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웨트 라미네이션
웨트 라미네이션은 종이 등의 접합에 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 수용성 또는 에멀전 타입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트 가공하는 방법이다.
흡수성이 없는(또는 적은) 기재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한편의 기재와 접합 시킨 후 건조 장치에서 열 건조시켜, 수분을 증발시켜 접착시키는 방식이다. (그림 2.5)
예를 들어 알미늄박과 종이를 접합시키는 경우는, 알미늄박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후 종이를 접합시켜 건조시킨다.
이렇게 접합시킨 후 접착제의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해, 적어도 한 쪽의 기재는 종이나 셀로판과 같이 수분을 투과하는 것이 가능한 다공성 기재가 필요하다.
웨트 라미네이션이라고 불리는 명칭도 접착제가 습윤 상태로 접합시킨다는 것으로부터 왔고 접합시키는 기재의 주된 조합으로서는 종이/알미늄박, 종이/셀로판, 종이/종이, 알미늄박/셀로판 등이 있고 최근의 동향으로서 플라스틱 필름과 종이의 조합이나 glass cross, 부직포 등의 재료에도 사용되고 있다
웨트 라미네이션에서 접합시킨 한 쪽 또는 양쪽의 재료를 통해 수분을 건조하는 것이 필요하고, 다른 접합 방식(드라이 라미네이션, 열 라미네이션, 익스트루션 라미네이션)에 비하여 기재의 조합에 대해 제약을 받는다.
**Glass cross: 얀(yarn)을 제직하여 표면 처리가 되어 수지와 친화성이 뛰어나며 FRP 성형품, 전기 절연용 등의 기재로 사용됩니다.
(1) 웨트 라미네이션의 특징
장점으로서는
1) 접착제의 가격이 싸다
초산비닐 에멀션이나 아크릴 접착제는 드라이 라미네이션 접착제에 비해 1/5~1/10 정도의 가격이고, 대표적인 알미늄박과 순백 “루루”지의 라미네이션에서 도포량도 1~2g/sqm로 적어 접착의 코스트 비율이 적다.
2) 가공 코스트가 싸다
라미네이션 가공도 일반적인 구성에서는 100~500m/min로 가공속도가 빠르고 양산이 쉽고, 접착제의 낮은 코스트를 포함하여 다른 가공 방법보다 가공 코스트가 싸다.
3) 작업성이 우수하다
수계의 접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고, 잉크 팬이나 중간 탱크 포함하여 물로 용이하게 청소 가능하다.
4) 안전성이 우수하다
접착제가 수계이므로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드라이 라미네이션 등에 비해 화재의 우려가 없고, 작업환경도 보다 좋다.
단점으로서는
1) 건조열량이 크다
수분을 증발시키기 때문에 다른 접합 방식에 비해 많은 건조 열량을 필요로 한다. 건조 장치로서는 풍량을 올린 드라이어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필요하여 기계의 스페이스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2) 접합기재의 제약
접합 기재의 한쪽이 수분을 투과하는 재로로 제약되기 때문에 필름/필름, 필름/알미늄박 등 수분 불투과 재료끼리는 접합이 불가능하다.
3) 접합 내성이 낮다
내수성, 내열성을 필요로 하는 접합에는 한계가 있다.
4) 부식의 발생 가능성 있다.
특히 알미늄박의 라미네이션에 있어서는 건조 불충분의 경우 알미늄박의 표면에 부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