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ypes of democracy
민주주의의 종류
Democracy has taken a number of forms, both in theory and practice.
민주주의는 이론과 관행 모두에서 많은 형태를 취했다.
Some varieties of democracy provide better representation and more freedom for their citizens than others.
몇몇 각종의 민주주의는 다른 사람들보다 그들의 시민들을 위한 더 나은 대의권과 더 많은 자유를 제공한다.
However, if any democracy is not structured so as to prohibit the government from excluding the people from the legislative process, or any branch of government from altering the separation of powers in its own favour, then a branch of the system can accumulate too much power and destroy the democracy.
그러나 만약에 민주주의가 입법 과정에서 사람들을 배제하는 정부 또는 정부의 한 분야에서 그들만의 지지로 힘의 분리를 바꾸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서 구성되어 있지 않다면, 그 체제의 한 분야에서는 너무 많은 힘을 모아 민주주의를 파괴할 수가 있다.
Basic forms
기본적인 형태
Representative democracy is a form of democracy in which people vote for representatives who then vote on policy initiatives as opposed to a direct democracy, a form of democracy in which people vote on policy initiatives directly.
대의민주제는 사람들이 정치 계획을 직접 투표하는 형태의 직접 민주제와는 반대로 사람들이 대표를 투표하고 뽑힌 대표가 정치 계획을 투표하는 형태의 민주주의이다.
Direct democracy
직접 민주제
Direct democracy is a political system where the citizens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ersonally, contrary to relying on intermediaries or representatives.
직접 민주제는 중개인 또는 대표에 의존하는 것에 반해서 시민들이 개인적으로 결정을 하는 데에 참여하는 정치적인 체제이다.
The supporters of direct democracy argue that democracy is more than merely a procedural issue.
직접 민주제 지지자들은 민주주의가 단순히 절차상의 쟁점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A direct democracy gives the voting population the power to:
직접 민주제는 투표하는 사람들에게 아래에 나오는 세 가지의 힘을 준다.
1.Change constitutional laws,
헌법을 바꿀 수 있는 힘,
2.Put forth initiatives, referendums and suggestions for laws,
계획, 국민투표, 그리고 법에 대한 의견을 제안할 수 있는 힘,
3.Give binding orders to elective officials, such as revoking them before the end of their elected term, or initiating a lawsuit for breaking a campaign promise.
선거로 선출된 임원들의 선출된 기한이 끝나기도 전에 그들을 탄핵하는 것과 같은 법적 구속력이 있는 지시를 내릴 수 있는 힘.
Direct democracy only exists in the Swiss cantons of Appenzell Innerrhoden and Glarus.
직접 민주제는 스위스의 아펜첼이너로덴 주와 글래러스 주에서만 존재한다.
Representative democracy
대의민주제
Representative democracy involves the election of government officials by the people being represented.
대의민주제는 대표로 선출된 사람들로 인한 정부의 임원 선출도 포함한다.
If the head of state is also democratically elected then it is called a democratic republic.
국가 원수 또한 민주적으로 선출이 되었다면, 민주공화국이라고 불린다.
The most common mechanisms involve election of the candidate with a majority or a plurality of the votes.
가장 흔한 방법은 최다 득표수를 가진 후보자의 선거를 포함한다.
Most western countries have representative systems.
대부분의 서부 나라에서는 대의제를 가지고 있다.
Representatives may be elected or become diplomatic representatives by a particular district (or constituency), or represent the entire electorate through proportional systems, with some using a combination of the two.
대의원들은 어느 특정한 구역(또는 선거구)에서 선출되거나 외교관이 된다. 또는 둘의 조합의 사용으로 비례제를 통해서 유권자 전체를 대표한다.
Some representative democracies also incorporate elements of direct democracy, such as referendums.
몇몇의 대의민주제는 국민투표와 같은 직접 민주제의 요소들을 일부 포함한다.
A characteristic of representative democracy is that while the representatives are elected by the people to act in the people's interest, they retain the freedom to exercise their own judgement as how best to do so.
대의민주제의 특징은 대표들이 사람들의 이익에 행동을 취하기 위해서 선출된 반면에, 그들은 그들만의 판단을 최선으로 하는 데에 활동을 하기 위해서 그 자유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Such reasons have driven criticism upon representative democracy, pointing out the contradictions of representation mechanisms' with democracy.
그러한 이유들은 민주주의에 대한 대의원 방법의 모순을 지적하면서 대의민주제에 대한 비판을 일으켰다.
An open economy is an economy in which people, including businesses, can trade in goods and services with other people and business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t large.
개방경제는 사업을 포함한 사람들이 상품과 서비스를 크게는 국제적인 공동체에서 다른 사람들과 사업과 거래할 수 있는 경제이다.
This contrasts with a closed economy in which international trade cannot take place.
이것은 국제 무역이 이루어질 수 없는 봉쇄경제와 대조된다.
The act of selling goods or services to a foreign country is called exporting.
다른 나라로 상품과 서비스를 파는 행위는 수출이라고 불린다.
The act of buying goods or services from a foreign country is called importing.
다른 나라로부터 상품과 서비스를 사는 행위는 수입이라고 불린다.
Together exporting and importing are collectively called international trade.
수출과 수입 모두를 종합하여 국제 무역이라 한다.
There are a number of advantages for citizens of a country with an open economy.
개방 경제를 가진 나라의 시민들에게는 많은 장점이 있다.
One primary advantage is that the citizen consumers have a much larger variety of goods and services from which to choose from.
주된 장점 하나는 시민 소비자들은 상품과 서비스를 선택하는 데에 있어서 훨씬 더 넓은 다양성을 가진다는 점이다.
As well consumers have an opportunity to invest their savings outside of the country.
또한 소비자들은 그들의 저축한 돈을 국가 밖에서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Economic models of an open economy
개방 경제의 경제 모델
The basic model
기본적인 모델
The basic economic model of an open economy is the same as that of a closed economy model except two new terms are added: Exports (EX) and imports (IM):
Y = Cd + Id + Gd + (EX − IM)
개방 경제의 기본적인 경제 모델은 수출과 수입이라는 새로운 두 가지의 용어가 추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한다면 봉쇄 경제와 같다.
With Y being gross domestic product / national income, Cd is consumer consumption of domestic goods and services, Id is investment in domestic goods and services, Gd is government expenditures on domestic goods and services.
Y가 국내 총생산 / 국민 소득이라 할 때, Cd는 국내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소비, Id는 국내 상품과 서비스에 투자, Gd는 국내 상품과 서비스에서의 정부의 지출이다.
The term (EX − IM) is usually called net exports and is sometimes designated with the term NX.
(EX - IM)이라는 용어는 보통 순수출고라 불리고 때때로 NX이라는 용어로 지칭된다.
Daniel Bell (1919~2011) was an American sociologist, writer, editor, and professor emeritus at Harvard University, best known for his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post-industrialism.
다니엘 벨은 미국의 사회학자, 작가, 편집장, 그리고 탈공업화에 대한 공부의 기여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하버드 대학의 명예교수였다.
He has been described as "one of the leading American intellectuals of the postwar era."
그는 “전후시기의 미국 지능을 이끄는 사람들 중 하나”로 불리었다.
His three best known works are The End of Ideology,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and The Cultural Contradictions of Capitalism.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세 가지 저작물은 이데올로기의 종언, 탈공업사회의 시작, 그리고 자본주의의 문화적 모순이다.
Alvin Toffler (born October 4, 1928) is an American writer and futurist, known for his works discussing the digital revolution, communication revolution and technological singularity.
엘빈 토플러( 1928년 10월 4일에 태어난)는 미국의 작가이자 디지털 혁명, 정보통신의 혁명, 그리고 기술적 특이점을 다루는 그의 저작물들로 알려져 있는 미래학자이다.
The Third Wave is a book published in 1980 by Alvin Toffler.
제 3의 물결은 엘빈 토플러가 지은 1980년에 출판된 책이다.
It is the sequel to Future Shock, published in 1970, and the second in what was originally likely meant to be a trilogy that was continued with Powershift: Knowledge, Wealth and Violence at the Edge of the 21st Century in 1990.
그것은 1970년에 출판된 미래 충격의 속편이고, 1990년에 원래는 권력이동:21세기 끝에서의 지식, 부와 폭력을 이어 3부작일 것처럼 보였다.
A new addition, Revolutionary Wealth, was published, however, in 2006 and may be considered as a major expansion of The Third Wave.
그러나 새로운 부가물, 혁명적인 부가 2006년에 출판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제 3의 물결의 확장으로 여겨질지도 모른다.
Toffler's book describes the transition in developed countries from Industrial Age society, which he calls the "Second Wave", to Information Age "Third Wave" society.
토플러의 책은 선진국에서의 그가 2의 물결이라 부른 산업 시대 사회에서 3의 물결 정보 시대 사회로의 전환을 서술한다.
Toffler's Wave Theory
토플러의 물결 이론
In the book Toffler describes three types of societies, based on the concept of 'waves'—each wave pushes the older societies and cultures aside.
책에서 토플러는 물결-각 물결은 그 전 사회와 문화들을 밀어 치운다-이라는 개념에 기초하여 세 가지 유형의 사회를 묘사한다.
The First Wave is the settled agricultural society which prevailed in much of the world after the Neolithic Revolution, which replaced hunter-gatherer cultures.
제 1의 물결은 사냥꾼-채집꾼 문화를 대체한 신석기혁명 이후에 세계 대부분으로 널리 퍼진 정착된 농업 사회이다.
The Second Wave is Industrial Age society.
제 2의 물결은 산업 시대 사회이다.
The Second Wave began in Western Europe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subsequently spread across the world.
제 2의 물결은 산업 혁명과 함께 서부 유럽에서 시작되었고, 그 뒤에 전 세계로 퍼졌다.
Key aspects of Second Wave society are the nuclear family, a factory-type education system and the corporation.
2의 물결 사회에서의 주요 측면은 핵가족, 공업 형태의 교육 체제와 기업이다.
Toffler writes:
토플러는 썼다:
"The Second Wave Society is industrial and based on mass production, mass distribution, mass consumption, mass education, mass media, mass recreation, mass entertainment,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제 2의 물결 사회는 산업적이고 대량생산, 대량분배, 대량소비, 대중교육, 대중매체, 대중오락, 그리고 대량살상 무기에 기초되어 있다.
You combine those things with standardization, centralization, concentration, and synchronization, and you wind up with a style of organization we call bureaucracy."
너는 그런한 것들을 표준화, 중앙집권화, 집중화, 동기화로 결합하고 관료체제라고 부르는 체계의 방식이라 한다.“
The Third Wave is the post-industrial society.
제 3의 물결은 정보 탈공업화 사회이다.
Toffler says that since the late 1950s most countries have been transitioning from a Second Wave society into a Third Wave society.
토플러는 1950년대 말 이후로 대부분의 국가들은 제 2의 물결 사회에서 3의 물결 사회로 전환했다고 말한다.
He coined many words to describe it and mentions names invented by others, such as the Information Age.
그는 그것을 묘사하기 위해서 많은 말들을 만들었고 정보 사회와 같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만들어진 명칭들을 언급한다.
----------------------------------------------------------------------------------------------------------------------
토론입론서
논제: 전면 무상 급식을 찬성한다.
찬성
1. 전면 무상 급식을 통해 학생들 간의 빈부격차가 눈에 현저히 띄지 않는다.
-전면 무상 급식 전에는 이러한 혜택들을 받기 위해서 학부모는 저소득층임을 증명해야했고 이러한 과정에서 그 자녀 학생은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거나 자존감이 낮아질 수 있다. 그러나 전면 무상 급식이 실시되어 이러한 증명을 할 필요가 줄어들어 앞에서 말한 문제들이 일어날 가능성 또한 줄어든다.
반대
1. 전면 무상 급식은 수직적 평등에 어긋난다.
-수직적 평등은 모든 사람이 다 같다가 아닌, 자신의 능력에 맞는 양을 분단함으로서 평등함을 추구하는 관점이다.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수평적 평등보다는 수직적 평등을 선호하고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면 무상 급식을 하게 되면 잘 사는 집의 자녀들까지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것이 되는데, 정부가 상위 사람들까지 지원을 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2. 전면 무상 급식을 하는 돈을 다른 데에 쓰는 것이 더 유용하다.
-현재 전면 무상 급식을 실시한 결과, 결국 예산이 부족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전면 무상 급식을 하지 않고 선택적 무상 급식을 하여, 남은 돈으로 학교 시설을 더 좋게 해주는 등 다른 데에 쓰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