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의 고난에 대한 이해와 윤리적 함의
강남대학교 대학원 신학과 서 동 윤
‘고난’은 인생을 살아가면서 누구나 한 번쯤은 겪게 되고, 이겨내기도 하며
좌절하기도 하는 삶에서 오는 문제이다. 이러한 고난을 대하는 태도에는 사람마다 차이가 존재한다.
고난을 받아들이며 순응하기도 하고, 회피하기도 하며, 맞서기도 한다.
고난을 대하는 태도에는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나 분명한 고난의 성질은 어렵고, 힘든 것이다.
고난은 고통과 구분 지어진다(본문: 8). 고통은 일회적인 아픔이지만 고난은
순간에서 오는 아픔을 포함하는 과정과 목적을 수반하게 된다.
예수는 이 땅에 오셔서 고난받고 십자가에 못 박히고 죽었다.
그의 고난받음과 죽음은 분명한 목적을 수반하고 있다.
그리고 그 목적을 위해 예수는 고난을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모습을 받아들이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본문: 9).
그래서 본 연구에서 고난을 'suffering'이 아닌 'passion'으로 이해하게 된다(본문: 7).
그의 죽음은 온전한 자신의 선택이었으며, 선택한 길을 흐트러짐 없이 올곧게 걸어갔다.
예수의 고난은 그의 사역(ministry) 이었다.
자신의 십자가 사역을 통해 인간과 하나님과의 화목을 이루었으며,
제자도(Discipleship)의 길로 몸소 보여주었다(본문: 30).
그런 모습을 마가와 마태, 누가 그리고 요한이 복음서를 통해 기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예수의 고난을 중심으로 기술한 마가복음의 고난 기사를
중심으로 예수의 고난을 이해하고자 한다.
마가복음을 통한 연구는 예수의 고난 사역에 집중하게 한다.
물론 다른 복음서에서도 예수의 고난 사역이 소개되고 있지만,
복음서 저자의 의도의 차이로 구별된다(본문: 20-22).
복음서 저자의 의도는 복음서의 플롯(plot)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별히 마가복음의 저자 마가는 ‘예수의 칭호’를 통해 자신의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본문: 24).
마가의 의도는 ‘왕적 메시아’가 아니라 ‘고난받는 메시아’를 통한 ‘인자’로서의 예수를 통한
고난 사역에 집중하고 있다(본문: 24-30). 이러한 인자 칭호의 이해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보편적인 메시아 상을 거부한 마가의 의도는 참된 ‘제자도’로의 초대를 의미한다.
참된 제자상은 예수의 십자가 사역의 잘못된 이해를 바로잡고, 마가 공동체에 당면한
고난의 문제의 해결로 고난의 참여로 제시하게 된다(본문: 39).
이러한 고난의 참여는 자신과 하나님과의 화목과 사랑을 이야기하는 것을 넘어서게 된다.
고난의 참여는 예수가 십자가를 통해 이루었던 피조물을 향한 보편적 사랑에까지 확대된다.
예수의 죽음은 자신을 믿고 따르던 소수의 사람들을 위한 죽음이 아닌, 자신을 적대했던
사람들까지 포함하며, 피조물을 향한 절대적 사랑을 십자가에서 보여준 것이었다(본문: 46).
그렇기 때문에 고난의 참여란 예수처럼 하나님 나라를 위한
분명한 목적과 보편적 사랑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인간은 분명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원죄’와 ‘차 범죄’의 한계 속에서 인간이 예수의 십자가 사역을 따르는 것은 완전할 수 없게 된다(본문: 48).
그러나 이러한 한계의 극복은 다시금 예수를 통해 극복된다.
불완전한 인간의 한계를 인정하고, 완전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의지함으로
한계를 극복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본문: 49).
이러한 의존성으로서의 가능성은 현시대의 기독교 문제, 즉, 교회와 사회의 구분을 통한 사역의
확장의 관점에서 하나의 하나님 나라로 관점이 달라지게 된다(본문: 51).
개인과 사회는 구분되기 전에 이미 하나님 나라이다.
그리스도 안에 있는 궁극적인 현실로 받아들여, 전통적인 기독교 윤리관인 현실의
영역과 기독교적 영역의 구분을 극복하고 오직 그리스도를 통해
이 세계의 현실에 나타난 하나님의 현실에 집중할 수 있게 한다(본문: 52).
이러한 현실로의 집중은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요,
그리스도 안에 있게 하는 요소는 본 연구가 집중하고 있는
예수의 보편적 사랑으로써 보여준 고난의 참여로써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본문: 53).
목차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범위 2
제2장 고난에 대한 성서적 이해
1. 고난에 대한 문자적 의미 5
2. 고난에 대한 역사적 의미 7
1) 예수 고난의 현재성 10
2) 예수 시대의 유대교 사회 11
3. 고난의 신비적 의미 13
1) 십자가의 고난과 구원 13
2) 성서적 고난의 신비성 14
3) 예수의 고난을 따라감 17
제3장 고난에 대한 신학적 이해
1. 그리스도론적 의미 20
1) 예수의 칭호 20
2) 두 가지 제자상 22
3) 두 가지 그리스도론과 제자도 25
2. 구원론적 의미 30
1) 대속적 사랑의 의미 30
2) 구원과 대속적 고난 32
3. 종말론적 의미 34
1) 하나님 나라 34
2) 이상적 제자도 38
3) 고난의 참여 40
제4장 고난에 대한 윤리적 이해
1. 성서적 모티프 42
2. 예수의 정치적 요소 43
3. 예수의 삶과 윤리 : 보편적 사랑의 표현으로써 고난 47
제5장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적응
1. 윤리적 한계성 50
2. 윤리적 가능성 51
3. 그리스도의 현실 52
제6장 결론 56
참고문헌 59
Abstract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