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2025학년도 서울 중등임용 영어 합격자입니다! 저도 작년에 많은 합격수기로부터 도움을 받아 공부 전략을 세우고 동기 부여를 받았던 기억이 있어서 이렇게 합격수기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
1. 기본정보
전공
영어
수험 경력
초수
합격지역
서울
교육학 점수 이력
(25학년도) 20점
2. 최원휘 교육학 선택 이유
①강좌 정보를 접한 경로 처음에는 전공영어 ㅇㅎㅌ 교수님의 소개 및 적극 추천으로 최원휘 교수님을 알게 되었고, 따라서 1순환부터 강의를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②최원휘 교육학만의 장점 1) 탄탄한 기본서 저는 1년 내내 SELF 교육학을 기본서로 활용하였습니다. 교육학 기본서는 한 권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1월부터 11월까지 여러 번 회독을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한 권으로 정착하는 게 더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SELF 교육학은 다른 교재를 따로 안 봐도 될 정도로 모든 내용이 자세하고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또한 매 단원 앞 부분에 주요 내용이 구조화가 되어 있기 때문에 배우는 내용을 한눈에 파악하기도 쉽고 나중에 인출 연습할 때 활용하기도 좋습니다! (합격 이후에 임용 교재들 거의 다 정리하는 중인데 셀프교육학은 약간 애착 교재가 되어서 평생 못 버릴 것 같아요ㅎㅎ) 2) 이해 기반의 효율적 공부, 무작정 암기는 X 기본서에 00의 개념, 특징, 장점, 단점, 유의점, 고려사항 등이 상세하게 적혀 있으면 이걸 모두 외우려고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그 양이 상당해서 다 암기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운다고 해도 이후에 기억나지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ㅠ 강의 중에 교수님께서도 거듭 말씀하시겠지만 교육학은 무작정 암기만으로 해결되는 과목이 아닙니다. 특히나 요즘에는 단순한 암기를 요하는 식으로 문제가 출제되지 않기 때문에 더더욱 맞지 않은 공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최원휘 교육학 커리를 따라서 이해를 바탕으로 공부하다보면 이후에는 개념만 제대로 알고 있어도 장점, 단점, 유의점, 고려사항 등이 술술 나오게 되는 수준까지 도달할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은 교과/사회/학습자 차원, 교육방법은 수업 전/중/후 or 도입/전개/정리••• 교사의 입장에서, 학생의 입장에서, 학교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외우지 않아도 저절로 풀리는 문제들이 정말 많습니다. 이렇게 차원을 나눠서 생각하는 것도 강의를 들으면 저절로 할 수 있게 됩니다! 3) 수험생에게 큰 힘이 되는 따뜻한 교수님 저는 임용 공부하면서 교육학을 정말 좋아했는데 그 이유 중에 반절 이상이 교수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교수님과 1월에 첫 전화상담했을 때부터, 대면 강의나 전국모고 끝나고 나서도 계속 질문 받아주시고 1차 막바지까지 그리고 2차 준비할 때까지 모두를 격려해주시고 응원해주시는 모습에 감동했습니다..ㅠ 질문을 해도 항상 이런 부분은 헷갈릴 수도 있겠다라고 하시면서 다시 쉽게 설명해주셨고, 고민거리를 가지고 갔을 때도 정말 도움 되는 조언들을 해주셨습니다! 최원휘 교육학을 들으시면 이렇게 좋은 선생님과 함께하실 수 있습니다ㅎㅎ
3. 교육학 학습 이력 및 방법 0) 2024년 이전: 학부 교직 과목 수강 1) 2024년 1-2월 주요 내용: 인강 들으면서 교육학 토대 마련 수강 강좌명: 1순환 토대 마련 강의 2) 2024년 3-4월 주요 내용: 인강 들으면서 기출 문제 훑어보기+기본서 회독 수강 강좌명: 2순환 기출 내재화 강의 3) 2024년 5-6월 주요 내용: 강의X, 혼자 이론 점검(미라클모닝 활용)+기본서 회독 수강 강좌명: X
미라클모닝 문제풀이
4) 2024년 7-8월 주요 내용: 강의X, 혼자 이론 점검(미라클모닝 활용)+기본서 회독+기출문제로 셀프모고 진행 수강 강좌명: 4.5순환 빈출파트 핵심이론 특강
특강 필기
5) 2024년 9-10월 주요 내용: 실전모의고사+기본서 회독+백지인출 수강 강좌명: 9-10월 5순환 실전 모의고사 강의
백지인출
6) 2024년 11월 주요 내용: 최종모의고사+기본서 회독 수강 강좌명: 11월 최종 이론 점검 및 모의고사 강의
4. 수강 후기
①교육학 학습에 가장 도움이 된 강좌 및 이유 ✔️ 9-10월 5순환 실전 모의고사 강의 ✔️ 11월 11월 최종 이론 점검 및 모의고사 강의 하반기 모고 강의에서는 실제 시험과 유사한 난이도의 문제들로 여러 번 연습을 해보면서 큰 도움을 얻었습니다. 여러 번 연습하고 강의도 함께 듣다보니 저절로 나만의 만능틀도 생겼습니다. 다양한 난이도로 이론형+현장형 문제 모두 연습할 수 있어 상반기에 공부해둔 내용 인출 연습하는 데에 모고만한 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교수님께서 매번 다른 형식으로 문제를 제작하셔서 줄글만 있는 유형/도표 또는 그림 포함 유형/기타 새로운 유형 모두 연습할 수 있어 실제 시험장에서 어떤 유형이 나와도 당황하지 않게끔 대비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인강생이어도 일주일 내로 첨삭 파일이 업로드되기 때문에 바로바로 저의 약점을 알고 피드백을 반영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강의 스케줄에 맞춰서 매주 2회씩 ‘혼자 모고 풀기 ⟶ 강의 듣기 ⟶ 오답노트 작성’ 순으로 진행했습니다. 9-11월 모고 시즌에 가장 중요한 것은 모고 풀고 바로 덮는 게 아니라 문제 분석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틀린 부분에 대해서는 오답노트를 작성하며 다시 공부를 해야 하고, 헷갈렸던 부분 역시 기본서를 보면서 확실히 내 것으로 만들고 넘어가야 합니다! 저는 실제로 아래와 같이 9-11월 동안 모고 보고 작성한 오답노트 및 문제 분석 노트를 시험장에 가지고 가서 직전까지 읽어보았습니다! ②최원휘 교육학을 추천하고 싶은 대상 및 이유 ✔️ 초수생 / 교육학 배경지식이 많지 않은 사람 : 개념 이해-기출 분석-문제 풀이/인출 연습-모고••• 순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임용 교육학 공부를 처음 하시는 분들도 쉽게 이해하고 진도를 잘 따라갈 수 있습니다! ✔️ 이해를 바탕으로 암기를 하고 싶은 사람 : 저는 학생 때도 무작정 외우는 걸 정말 싫어했던 사람이라서..^ 교육학 공부도 그렇게 하고 싶지 않았어요.. 교육학에서 배운 내용을 임용에서 끝내지 않고 교사가 되어서도 활용할 수 있으니까 애초에 공부를 할 때부터 교사의 시선으로 공부하고 싶었습니다. 최원휘 교수님이 그걸 가능하게 해주셨습니다! 그래서 저는 지금 1차 시험이 끝난지 3개월 정도가 지났는데도 교육학 내용은 기억이 나요ㅎㅎ 실제 시험장에서도 암기한 걸 무작정 다 때려 넣은 게 아니라 수업 때 계속 한 것처럼 차원도 나눠보고 스스로 생각해보려고 했더니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모고 오답노트
지금까지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시기별 공부 내용/방법+최원휘T 전국모고 관련 내용 등 더욱 자세한 사항은 아래 블로그에 적어두었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사항은 블로그 댓글 남겨주시면 시간 나는대로 답변 드리겠습니다!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2.15 01:21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2.15 11:54
첫댓글 쌤~!진짜 첫 전화상담했던게 엊그제 같네요^^누구보다 스마트하게 노력하신 덕분에 행운들이 당연하게 따라온 것 같아요^^ 학교현장에 행운 나눠주러 갑시다~!
+ 쌤 죄송한데^^;;제목에 "25학년도 중등임용 합격수기(지역, 과목, 시험경험)" 이렇게 수정 부탁드려요 양식 바뀌어서 미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