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방수쉬트는 사용재료에 따라 가황 고무계, 비가황 고무계, 염화 비닐 수지계,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수지계 등이 있으며, 일반 복합 형태는 일반 복합 가황 고무계, 비가황 고무계, 염화 비닐 수지계로 세분되어질 수 있습니다.
합성 고분자계 방수 시트는 합성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주원료로 하여 기후의 변화에 대한 특성 및 신장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는 1.0 - 2.5㎜ 두께의 방수재료 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사용재료의 종류에 따라 고무 또는 수지만으로 제조된 시트인 균질 시트와 부직포 또는 섬유를 혼입한 시트로써 일반 복합 형태와 보강 복합 형태로 구분되어집니다.
건축현장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는 지붕 방수에서의 방수 쉬트는 원래 토목공사의 방수용으로 개발된 자재입니다.
1965년 - 1970년 토목공사의 방수용도로 임시방편적으로 개발되어진 것으로 아스콘 남은 재료를 이용하여 천에다 먹여서 사용되어진 것입니다.
1/8인치 두께로 비닐코팅되어 목조주택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여름에 늘어나고 겨울에 경화되는 등의 단점이 노출되자, 부직포를 덧대어 만든 제품을 채용하여 현재 너무도 흔하게 지붕 방수에 시공되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벽체와 지붕이 만나는 부분에서는 후레싱을 대는 등의 보강을 해 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방수 쉬트 하나만으로 시공되어지는 현장에서는 많은 경우 비가 새는 등의 하자가 발생하고 있는 현실이기도 합니다.
원래 방수쉬트를 일차로 시공하고 그 위에 몰탈 등으로 방수를 하는 형태의 시공방법 중 하나의 부분이었는데, 이 방수 쉬트의 편이성, 이동성이 용이한 장점으로 인해 목조주택의 지붕 방수용으로 흔하게 사용되어진 것입니다.
방수 쉬트의 메뉴얼에 보면 영하5도 이하에서는 시공이 불가하고 5년 Warranty(보증)라고 써 있습니다. 이런 메뉴얼을 얼마나 많은 목수들이 알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5년 Warranty(보증)임에도 불구하고, 그 위에 시공되는 30년Warranty(보증)의 슁글 때문에 그 문제점이 가려지고 있었던 것입니다.
방수 쉬트의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자면 첫째: 열에 약하고, 낮은 온도에서 쉽게 경화되어 깨진다는 점입니다. 아스콘이 열에 약하다는 것은 상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름에는 몇 번 밟으면 얇게 퍼지는 것을 현장 목수라면 누구나 경험할 수 있으며, 겨울에는 쉽게 경화되어 깨지기 쉬운 단점을 안고 있습니다.
둘째: 방수쉬트의 부직포에 습기가 스며들 경우 검은곰팡이 문제가 야기 된다는 점입니다. 한때 미국에서도 문제가 되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셋째: 지붕합판인 OSB가 삭는 현상을 발생시킨다는 점입니다. OSB가 방수쉬트의 아스콘을 흡수하면서 결로 현상으로 인한 습기와 어울려, OSB가 삭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5-6년이 지난 현장에서 OSB가 삭아서 얇아져 있는 걸 실제로 목격한 적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합성 고분자계 시트 방수공법은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재료가 많기 때문에 밀폐된 부분이나 환기가 열악한 장소에서는 사용에 제약을 받으며, 건조가 완료되기 전에 표면에 이물질(먼지, 모래 등)이 부착되기 쉬우며,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부분 및 모서리 부분에서의 처리가 어려운 작업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방수 시트의 연결부분의 수밀성 확인이 어렵고, 시공 후 시트가 수축하여 모서리 부분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시트 자체가 외력으로부터 쉽게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점에 대한 대안, 보완용으로 아크릴을 첨가해서 탄성을 높인 제품으로 미국에서는 그레이스 방수쉬트를 개발했지만 1롤당 200,000원(기존 방수쉬트 21,000원)이라는 고가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트방수의 문제점을 해결할 신기술을 '페트로산업'에서 개발했다. '아스팔트시트이중복합방수'공법이다.
바닥용 페트로 에버-씰의 경우 물을 포함하고 있는 W/O타입의 유성제품이다. 물이 들어간 제품에 대해 흔히 수성제품이라 부르는 게 보편화되다 보니 제품의 물성 자체를 수용성인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생긴다. 용어만을 정의해 보면 ‘수성’이란 물에 녹기 쉬운 성질이고 ‘유성’이란 기름에 녹기 쉬운 성질을 뜻한다.엄격히 말하면 에버-씰은 물이 윤활제로 사용된 유성제품이라 할 수 있다.
위의 에멀젼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시피 물과 기름을 섞어 에멀젼을 만들었을 때, 물속에 기름이 분산된 O/W 에멀젼의 경우 기름표면을 감싸고 있는 형태로서 수용성을 띤다. 반대로 기름 속에 물이 분산된 경우 물 표면을 기름이 감싸고 있는 형태로 비수용성 성질을 가진다.
바닥용 에버-씰의 경우가 기름 즉 유성인 아스팔트와 오일에 물을 분산시킨 W/O 타입의 에멀젼으로 비수용성의 유성제품이다.
에버-씰은 구체와의 결합성이 좋고 시트와의 완전한 부착성을 추구하며, 대형 공사장에서 우선채용되는 공법이다. 페트로 이중복합방수는 다음에 소개하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