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러시안블루 (Russian Blue)
1) 이 명 : 아크앤젤 블루(Archangel Blue)
2) 외 관 : 체중은
4kg 안팎으로 중형묘이다. 눈은 기본적으로 녹색과 연두색, 파란색을 띤다. 귀는 큰 편으로 뾰족하고 항상 쫑긋 세워져 있다. 포린형의 늘씬하고 균형잡힌 체형이다. 날카로운 역삼각형의 머리와 고고한 자세가 코브라를 연상케
한다고도 한다. 단모종이며 은청색을 띤 털이 덮혀 있어 잘 씻겼을 경우 아름답게 빛난다. 이 털 덕분에 무릎에 올려놓으면 뜨끈하고 말랑말랑한 은빛 덩어리로 보인다. 단, 여타 고양이에 비해 몸이 단단한 편이라, 말랑말랑한 맛은 조금 떨어진다. 대신 무릎에 올라오 는 빈도가 매우 높으니 상관 없지만 고양이인 만큼 털날림은 여전히 심해서, 윤기나고 반짝반짝거리는 은빛 털들이 집
안을 둥둥 떠다니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외형적인 특징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짧고 선명하며 청색의 털을 가졌다는 것인데, 무늬가 없고 털 각각에 은색이 돌아 털이 윤이 나 보이게 한다. 이
털은 쓰다듬거나 핥은대로 형태가 남는다. 머리는 브이자형으 로 눈은 연두색이다. 몸은 탄탄하고 날렵하며 단단한 근육질이다.
3) 설
명 : 러시안 블루(Russian
Blue)는
고양이 품종 중 하나로 청회색의 단모종이다. 귀족의 느낌 그대로, 러시아 황실의 고양이이다. 러시아 황실에서 교육을 받은 탓인지 영리하고
조용하며 온순한 편으로 우리나라 실내에서 키우기 좋아 국내에 가장 많은 외래품종 가운데 하나이다. 우는
소리가 작은 종으로 유명하다. 집사에게 분위기를 맞출 줄 아는 고양이로 가족과 함께 애정을 나누지만
낯선 사람은 의외로 경계하는 편이다.
러시안 블루의 성격은 온순하고 조용하며
내성적이다. 애정이 많은 고양이라 주변과 잘 어울린다. 집안
분위기에 민감하기 때문에 주인이 우울하면 얼굴을 쓰다듬어 우울함을 달래주기도 한다. 함께 사는 가족들에게
믿음이 깊고 애교가 많으며 어울려 노는 것을 좋아하지만, 낯선 사람에게는 경계심이 많아 낯을 많이 가리는
편이며, 호기심이 많고 활동적이며 높은 곳에 올라가는 것을 좋아한다.
성묘가되면 자신도 주인을 사랑할 줄 안다. 하지만 길들이기에 따라 난폭해 질 수 있다.
쿨하고 시크해보이는 외모와는 달리 실제론 샴고양이와 맞먹는 수준의 개냥이다. 겁이 많아서
바깥 산책, 혹은 내다 키우는 버릇을 들여놓지 않았다면 ‘산책이나
해볼까?’ 하고 하네스나 목줄을 걸어 나가려고 했을 때 결사적으로 집에 눌러앉으려 한다. 게다가 원체 온순한 데다 조용한 품종이다보니 소심하게까지 느껴질 정도이다. 낯을
심하게 가리는 편으로 가장 친한 가족 외엔 잘 놀려 하지 않고 애정이 깊어서 혼자 놔두기 애처롭게 느껴진다. 그래도 혼자 놔두게 되면 호기심이 많다 보니 이것저것 치고 건드리고 깨물며 깨뜨리면서 즐겁게 시간을 보낸다. 근데 이것도 개묘차에 따라 다른 것이 고양이 카페 등지에서 러시안 블루는 필수적인 존재로, 하루에도 수백 번씩 낯선 사람들을 보
면서 가장 애교를 잘 떠는 활발한 종이 샴과 러시안 블루다. 고양이 중에서도 특히 높은 곳을 선호하는 편이며 잘 때는 언제나 책장 위, 장롱
위 같은 높은 곳에서 자려고 한 다.
4) 주 의 : 주의해야 할 질병으로는 피부질환과 대부분의 고양이에게서 관심을 기울여야 되는 요로결석 등이 있다.
5) 기
원 : 러시안블루는 러시아의 서북부 아르한겔스크 지역 유래 종으로 알려져 있으나 확실치 않다. 아르한겔은 영어로 Archangel(대천사)라는 뜻으로 원래는 아크앤젤 블루(Archangel Blue)라고
불렀다. 러시아 황실 고양이의 후손으로 1860년대 영국으로
건너와 빅토리아 여왕의 애묘가 됐다고 한다. 한때 영국에서 유행하던 프랑스 고양이 ‘샤르트뢰’와 외모가 비슷해서 잡종으로 번졌으나 19세기 말부터 혈통 복원을 통해 오늘날과 같은 외모를 갖게 되었다. 샤르트뢰는
눈 색깔이 대부분 노란 구리색이 많으며 금색과 노란색도 있는데 러시안블루는 성묘의 경우 눈 색깔이 에머럴드 빛 연두색으로 차이가 난다. ‘샤르트뢰 ’와 달리 러시안블루는 ‘네벨룽’(Nebelung)이라는 장모종으로 개량된 사례도 있다. 성격은 러시안블루와 같고 눈 색깔이나 털 색깔도 같은데 털만 긴 품종이다. 날렵한
느낌의 러시안블루와 달리 네벨룽은 우아한 느낌이다.
확실한 기원은 아니지만, 북부
러시아의 아칸젤(Archandel)섬에서 유래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원래는
아칸젤캣(Archangel Cat) 혹은 Foreign Blue로
알려졌었고, 1860년대에 선원들에 의해 영국과 북유럽으로 전해졌다고 전해온다. 러시아 Czars 왕가의 황실 고양이의 후손이었고, Victoria 여왕의 애묘였다고 하는데 그 때문에 1875년 영국의
크리스탈궁에서 아칸젤고양이(원조격 러시안 블루)로 소개되었다. 러시안 블루가 들어올 당시 유럽에서 유행하는 고양이는 진한 푸른빛을 띠고 에머랄드 그린의 눈빛을 가졌으며 건장한
몸을 한 샤트룩스(Chartreux)라는 고양이로, 러시안
블루는 샴고양이처럼 보이도록 교육을 받았고, 브리티쉬종의 외관을 따라가게 교배시켰다. 그렇기 때문에 독특한 특성을 점점 잃게 되어 후에 원조 아칸젤고양이를 살리려는 영국인 브리더(고양이, 개 등 동물 품종의 고유한 특징을 유지하면서 유지시키는 전문가)들이 후에 러시안 블루의 외모를 복귀시키려는 노력을 해야만 했다. 1912년
독자적인 종으로 인정받고, 그 이후 미국으로 유입되었는데, 영국과
미국, 스칸디나비아 브리더들이 혈통을 발전시켜 1960년대
큰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러시아의 아르헨겔스크 제도에서 유래해 영국의 종 개량을 통해 만들어진 종. 러시아
황실, 영국의 빅토리아여왕이 키운 고양이의 후손이라고도 한다.
1875년 '아칸젤 고양이'라는 이름으로 소개되었다. 소개될 당시에는 당시 유행을 따라 샴, 브리티시 종과 닮도록 교배되었는데, 이후 아칸젤 고양이의 원형을 복구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뤄졌다. 1912년
러시안 블루로서 독자적 종으로 인정받았고,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6) 문 화 : 영화 콘스탄틴에서 주인공이 지옥으로 들어가기 위해 영매로 쓰는 고양이가 바로 이 종으로 극중 여주인공의 애완묘로 나온다. 명탐정 코난의 키사키 에리가 2번째로 데려와 키우는 고양이이다.이름은 ‘고로’인데 이름은 1번째 고양이와 같으며, 남편 모리 코고로에서 이름을 따온 듯하며 상당히 영리한 고양이로 나온다. 유명한 만화 영화 ‘톰과 제리’에 나오는 톰이 러시안 블루로 추정된다. 천적(웹툰)에서 갑순이라는 러시안 블루가 해설진으로 등장하며 오드아이가 특징이다.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의 한나루의 집에서 키우는 애완 고양이 블루도 이종에 속한다. 트리 오브 세이비어의 소서러 스킬 중 서번트 소환에서 나오는 고양이도 러시안블루이다. 마비노기에서는 펫으로 나오는데 아이템 소지량이 다른 품종의 고양이들보다 많지만 운 수치가 낮아서 전투 후에 아이템을 얻기가 힘든 편이다.
7) 기
타 : 한국에도 상당히 많이 들어와 있는 인기종이다. 아무래도 좁은 아파트
등에서 사는 경우가 많은 한국인의 주거환경상 내성적이고 애교많으며 시끄럽게 울지도 않는 러시안 블루가 기르기에 매우 편리하기 때문이다.
분양가는 천차만별인데, 순혈에
혈통서가 붙어 있는 경우 100만원 대로 가격이 치솟는다. 그
외 가정분양이나 펫셥에서는 30~40만원대 정도이다. 그렇지만
혈통서가 붙어있는 순혈 러시안블루는 펫샵이나 가정분양에서 보는 것과 많이 다르게 생겼다. 캣쇼같은데
러시안블루가 나가면 얘가 러시안블루 맞냐고 할 정도로 흔히들 보는 가정분양이나 펫샵 러시안블루가 회색 코숏같은 느낌이라면 순혈 러시안블루는 귀와
귀 사이가 넓고 청량한 초록눈에 웃는 상을 가진 한마디로 예쁜 요다 요정 같은 느낌이다.
사료를 달라는 대로 주고 운동 하나 시키지 않고 방바닥에만
개기게 만들어 살이 뒤룩뒤룩 찐 경우가 아니라면 날렵한 체형에 걸맞게 단단하고 파워풀한 몸을 가지고 있다. 겁이
많은 것과는 별개로 영역 침범, 혹은 분쟁이 일어났을 땐 애교 많고 소심한 당신이 아는 러시안 블루가
아니다. 피치 못할 사정으로 탁묘를 보낸 성체 러시안 블루가 낯선 환경에 적응 못 하고 식빵자세로 경계하고
있을 때 집 주인의 고양이가 시비를 걸자 빡 후려쳐 상대로 하여금 순식간에 배를 까게 만들었다는 일화가 있다.
눈치가 빨라 주인을 위로할 줄도 알고 애정이 많다 보니 사랑을
주어 잘 키운 러시안 블루는 주인과 상상을 초월하는 연대를 가지게 된다. 당신이 만약 러시안 블루를
몇 달에서 수 년까지 키워 많은 정이 들었다면 귀가하기 몇 십 분 전부터 현관문 앞에서 자신을 기다렸다는 가족의 증언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고양이의 특징을 두루 갖추면서도 고양이답지 않을 만큼 애정이 많아 키우는 보람을 느낄 수 있다. 물론 그런 만큼 다른 고양이를 들였을 때 받는 충격이 크므로(사실
이건 어느 고양이든 똑같다), 신중히 생각해야 한다.
※ 러시안블루와 혼동하기 쉬운 고양이 품종
► 러시안블루와 비슷한 프랑스 샤르트뢰 (Chartreuse = 샤트룩스[Chartreux])
► 니벨룽 (Nebelung)
이 품종의 아종으로, 니벨룽(Nebelung)이 있다. 러시안 블루의 장모종으로 털 길이를 제외한 눈 색깔과 같은 외견과 성격 등은 완전히 동일하다. 대신 털이 긴 만큼 장모종 특유의 우아한 품격, 은청색의 털색깔과 러시안 블루 특유의 늘씬하고 고고한 몸가짐에 맞아떨어져 사진과 같이 위엄있는 풍채를 자랑한다.
물론 성격이 똑같다 보니 애교가 많고 소심하기 짝이 없어 갭 모에를
느끼게끔 한다.
그러나 실제로 보면 굉장히 귀엽다. 특히 저 북실북실한 털이 만지기에는 너무 너무 좋은데 특히 니벨룽의 꼬리는 중독성이 있어서 한 번 만지기 시작하면
멈출 수가 없다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복슬복슬한 털이 다른 고양이와 차원을 달리할 정도로 가늘고 부드럽다.
“안개의 피조물”이라는
니벨룽의 뜻은 풍성한 은청색 털과 절묘하게 맞아떨어진다. 국내에도 소수가 보급되어 있는데, 포린 특유의 늘씬한 체형이 아니라거나 눈 색에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아 러시안 블루와 여타 장모종과의 교배로
인한 결과인 경우가 많다. 포린 체형의 제대로 된 외관을 갖추고 있을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러시안블루보다
비싸다, 러시안 블루가 분양가가 40만원 정도 한다면 네벨룽은 60만원 가까이 하는 편이다. 국내에서는 원래부터 네벨룽이 아니라, 장모종과의 교배로 인해 나오는 게 대다수 인데 국내의 경우는 단모종을 선호하기 때문에 사실 구하기는 힘들다.
► 코렛(코레트) (Korat)
러시안 블루와 혼동되기도 하는
품종이 코렛이다. 흔히들 펫샵 등에서 러시안 블루를 코렛(Korat)과
혼동해 파는 경우가 있는데, 이 둘은 엄연히 다른 종이다.
코렛은 러시아가 아니라 태국 출신의 고양이로, 옛날에 태국에서는 부를 가져다 준다고 믿어져 상류층 사이에서 선물을 하기도 했었다고 한다. 코렛은 러시안 블루와 달리 상대적으로 털 색이 더 어두우며, 두상이
역삼각형이라기 보다 하트 형태에 가깝고 코와 이마의 경계가 뚜렷하다. 또한 러시안 블루는 짙은 녹색
눈을 지녔는데 반해 코렛은 노란색~야광 녹색 계통의 눈이다. 결정적으로
신장도 코렛이 더 큰 편이다.
또한 성격은 러시안 블루보다 더 주인에게 의존적이며, 독점욕이 강하다. 이 때문에 주변에 사람이 없으면 상당히 불안해한다. 또한 고집이 강한 편이어서 자기 주장을 쉽게 굽히지 않는다. 만약
코렛을 이미 키우는데도 둘째를 들이려 한다거나, 코렛을 둘째로 들이려면 잘 생각해 보아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