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스포츠일반 토론방 원문보기 글쓴이: VlQislomEuniM
회수 | 년도 | 리듬체조 |
23 | 1985 | * 제12회/1985 |
* 바이야도리드,스페인 | ||
* 개인예선 | ||
73위 홍성희 | ||
78위 김인화 | ||
93위 채 린 | ||
- | ||
24 | 1987 | * 제13회/1987 |
* 바르나,불가리아 | ||
* 개인예선 | ||
45위 홍성희 | ||
54위 김인화 | ||
88위 김수정 | ||
- | ||
25 | 1989 | * 제14회/1989 |
* 사라예보,유고 | ||
* 개인예선 | ||
57위 김수정 | ||
68위 김여경 | ||
88위 김해련 | ||
* 팀경기 25위 | ||
- | ||
26 | 1991 | * 제15회/1991 |
* 아테네,그리스 | ||
* 개인예선 | ||
61위 김유경 | ||
64위 윤병희 | ||
74위 김수정 | ||
* 팀경기 21위 | ||
- | ||
- | ||
회수 | 년도 | 리듬체조 |
27 | 1992 | - |
(개인) | ||
- | ||
- | ||
28 | 1993 | * 제17회/1993 |
* 알리칸테,스페인 | ||
(개인) | * 개인예선 | |
38위 김유경 | ||
60위 서세미 | ||
97위 윤병희 | ||
102위 권보영 | ||
* 팀경기 20위 | ||
29 | 1994 | * 제18회/1994 |
* 파리,프랑스 | ||
(개인) | * 개인예선 | |
34위 서세미 | ||
* 단체경기 | ||
일반경기 10위 | ||
회수 | 년도 | 리듬체조 |
30 | 1994 | - |
(단체) | ||
31 | 1995 | * 제19회/1995 |
* 비엔나,오스트리아 | ||
* 개인예선 | ||
52위 김유경 | ||
59위 권보영 | ||
93위 김은혜 | ||
* 팀경기 27위 | ||
* 단체경기 | ||
일반경기 14위 | ||
32 | 1996 | * 제20회/1996 |
* 부다페스트,헝가리 | ||
(개인) | * 단체경기 | |
일반경기 22위 | ||
33 | 1997 | * 제21회/1997 |
* 베를린,독일 | ||
* 개인예선 | ||
47위 김민정 | ||
61위 김은혜 | ||
67위 권보영 | ||
156위 황숙현 | ||
* 팀경기 22위 | ||
1998 | * 제22회/1998 | |
* 세비야,스페인 | ||
* 단체경기 | ||
일반경기 25위 | ||
회수 | 년도 | 리듬체조 |
34 | 1999 | * 제23회/1999 |
* 오사카,일본 | ||
* 개인예선 | ||
43위 김은혜 | ||
55위 조은정 | ||
75위 정은주 | ||
144위 최예림 | ||
* 팀경기 19위 | ||
* 단체경기 | ||
일반경기 22위 | ||
2000 | - | |
35 | 2001 | * 제24회/2001 |
* 마드리드,스페인 | ||
* 개인예선 | ||
54위 유성은 | ||
58위 조은정 | ||
61위 최예림 | ||
* 팀경기 19위 | ||
36 | 2002 | * 제25회/2002 |
* 뉴올리언스,미국 | ||
*단체경기 | ||
일반경기 19위 | ||
회수 | 년도 | 리듬체조 |
37 | 2003 | * 제26회/2003 |
* 부다페스트,헝가리 | ||
* 개인예선 | ||
87위 최예림 | ||
92위 유성은 | ||
100위 이지애 | ||
* 팀경기 29위 | ||
* 단체경기 | ||
일반경기 18위 | ||
38 | 2005 | * 제27회/2005년 |
* 바쿠,아제르바이잔 | ||
* 개인예선 | ||
52위 신언진 | ||
54위 이경화 | ||
* 팀경기 17위 | ||
* 단체경기 20위 | ||
39 | 2006 | - |
40 | 2007 | * 28회 세계선수권 |
* 파트라스,그리스 | ||
* 개인예선 | ||
신수지 23위 | ||
신언진 46위 | ||
이경화 51위 | ||
*팀경기 12위 | ||
* 개인종합결승 | ||
신수지 17위 | ||
*단체일반 18위 | ||
2008 | - | |
회수 | 년도 | 리듬체조 |
41 | 2009 | ★29회 리듬세계선수권 |
미에, 일본 | ||
★개인예선 | ||
신수지 34위 | ||
이경화 65위 | ||
★단체일반 20위 | ||
42 | 2010 | ★30회 리듬세계선수권 |
모스크바, 러시아 | ||
★팀경기 | ||
12위 | ||
★개인예선 | ||
손연재 32위 | ||
신수지 36위 | ||
★단체일반 | ||
23위 |
손연재 선수 불가리아 소피아 월드컵 경기 결과(성적표),동영상 등을 기록합니다.
손연재 선수가 출전한~이번~불가리아 소피아 월드컵은
( 제가 알기로 ) 리듬체조 대회중에서는 A급 경기에 해당할만큼~중요한 대회이며..
상위그룹 선수들이 대거 참여한 대회이기도 합니다.
손연재 선수의 경기 결과는..다음과 같습니다.
개인종합 7위,리본/후프/곤봉 3종목 파이널 진출,리본 동메달 획득
이번에는..특히...국제리듬체조연맹 공식홈페이지 에서도~
손연재 선수의 선전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어서..인상적이었어요~
보이는대로 대략적으로 해석해서 올려봅니다.
문맥이 안맞을 수 있어요
--------------------------------------------------------------------
한국리듬체조의 희망 손연재 선수가 리본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녀는 5월의 끝..18번째 생일을 맞게된다 (5월 28일이 생일 이에요^^)
약 일주일전 러시아 펜자 월드컵에서의 후프 동메달 이후..이번 소피아 월드컵 리본에서 동메달을 획득
총 2차례..그녀의 조국에 월드컵 메달을 선사했다
---------------------------------------------------------------------
국제리듬체조 연맹 홈페이지에서도 손연재 선수의 이야기가...^^
우리나라 리듬체조선수를 언급하며 관심을 갖고있다는 그 자체가..^^
(자랑스럽고 대견하고..그런 느낌이 들었습니다.^^)
우크라이나 안나 리자트디노바 선수와 같은 점수 (27.300점)으로 리본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어요~
시상식도..두명이 동시에 시상을....
손연재 선수의 개인종합 경기 동영상(AA)은 못찾았습니다.
성적표만 올릴께요~
손연재 선수는 109.800점으로 개인종합 7위를 기록했어요~
볼경기 점수를 제외하고~후프 27.775점/곤봉 27.750점/리본27.725점
3개 종목에서 골고루..비슷하게 27점 후반대 점수가 나왔어요~
런던올림픽 전까지..점수를..28점대로 안정적으로..끌어올렸으면 하는 바램을 ....
1위는..리듬체조의 지존~예브게니아 카나예바선수~
2위는 다리아 콘다코바 선수 입니다.
그런데..이번엔..
다리아 드미트리예바 선수가 4위네요~
성적표를 보니..볼경기에서 실수가 있었던것 같구요~
불가리아 선수 실비아 미테바 선수가 3위 입니다.
손연재 선수 AA 경기 영상은 차후에..찾으면 올려야 할것 같습니다.
파이널 진출 영상들만 모아서 올려볼께요~
27.300점으로 우크라이나 안나 리자트디노바 선수와 함께 공동 3위를 기록,
동메달을 획득했습니다.
후프경기는..안타깝네요~~ㅜㅜ
27.700점으로...4위입니다.
곤봉경기는 24.900점..ㅜㅜ실수가 반복되어 점수가 낮아졌어요~
다리아 콘다코바 선수역시..큰실수가 반복되면서..8위가 되어버렸어요~
참고적으로..
리듬체조 포스팅을 올릴때....전 특별히..선수들의 난도점수나 예술점수
기술명칭(푸에테/피봇/발란스 명칭) 등을 거의 언급하지 않아요
그건..저 스스로가..각각의 모든것을 명확히 구분해낼만큼의 수준이 아니라서요~
(아직 한참 모자르기 때문입니다.ㅜㅜ)
구분해낼 만큼의 자신감이 생기면~그때부터는 ...^^
단순이슈로 리듬체조 라는 스포츠종목을 올리는건 절대아닙니다.
제가 우선 좋아하고..(응원하는 선수들도 있구요~)관심이 있기에 올리는 것이고
경기를 보고싶어하시는 분들이나 궁금해하실 분들과 공유하기 위해 올리는 것입니다.
가끔..제 글을 왜곡하여 오해하시는 분들이 계셔서..ㅜㅜ 난감할때가 생깁니다.
난도나 기술에 관해 논하지 않는다고 하여~리듬체조라는 스포츠를 저보고 모른다고 하신다면...
그에대해서는..도무지..답변을 하거나 응대할 가치를 못느끼겠습니다.
그것이 아니라면..손연재 선수 경기 내용 자체를 다루는 것을 싫어하시는것 같은데요~
스포츠 스타든~공인이든~누구에게나..안티라는 것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저역시..그런 부분을 인정하고는 있습니다만...
너무..무조건적이고 일방적으로..이유없이 비난하신다면...
그역시...답변을 하거나 응대할 가치가 없는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손연재 선수..지난 경기..러시아 펜자 월드컵 사진 몇장 올릴께요~
Son Yeon Jae 사진출처-VFRG
손연재 올림픽 최종 5위 ? 대한민국 리듬체조의 새로운 역사
손연재 선수의 올림픽 결선 경기가 있었습니다. 예선 6위로 결선에 진출하여 2개 종목 끝났을 때까지만 해도 동메달까지 바라 봤지만, 곤봉의 큰 실수로 아쉽게도 최종 5위로 올림픽을 마무리했습니다.
리듬체조 결선을 겨룬 최종 10명의 성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순위 | 이름 | 후프 | 볼 | 곤봉 | 리본 | 합계 |
1 | 카나예바 | 29.350 | 29.200 | 29.450 | 28.900 | 116.900 |
2 | 드미트리예바 | 28.300 | 28.350 | 28.750 | 29.100 | 114.500 |
3 | 차르카쉬나 | 28.100 | 28.000 | 27.525 | 28.075 | 111.700 |
4 | 가라예바 | 27.925 | 27.825 | 27.575 | 28.250 | 111.575 |
5 | 손연재 | 28.050 | 28.325 | 26.750 | 28.350 | 111.475 |
6 | 막시멘코 | 27.950 | 26.675 | 27.550 | 27.450 | 109.625 |
7 | 리브킨 | 27.350 | 26.850 | 27.800 | 27.000 | 109.000 |
8 | 미테바 | 27.450 | 27.100 | 26.750 | 27.650 | 108.950 |
9 | 미트로즈 | 27.475 | 27.150 | 26.850 | 27.425 | 108.900 |
10 | 리자티노바 | 26.750 | 27.050 | 27.100 | 26.500 | 107.400 |
위 표의 기록을 보면 1, 2위는 다른 그라운드의 선수들로 보이고요. 3, 4, 5위가 치열한 접전을 펼쳤습니다. 3위 차르카쉬나 선수와 5위 손연재 선수와의 점수 차이는0.225점 차이인데, 손연재 선수가 곤봉에서 27.000점만 받았어도 손연재 선수가 동메달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이지요.
어찌 보면 이것은 경험의 차이라고 할 수 도 있을 것입니다. 차르카쉬나나 가라예바도 올림픽 무대와 같은 큰 무대에서 긴장을 하기 때문에 잔 실수들이 있었지만, 매우 큰 실수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차르카쉬나와 가라예바 선수의 종목 최고 점수와 종목 최저 점수 차이가 각각 0.575, 0.675인데 반해, 손연재 선수는 그 차이가1.600점이나 난다는 것은 큰 무대의 경험 부족이 아닐까 합니다.
그래도 손연재 선수는 대한민국 리듬체조 역사상 최초의 올림픽 결선 진출과 최고의 성적을 올렸다는 데 충분히 칭찬을 받을 만 합니다. 올림픽과 같은 큰 무대에서 전 세계 리듬체조 관계자에게 멋진 연기로 강인한 인상을 주고, 리듬체조 팬들에게도 동양에서도 이러한 훌륭한 선수가 있다는 것을 잘 보여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올림픽 결선 출전 선수 10명 중 가장 어린 나이, 시니어 데뷔 2년 차 만에 달성한 성적이기 때문에 앞으로의 대회에 더 기대할 만 합니다. 손연재 선수의 좋은 성적에 찬사를 보내며 앞으로 더 성장하는 훌륭한 선수가 되기를 바랍니다.
손연재선수 올림픽 리본경기 D1(신체난도) 자세한 분석
1. 애티듀드피봇( c난도 0.3) 프론트스케일피봇 ( g난도 0.7) ;
이복합피봇은 손선수가 즐겨하는 난도 입니다. 2회전 피봇이기 때문에 0.2점이
추가되고 연결 가산점 0.1점이 가산되니,
0.5 0.9 0.1 = 1.5점 정도가 되겠네여~
애티튜드;발레에서 몸을 한 다리로 지탱하고 다른 한 다리는 무릎을 굽혀 90도 각도로 뒤로 올리는 동작
피봇은 서포팅렉으로 플로어를 지지한 상태에서 프리렉을 들어 올려서 회전을
하는 동작이지요. 이때 서포팅렉의 무릅이 굽혀져서는 안되고, 가능한 프리렉도
고정된 상태을 유지해 주는것이 중요 합니다. 리체선수들이 경기를 할때 피봇
의 상태를 보면 그날 컨디션을 가늠 할수 있다 하지요. 이번 올림픽때도 세계적인 선수
들중에도 피봇시 무릅이 굽혀진다거나 흔들리는 경우가 많이 눈에 띠더라구요
손연재의 선수의 피봇은 참 아름다운 거의 교과서적이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2. 백스케일밸란스 ( g난도 0.7) 백애디튜드피봇 (e난도 0.5)
백스케일밸란스는 허리를 최대한 뒤로 스케일한 자세에서 앞다리는
최대한 높이 올려 스플릿한 자세를 말합니다.
보통의 애티튜드 포지션에서 허리를 젖히면 백애티튜드라 합니다
2회전이니 0.2점이 추가되니
0.7 0.7 = 1.4 정도 되겠네요
밸란스
발끝 혹은 하나의 무릎에서 연기 되어야 하고, 뚜렷한 그리고 고정된 형태을 가져아 합니다.
(난도동안 서포팅렉과 프리렉의 움직임이 없어야 합니다)
기구의 숙련 요소는 반드시 밸란스 정지 순간부터 자세의 변화가 시작되는 순간까지 계산,
난도 점수는 첫번째 밸란스 두번째 밸란스 연결점수 (0.1)
3. 백스플릿턴점프 (백아치점프) ( h난도 0.8)
상체를 턴하면서 허리를 최대한 뒤로 젖히면서 하는 스플릿점프 입니다.
점프에서는 다리의 각도가 중요하며, 기본적으로 180도 이상은 되어야 하고,
앞다리와 뒷다리의 각도도 중요한 채점 요소가 됩니다. 백벤드를 하기 때문에
허리의 유연성 또한 중요한 채점 요소가 되겠지요. 손연재의 선수의 백아치점프
는 다리각도도 괜찮고, 자세히 보면 뒷다리와 머리가 닿을 정도로 멋진 유연성
을 보여 줍니다. 물론 시원한 느낌은 다소 떨어지지만 교과서적인 점프란 생각
이 드네요^^
4. 수평푸에테피봇 ( b난도 0.2)
푸에테피봇은 흔희 발레에서 많이 보는 동작이지여.
프리렉을 접었다 피면서 마치 말에 채찍직질 하는듯한 동작을 하면서 턴하는 동작 입니다.
수평푸에테는 프리렉을 접었다 필때 플로어와 수평을 유지해 주어야 합니다.
손연재는 수평푸에떼는 교과서에 가까운 명품 피봇입니다.
기초점은 낮지만 추가적인 턴에 대해서 0.2점의 가산점이 붙습니다.
하도 회전수가 많으니 알아서 계산하면 되겠네여~
5. 프론트스케일밸란스( f난도 0.6) 백애티듀드밸란스 (e난도 0.5)
연결가산점 (0.1) = 1.2 점
밸란스 난도이며 너무나 아름답고, 탑랭커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깨끗한 밸란스
동작이라고 생각 됩니다.
6. 스태그턴링점프 (h난도 0.8)
스태그점프중에서도 고급난도에 속하는 점프 입니다.
몸을 회전시키면서 앞다리는 접으면서 허리를 뒤로 젖히며 뒷다리는 링모양을
만들어 머리에 닿을 정도의 유연성을 보여줘야하는 점프 입니다.
탑랭커들은 워낙 유연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뒷다리가 거의 어깨 닿을정도로
믿기 어려운 황홀한 유연성을 보여 주는 선수도 있지여~
스태그점프 (b난도 0.2)
스태그링점프 (d난도 0.4)
백스태그점프 (e난도 0.5)
스태그턴링점프 (h난도 0.8)
7. 프론트스케일(퐁셰)피봇 (g난도 0.7) 4회전
프론트스케일밸란스 자세에서 피봇을 하는데, 무려 4회전을 하네요. 더군다나
경기시간 후반부에 체력이 딸린상태에서 4회전을 한다는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피봇자세도 흔들림이 없고 어떤 손색도 없는 훌륭한 피봇 입니다.
추가적인 턴에 대해 0.2 점이 추가되니 1.3 점이 되겠네요^^
8. 백스태그턴점프 (h난도 0.8)
앞다리는 접고 뒷다리 핀상태에서 상체를 턴하며 허리를 최대한 뒤로 젖히면서
하는 점프 입니다. 이때 허리와 머리는 뒷다리에 닿을 정도의 유연성을 보여주면
좋을듯 싶은데 지금 손선수의 백스태그턴점프 경기 후반부라 그런지 조금 유연성
이 딸리는 느낌이네요. 그러나 무난하다고 봅니다.
10. 백스태그점프 (e난도 0.5)
앞다리는 접고 뒷다리 핀상태에서 상체를 턴하지 않고 허리를 최대한 뒤로 젖히면서
하는 점프 입니다. 이때 허리와 머리는 뒷다리에 닿을 정도의 유연성을 보여주면
좋을듯 싶은데 위에 턴할때 보다는 확실히 유연성 더 돋보이는 훌륭한 점프 입니다.
단일 난도를 반복하게 되면 반복된 난도는 점수가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와같이
복합피봇이나 복합점프로 최대한 점수를 높이도록 난도를 구성 하게 됩니다.
손연재 선수의 리본 신체난도(D1)을 분석해 보면 최고 난도에 속하는 I, J난도는 없어도
고급난도에 속하는 G,H 난도의 기술을 많이 구사 하고 있으며, 정확하고, 깨끗하고
예쁘게 구사 하고 있습니다. 난도의 기본적인 지식이 있다면 손연재 선수의 난도 기술
낮다고 말할수 없겠?.. 아마 연습때는 최고 난도의 기술도 연습할거라고 생각합니다.
일취월장 하는 손연재선수 그래서 리오 올림픽이 기대 되는 이유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