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지를 출제하고 답을 문서에 추가하면서 이걸 어떻게 감출 수 없냐는 질문을 몇번 받아봤습니다..
상호참조? 숨은설명? 형식은 주석인데 도통 감이 안잡히더라구요? 뭘 해달라는 건지...
그러다 아래와 같은 문서를 우연히 봤는데요..ㅎㅎ 이젠 시험기간도 끝났으니..^^ 약간 공개해볼게요..
이 작은 조판부호는 뭐지..??? 서식을 바꾸니 나타나더라구요..
아~ 사람들이 이런식으로 주석을 사용하고 있구나..ㅋㅋ 전 문제지는 별로 만들어 본적이 없어서.. 문제지에 답을 이렇게들 사용하시는지 몰랐어요.. 참.. 개발자들이 아실려는지..ㅎㅎ 아신다면 각주에 글자모양이라도 좀 추가해 주실텐데요.. 그죠? ^^;
그러고 보니 이런 질문은 지식인에 간혹 올라오는것 같습니다. 알고보니 보이더라구요.. 저처럼 문서를 받아본 사람이 아니라면 그 애로를 해결해 주긴 참 어려울거에요. 이런 문서를 만들때 좀 더 쉽게 하는 것과 주의해야 할 문제들을 짚어드릴게요..
만드는 법!
이건 문단번호나 개요를 쓰고
본문 사이에 미주(Ctrl+N,E)를 넣은 후
그 글씨를 흰색으로 하고 아주 작게 줄여놨습니다. 그냥 빈 칸으로 보이게끔..
미주는 문서 끝에 모이는 주석입니다. 각주(Ctrl+N,N)는 페이지 끝에 바로 모아보는 주석이구요..
조판부호를 꺼보면 위의 문서는 주석이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없습니다. 이렇게 작게 미주를 넣어 놓고 답은 문서 끝에.. 미주이기때문에 끝에..^^ 모여 있습니다.
~~ 주 의 ~~
1. 글자모양
이런 문서를 만들땐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문서를 편집할 때 스타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겠죠. 또.. 개요를 사용한다면 자동으로 개요스타일이 적용되어 있을거에요..
스타일은 보통 문단스타일.. 문단1 전체의 서식을 한꺼번에 바꾸는 것입니다. 입력된 스타일도 수정하면 보통 이미 적용된 부분까지 한꺼번에 조정이 됩니다. 위의 경우도 그래서 흰색에 작은 글씨들이(숨겨놓아야 할) 다 들어나 버려 미주가 있는지 알 수 있었어요.2
그래서 이럴땐 이 각주를 "글자 스타일"로 보호해 주면 좋습니다.
글자스타일은 문단스타일의 적용을 받지 않죠. 바탕글도 적용하지 못합니다.3 글자스타일이란 강조! 강조 글자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다른 문단스타일 위에 덛입힐 수도 있고, 글자 스타일 위에 또다른 글자스타일을 넣을 수도 있습니다. 스타일이니까 적용만 시켜놓는다면 필요할때 편집에서 이래저래 한꺼번에 관리도 가능하겠습니다.
글자스타일을 만드는 법!
위 각주에 커서를 놓고 바로 F6 - Insert (또는 + 추가) 합니다.
글자스타일을 선택하고 <추가> 하면 끝!
문서에 글자스타일을 사용하려면 도구상자의 스타일, 작업창의 스타일이나 스타일 단축키를 써서 입력하고,
해제할땐 반드시 "Ctrl+ -"(0 옆의 -) 이나 "스타일 해제"로 해제합니다. 바탕글이 안되기 때문에..
문서를 벌써 편집까지 끝낸 경우가 있죠. 이럴땐 바꾸기로 일반서식을 스타일로 적용시켜 줍니다.
아래처럼 해당 서식에 커서를 갖다놓으면 도구상자에서 지정된 걸 알 수 있죠? 그대로 바꾸기에서 찾아 만든 글자스타일로 바꿔주면 됩니다.
찾을 내용 :
서식은 이렇게 두세개 넣고 찾는것이 좋습니다.
바꿀 내용 :
하나만 찾아 스타일적용했다간 이렇게 되는 수도 있습니다.. 글자색은 새 스타일로 유지됐는데 글자크기는 유지시키지 못했어요..ㅜ
2. 번호 문단
문단번호이든 개요든 한글에선 이 문단들의 맨 끝 커서 위치는 번호모양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맨 끝.. 그러니까 "문단부호의 바로 전 자리" 서식을 변경하면 번호의 글자모양이 같이 바뀌게 되요. 이 문단에만..
(** 워드는 문단부호가 블럭지정되니까 단락기호를 블럭지정해서 서식을 변경합니다.)
간혹 이 답으로 쓰는 미주를 번호문단 끝에 놓고 서식을 바꾸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이럴땐 문단부호 바로 전 자리는 비워놓고 서식을 바꿔야 합니다. 아니면 번호모양이 같이 변경될테니까요.
(** 물론 위에처럼 번호문단에 따로 글자모양이 정해져 있는 경우는 별개입니다.)
미주를 번호옆에 쓰면 아무리 글자가 작아도 공간을 어느정도 차지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내어쓰기도 잘 맞지 않아 따로 지정해줘야 할거에요. 이렇게 번호 끝에 쓰면 내어쓰기에도 지장을 주지 않고 글자크기도 심하게 줄일필요가 없을 겁니다..
이때도 글자스타일을 추가해 놓고 적용시켜주면 좋습니다..
이 문단부호 앞자리는, 글자스타일은 서식이 달라도 번호모양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그러니.. 글자스타일을 만들어 놓으면 이래저래 참 편리하겠죠..^^
문단 : 엔터로 나뉘어진..
이건 다 그런건 아니구요..^^ 원래 사용자 서식은 블럭지정해서 조정하지 않으면 스타일로도 바뀌지 않습니다. 블럭지정해서 변경했을 경우는.. 스타일이 같이 적용되죠. 또는 스타일을 두번 적용시키거나 해도 전체에 적용됩니다. - 블럭을 지정하지 않고, 단축키등으로 한번만 적용하면 사용자 지정으로 만든 서식을 뺀.. 나머지만 스타일이 적용됩니다.
2010에 이 글자스타일과 개요스타일에 대한 적용이 좀씩 변동된 통에 제가 지금 무지하게 혼란스럽습니다.. 몽롱~ 글자스타일도 원래는 바탕글이 적용되지 않는데.. 블럭지정해서 하면 어떤땐 적용되기도 하고.. 좀 이상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