자가 깨어진 것이나 작은 것을 사용하면 알코올이 기화되어 램프 밖으로 새게 되고 여기에 심지의 불이 붙어 램프 안까지 불이 붙게 되어 램프 안은 뜨거운 열과 기체로 인하여 폭발하게 된다. 이 때에 화상을 입게 된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깨진 애자는 아낌없이 버린다. 또 심지가 가늘어 공간이 많은 경우도 위와 같은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램프안의 알코올의 양을 30-80% 정도로 담아 쓴다. 알코올의 양이 너무 적을 경우에는 알코올 증기가 많이 차서 점화할 때 폭발하여 심지가 튀어나오기 쉽다.
∙ 알코올램프 불을 기울여 알코올램프에 불을 붙이는 일이 없도록 한다.
∙ 물질이 휘발성일 때는 마개를 단단히 하여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놓아둔다. 인화성이 큰 물질은 불 가까이에 두지 않는다. 휘발성과 인화성이 큰 물질이 있는 곳에서는 환기를 충분히 시킨 다음 성냥불을 켜도록 한다.
※ 알코올램프나 가열 기구에 가벼운 화상을 입었을 경우에는 응급처치로 화상부위를 차가운 수돗물에 담근 후 올리브기름이나 바셀린 등을 바르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어느 정도 심한 화상을 입었을 때에는 응급처치를 한 다음, 신속히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도록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