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대기업 신입사원의 눈물
-사장님께 한 말씀 드립니다
일하는 엄마를 대신해 외할머니 손에 자라신 분들 많으시죠? 저도 그렇습니다. 올해 31세인 전 네 살 때부터 14세 때까지 10년을 대구 외할머니 댁에서 살았습니다.
외할머니는 엄마였습니다. 수저통을 두고 학교에 간 저를 위해 비 오는 날 우산도 없이 교문 앞까지 달려 오시던 모습, 외할머니표 간식인 조청 찍은 찐 떡을 제 입에 넣어주시며 환히 웃으시던 모습…. 제가 기억하는 유년 시절의 모든 추억엔 늘 외할머니가 계십니다. 군대에 갔을 때도 여자친구에게 전화할 카드를 조금식 아껴 매주 할머니께 전화햇죠. 엄마보다 외할머니가 더 애틋한 존재였으니까요.
지난해 취업 삼수 끝에 지금의 회사에 입사 했을 때 외할머니는 눈물을 글썽이며 누구보다 기뻐하셨습니다.“이이고 우리 민석이, 맘고생 많았지!” 전 외할머니께 효도할 수 있게해준 회사가 너무 고마웠습니다.
그런데 얼마전 외할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그 마음이 한순간에 푹 내려앉더군요. 회사가‘외조부모상은 상으로 치지 않는다’며 상조휴가를 줄 수 없다는 겁니다. 친조부모상에는 육아휴가 3일에 화환과 장례용품, 상조 인력과 조의금이 지원되지만 외할머니는 안 된다고 했습니다. 심지어 친가는 큰아버지, 큰어머니 장례에조차 유급휴가가 나온다던데 외조부모 장례는 가볼 수조차 없다니 대체 말이 되나요.
전 간신히 이틀의 연차를 내 장례식장에 갔지만, 셋째 날 엄무 때문에 복귀하란 연락을 받고 발인도 보지 못한 채 출근해야 했습니다. 지금 어느시대인데…. 이런 일은 없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동아일보2018년 4월2일
첫댓글 그르게요 어느 한쪽에 치우친다는 것은
오래 된 조선시대의 잘못된 관습인 것 같습니다.
하루 빨리 폐지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