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회 한자․한문 전문지도사자격검정 지도사 2급 A형
/대한민국한자교육연구회
※ 다음 물음에 알맞은 답을 고르시오.(1~13)
1. 한자의 製字원리(六書)로 ‘文’과 ‘字’ 중 ‘文’에 속하는 것은? ( 3)
①轉注②假借③指事④表意
2. 부수자인 ‘攴(攵)’의 구조는? ( 1)
①卜은 소리이고 又는 손이다.
②十은 소리이고 又는 손이다.
③攴(攵)은 합자가 아니고 상형자다.
④卜은 ‘점친다’는 것이고 又는 ‘또’라는 의미이다.
3. 부수와 훈음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
①凵- 입벌릴감 ②匚- 터진입구 ③艸- 초두 ④廴- 민책받침
4. 발(足)을 의미하는 부수가 아닌 것은? (2 )①疋②彡③止④彳
5. ‘穴’의 부수로 바른 것은? (4 )①宀②冖③八④穴
6. ‘歌舞’의 결합 관계(짜임)는? (1 )①竝列②修飾③述目④主述
7. ‘見蟬’의 결합 관계(짜임)와 해석순서가 바른 것은? ( 4)
①述補構造- 見蟬 ②主述構造- 蟬見
③修飾構造- 見 ④述目構造- 蟬見
8. ‘春風’과 같은 결합 구조(짜임)로 해석되는 한자어는? ( 4)
①登山 ②拔山 ③友愛 ④秋雨
9. ‘形聲字’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①形符(의미)자와 形符(의미)자가 조합하여 제3의 뜻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②형성자에는 聲符(소리)가 있어 쉽게 읽을 수 있다.
③聲符(소리)는 形符(部首)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④形符(部首)가 주로 한자의 뜻을 나타낸다.
10. 反切표기인 ‘昨哉切’에 해당하는 글자는? ( 1 ) ①財②昨③貧④珠
11. 우리나라 교육과정 中중․고등학교에서 가르쳐야 할 한자의 字數는?( 4)
①1000자 ②1500자 ③900자 ④1800자
12. 한자지도와 거리가 먼 글자는? (4 ) ①正字(繁字) ②俗字③略字④簡化字
13. 한문교육과정 내용 中한자영역인 한자 익히기에 속하지 않는 것은?(2 )
①한자의 음과 뜻 알기 ②한자어의 음과 뜻 알기
③한자의 짜임을 통해 음과 뜻 알기 ④자전에서 한자 찾기
※ 다음 물음에 알맞은 답을 고르시오.(14~25)
14. 한자의 形符(의미부분)가 다른 것은? (4 ) ①孟②盟③監④益
15. 한자의 聲符(소리부분)가 다른 것은? (3 )..①高②稿③枯④槁
16. ‘幼’와 비슷한 뜻을 가진 한자가 아닌 것은? (2 )..①童②壯③稚④兒
17. □안에 공통으로 들어가서 어휘를 이룰 수 있는 한자는? ( 3)
紛 ①亂 ②收 ③爭 ④失
18. ‘照’와 한자어를 이룰 수 있는 비슷한 뜻의 한자는? (2 ) ①朝②映③助④條
19. ‘潔’과 반대(상대)되는 뜻의 한자는? (2 ) ①純②濁③淸④缺
20. 한자어의 짜임이 다른 것은? ( 1) ①合邦②槪念③冷湯④巨額
21. ‘老鍊’과 반대(상대)되는 뜻의 한자어는? ( 3) ①未盡②未來③未熟④未備
22. “頭音法則”의 例에 해당하는 한자어는? ( 1) ①女子②食口③失地④骨子
23. 國音化(滑音調) 현상에 해당하지 않는 한자어는? (1 )
①不感 ②不德 ③不知 ④不實
24. 아래의 住所表記에서 밑줄 친 첫 글자가 장음으로만 된 것은? ( 3)
①大韓民國京畿道城南市薛桓洙 ②大韓民國江原道束草市朱達植
③大韓民國慶尙南道馬山市李永福 ④大韓民國忠淸南道天安市菊重五
25. “背水之陣”의 속뜻으로 알맞은 것은? ( 3)
①등 뒤에 물을 지고 나아감. ②물을 사용하여 적을 대함.
③결사의 각오로 싸움에 임함을 비유. ④물이 있는 곳에 사람이 모이는 의미
※ 다음의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26~32)
㉠比之於木一根 ㉡異枝比㉢之於水同㉣源異流
弟無㉤飮食兄必㉥與之兄無衣㉦服弟必獻之
26. 위 글의 밑줄 친 ㉠‘比之於木’의 문장구조로 바른 것은? (3 )
①주어+술어+보어 구조 ②술어+주어+보어구조
③술어+목적어+보어 구조 ④목적어+보어+술어의 도치구조
27. 위 글의 밑줄 친 ㉡‘異枝’의 구조로 바른 것은? ( 4)
①병렬구조 ②술목구조 ③한정구조 ④수식구조
28. 위 글의 밑줄 친 ㉢‘之’가 지칭하는 말은? (2 )
①父母兄弟②兄弟姊妹③身體髮膚④立身揚名
29. 위 글의 밑줄 친 ㉣‘源’과 통용되는 글자는? (2 ) ①本②原③質④形
30. 위 글의 밑줄 친 ㉤‘飮食’의 구조로 바른 것은? (1 )
①병렬구조 ②술목구조 ③한정구조 ④수식구조
31. 위 글의 밑줄 친 ㉥‘與’의 해석으로 바른 것은? (3 )
①~과 ②~에서 ③~을 주다 ④~ 더불어
32. 위 글의 밑줄 친 ㉦‘服’의 설명으로 바른 것은? ( 3)
①부수는 살 육(육달월)이고 성부(소리)는 ‘칠 복’이다.
②부수는 배 주이고 성부(소리)는 ‘덮을 복’이다.
③부수는 달 월이고 성부(소리)는 ‘다스릴 복’이다.
④부수는 달 월이고 성부(소리)는 ‘입을 복’이다.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33~38)
33. “孟宗之孝”와 관계가 깊은 것은? (2 ) ①得鯉②求筍③石鐘④金釜
34. “元亨利貞”과 관계가 적은 것은? (3 ) ①四季- 春夏秋冬②四德- 仁義禮智
③生物- 禽獸魚鼈④四端- 惻隱, 辭讓, 羞惡, 是非
35. ‘五倫’의 내용과 관계가 적은 것은? (4 ) ①夫婦②長幼③朋友④兄弟
36. “四字小學”의 읽는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 ( 1)
①聲讀②目讀③速讀④通讀
37. “飮食親前勿出器聲”은 어떤 관점에서 해석하여야 하는가? (2 )
①질서중시(秩序 ) ②부모님 마음(孝道)
③형제화목(兄弟) ④스승의 은혜(師恩)
38. ‘九容’ 中“얼굴빛을 단정히 하여 태만한 기색이 없어야 한다”와 관계된 것은?..(2 )
①頭容必直②色容必莊③氣容必肅④口容必止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39~44)
1) 人心㉠朝夕變山色古今同
2) ㉡日月千年鏡江山㉢萬古屛
3) 東西日月㉣門南北鴻雁㉤路
39. 위 詩句1)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 3)
①山色은 수식 관계이다. ②述語와 補語가 倒置가 되었다.
③명사술어문이 쓰였다. ④自然의 변함 없음을 읊었다.
40. 위 글의 밑줄 친 ㉠‘朝夕’의 대구가 되는 말은? (1 ) ①古今②日月③江山④南北
41. 위 글에서 ㉡‘日月’을 ‘鏡’으로 생각한 의미로 가장 먼 것은? ( 4)
①사람이 바라보기 때문이다. ②깨끗하고 맑고 밝기 때문이다.
③둥글기 때문이다. ④인간의 마음과 닮았기 때문이다.
42. 위 글의 밑줄 친 ㉢‘萬古’의 뜻은? ( 2) ①一萬 ②萬歲 ③萬態 ④萬物
43. 위 글의 밑줄 친 ㉣‘門’의 위치로 쓰인 말은? (1 ) ①東西②南北③西北④東南
44. 위 글의 밑줄 친 ㉤‘路’는 무엇이 다니는 길인가? ( 3) ①雨雪②日月③鴻雁④朝夕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45~47)
日出㉠ 扶桑路暮入㉡若木枝
45. 위 글의 밑줄 친 ㉠‘扶桑’의 뜻은? ( 3)
①뽕나무가 솟아 오른 곳. ②해가 뜨는 높은 산봉우리.
③해가 뜨는 곳의 상상의 신성한 나무. ④뽕나무를 깔아 만든 길.
46. 위 글의 밑줄 친 ㉡‘若木’의 뜻은? (2 )
①나무와 같은 형상. ②해가 지는 서쪽에 있다는 나무.
③해가 지면서 나무 가지를 만듦. ④해가 나무 숲 속으로 짐.
47. 위 글에서 述語는? ( 4) ①扶, 若②路, 枝③桑, 木④出, 入
※ 다음 시를 읽고 형식에 대한 물음에 답하시오.(48~49)
春水滿四澤하고 夏雲多奇峰이로다
秋月揚明輝하고 冬嶺秀孤松이로다
48. 위 시에서 押韻으로 세운 글자는 四聲中어디에 해당하는가? (1 )
①平聲 ②入聲 ③上聲 ④去聲
49. 押韻字의 韻統으로 바른 것은? ( 2) ①支②冬③先④侵
50. 한시의 측기식과 평기식의 결정방법은 어느 것인가? ( 3)
①기구의 다섯 번째 글자에 의하여 결정된다.
②기구의 첫 번째 글자에 의하여 결정된다.
③기구의 두 번째 글자에 의하여 결정된다.
④기구의 세 번째 글자에 의하여 결정된다.
※ 다음 한자의 部首를 찾아 그 訓音을 쓰시오.(51~54)
51. 狗(개견 ) 52. 授(손수 )53. 束(나무목 ) 54. 宗(집면 )
※ 제시된 한자의 六書(製字原理)를 한자로 쓰시오.(55~56)
55. 要(象形 ) 56. 霜( 形聲)
57. 說文解字에서 ‘찧다’는 뜻이니 옛날에는 땅을 파서 이것을 만들었고, 그 후는
나무나 돌을 깎아서 만들었다(舂也古者掘地爲其其後穿木石)라고 설명하고 있
는 부수자를 한자로 쓰시오. ( 臼)
※ 다음 한자어의 짜임을 보기에서 찾아 한자로 쓰시오.(58~63)
보기: 否定, 主述, 述目, 修飾, 述補, 竝列
58. 大小(竝列 ) 59. 着根( 述目) 60. 步兵(修飾 )
61. 無識( 否定) 62. 春來( 主述) 63. 登廳(述補, )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64~65)
64. “十人守之不得察一賊”에서 주어가 되는 句를 찾아 漢字로 쓰시오...(十人.人十 )
65. “不入虎穴不得虎子”에서 목적어가 되는 句를 찾아 漢字로 쓰시오...( 虎子)
※ 한자․한문교육에서 지도 내용으로 3대 영역을 漢字로 쓰시오.(66~68)
66. (漢字 ) 67. (漢字語 ) 68. (漢文 )
※ 다음 한자의 부수 위치를 보기에서 찾아 쓰시오.(69~72)
보기: 構, 冠, 沓, 脚, 垂, 扁, 旁
69. 判( 旁) 70. 困( 構) 71. 店(垂 ) 72. 延(沓 )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73~74)
73. 亡(망할 망)자가 聲符(소리부분)가 되는 한자를 하나만 쓰시오...( 亡 忘 忙 妄)
74. 絶(끊을 절)의 구조에서 잘못된 곳의 글자를 찾아 바르게 고쳐 쓰시오.( 刀)
※ 밑줄 친 부분과 같은 뜻의 한자를 주어진 音에 맞게 쓰시오.(75~81)
빛나는 노을을 75)보며 내 인생의 76)마무리도 77)아름답게 빛내고 싶었다.
사람이 한평생을 78)살아가면서 79)누구나 수많은 사연과 80)얘기들을 간직하
면서 살아가고 있으며 나 역시 이 세상에 태어나 평범하지만 유연한 삶을 살
면서 81)지나온 과정을 기록으로 남기고 싶었다.
75. 망 (망 ) 76. 종 (終 ) 77. 미 (美 )78. 생 ( 生) 79. 수 (誰 ) 80. 담 ( 談) 81. 과 (過 )
※ 다음 글을 읽고 밑줄 친 낱말을 한자어로 바꿔 쓰시오.(82~88)
사람의 아름다움은 82)예의범절을 83)존중하는데 있다. 예의는 도의생활의
84)규범이고 85)사회질서를 86)유지하는 법도이며, 인륜도덕의 근원이다. 그래
서 예절은 87)천리에 88)순응하는 절차요, 인간생활을 화합하게 하는 법칙이라고 한다.
82. (禮儀凡節 ) 83. ( 尊重) 84. ( 規範) 85. (社會秩序 )
86. ( 維持) 87. (天理 ) 88. (順應 )
※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89~90)
89. 鐵索(철삭 ) 90. 拓本( 탁본)
※ 다음 뜻에 맞는 한자어를 쓰시오.(91~92)
91. 변명: 사리를 가려내어 똑똑히 밝힘. (辨明 )
92. 가담항설: 길가의 뜬소문이라는 뜻으로 저자거리의 소문. ( 街談巷說)]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93~95)
93. “長官, 家長”에서 밑줄 친 ‘長’의 훈음을 쓰시오.(어른장 )
94. “長點, 長技”에서 밑줄 친 ‘長’의 훈음을 쓰시오.(잘할장 )
95. “長短, 長音”에서 밑줄 친 ‘長’의 훈음을 쓰시오.( 길장 )
※ 다음 문장의 □안에 들어갈 한자를 보기에서 찾아 쓰시오.(96~102)
보기: 愛, 恭, 能, 前, 鬪, 慮, 慈, 慕, 可, 側, 責, 訓, 爭, 憂
父義母96)□하고 兄友弟97)□하라
愛親敬兄은 良知良98)□이니라
侍坐親99)□에는 勿怒100)□人하라
勿與人101)□하라 父母102)□之시니라
96. (慈 ) 97. (恭 ) 98. (能, ) 99. ( 側,) 100. (責, ) 101. (鬪, ) 102. ( 憂)
※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어로 바꿔 쓰시오.(103~108)
103 새벽에 반드시 먼저 일어나고 - 晨必□□,,, ( 先起)
104 저물면 모름지기 뒤에 잠잘 지니라 - 暮須□□,, (後寢 )
105 새벽에 반드시 안후를 살피고 - 晨必□□,,省候
106 저물면 반드시 요를 정해 드릴지니라 - 昏必□□,,,定褥
107 어버이를 섬기는 지극한 효도는 - 事親□□,,,(至孝 )
108 뜻을 봉양하고 몸을 봉양함이라 - 養志□□... (養體 )
※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답을 보기에서 찾아 쓰시오.(109~111)
보기: 四窮, 四德, 四藝, 四譽, 四民, 四氣.
109. 士農工商은 (四民 )이라 한다.
110. 鰥寡孤獨은 (四窮 )이라 한다.
111. 女子에게 德容言工은 ( 四譽)라 한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112~113)
112)父母有過이면 諫而不逆하라
諫若不入이면 說則復諫하라
112. 위 글의 밑줄 친 부분의 문장의 구조를 주술목구조, 주술보구조, 주술목보구
조, 수식구조 중에서 골라 한자로 쓰시오. (主述補 )
113. 위 글의 문장의 형식을 평서문, 부정형, 사동형, 피동형, 비교형, 가정형에서
정답을 골라 漢字로 쓰시오. (假定形 )
※ 다음 물음에 대한 답을 한자로 쓰시오.(114~116)
114. “중국 西晉시대 낭야군 기현이라는 곳에 사는 사람이 효성이 지극하였으나 어
머니가 일찍 돌아가셔서 계모 밑에 살면서 갖은 고초를 겪었다. 그러나 계모에
대한 효심은 지극하였다. 계모가 추운 겨울에 생선이 먹고 싶다하여 꽁꽁 얼음이
언 강에서 체온으로 얼음을 녹여 잉어를 잡아 봉양하였다”는 이야기의 주인공의
이름을 漢字로 쓰시오. (王祥 )
115. “九思” 중에서 “사물을 볼 때 가리운 바가 없으면 밝아서 보지 못하는 것이
없다(視無所蔽則明無不見)”라는 설명에 해당하는 것을 쓰시오.( 視思必明 視思明)
116. “出必告之”의 讀音을 쓰시오. (출필곡지 )
※ 다음 글의 밑줄 친 곳을 解釋하시오.(117~122)
117. 父母呼我면 唯而走之니라 ( 대답하고 달려갈지니라 )
118. 父母之命을 勿逆勿怠하라 ( 거스르지말고 게을리 하지말라 )
119. 父母出入어시든 每必起立하라 (매번 반드시 일어설지니라. )
120. 獻物父母에는 跪而進之니라 ( 꿇어앉아서 이것을 드릴지니라 )
121. 膝前勿坐하고 親面勿仰하라 ( 얼굴을 빤히 쳐다보지말라 )
122. 居處必恭하고 飮食愼節하라 (음식은 삼가하고 절제하라 )
※ 다음 글의 밑줄 친 곳을 解釋하시오.(123~126)
123. 柳幕鶯爲客하고 花房蝶作郞이로다 (꽃방에는 나비가 신랑이되는도다 )
124. 山外山不盡하고 路中路無窮이로다 ( 길가운데 길이 다함이 없도다 )
125. 怒虎誠難犯하고 飢狗走隣家로다 (굶주린개는 이웃집을 달리는도다 )
126. 靑松君子節이요 綠竹烈女貞이라 ( 푸른대나무는 열여의 정조로다 )
※ 다음 詩를 읽고 물음에 答하시오.(127~134)
獨坐無來客하고 空庭雨氣昏이로다
㉠魚搖㉡荷葉動하고 鵲踏樹梢翻이라
琴潤絃猶響하고 爐寒火尙存이로다
泥途妨出入하니 終日可關門이로다
127. 위 詩의 작자를 漢字로 쓰시오. (徐居正 )
128. 위 詩의 제목을 漢字로 쓰시오. ( 獨坐)
129. 위 詩의 形式을 漢字로 쓰시오. ( 五言律詩)
130. 위 詩에서 對偶를 이루어야 하는 聯을 漢字로 쓰시오.( 頷聯 頸聯)
131. 위 詩의 韻字를 순서대로 모두 漢字로 쓰시오. (昏 翻 存 門 )
132. 위 詩의 밑줄 친 ㉠‘魚搖’의 對偶가 되는 한자어를 漢字로 쓰시오.(鵲踏 )
133. 위 詩의 밑줄 친 ㉡‘荷’의 다양한 훈음을 2개 이상 쓰시오.(멜하 연꽃하 자질구레할하 )
134. 위 詩에서 “억압적인 현실 상황”을 나타내 주는 한자어를 찾아 쓰시오. ( 泥途)
※ 다음 詩句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135~140)
1) 初月將軍弓이요 流星壯士矢로다
2) 冰解魚初躍하고 風和□欲歸로다
3) 曳杖石鷄鷄하고 伐木山雉雉이로다
135. 1)의 글에서 ‘將軍弓’이 지칭하는 것을 漢字로 쓰시오.....( 初月)
136. 1)의 글에서 ‘流星’을 壯士의 무엇으로 보았는가를 漢字로 쓰시오. ...(矢 )
137. 2)의 글이 표현하는 계절을 쓰시오. ( 봄.초봄 )
138. 2)의 글에서 □안에 들어갈 겨울 철새를 漢字로 쓰시오. (雁)
139. 3)의 글에서 ‘鷄鷄’를 시구에 어울리게 해석하시오. ,,,
(닭닭 달달:막대기를 돌에다가 그는 소리 )
140. 3)의 글에서 ‘雉雉’를 시구에 어울리게 해석하시오.,,, (껑껑.도끼로 나무 찍는 소리 )
※ 다음 詩를 읽고 물음에 答하시오.(141~144)
君在臣先死하고 母在子先死하니
皆非㉠臣子義나 無奈死於死로다
141. 위 시의 작자를 漢字로 쓰시오. (閔泳 煥)
142. 위 시의 韻字를 모두 漢字로 쓰시오. (死.死 死 )
143. 위 시의 밑줄 친 ㉠‘臣子’의 구조(짜임)를 漢字로 쓰시오...(竝列 )
144. “無1 奈2 死3 於4 死5 ”의 해석 순서를 번호로 쓰시오. ( 5.4.3.2.1.)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145~146)
145. 五言句“父母千年壽”에 어울리도록 七言句“膝下子孫萬歲榮”을 五言句로 고쳐쓰시오.
( 子孫萬歲榮)
146. “微風木末知”를 ‘주어+술어+보어’의 구조로 바꿔 쓰시오...(微風知木末 )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147~148)
147. “暫登浮碧樓”에서 ‘浮碧樓’가 있는 지명을 漢字로 쓰시오.( 平壤 牡丹峰)
148. “天孫何處遊”에서 ‘天孫’은 누구를 지칭하는지 漢字로 쓰시오.,,(東明王 )
※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한자로 쓰시오.(149~150)
149. 漢詩의 형식적인 특징으로는 “押韻法, □□法, 對偶法”이 있다.( 平仄)
.150. 近體詩와 古體詩가 나누어 진 시기는 □나라 때부터이며 고체시는 자유스러운
반면 근체시는 여러 가지 조건이 많다. ( 唐)
❖ 수고하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