韜光第七
제7장, (하늘과 땅, 성인이 자신의) 빛남을 감춤에 대해 논한다.
天長地久,
하늘도 오래 살고, 땅도 오래 사는데,
說天地長生久壽, 以喩敎人也.
이른바, “하늘”과 “땅”이 “오래” 살고 “오래” 삶을 세상 사람들에게 일깨우고 가르치는 것이다.
天地所以能長且久者, 以其不自生,
하늘과 땅이 오래 살고 또한 오래 살 수 있는 까닭, 그것은 그 일부러 일삼아 살지 않음으로써이다.
天地所以獨長且久者, 以其安靜, 施不求報, 不如人居處, 汲汲求自饒之利, 奪人以自與也.
“하늘”과 “땅”이 홀로 “오래 살고 또한 오래 사는” “까닭”, “그것”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欲나 일부러 일삼는 바爲가 있음에 대한) 그 평안함과 고요함 때문인데, (따라서 “하늘”과 “땅”은) 베풀지만, (그) 보답을 (만물에게서) 바라지 않으며, 세상 사람들이 자리하고 머무는 (그 보답을 세상 사람들에게서 받음으로써 자신이) 넉넉하게 되고 이롭게 되기를 일부러 일삼아 바라기에 바쁘거나, (그 보답을) 세상 사람들에게서 빼앗음으로써 일부러 일삼아 (자신이) 가지기에 바쁜 모습을 같이 하지 않는 것이다.
故能長生.
따라서 오래 살 수 있는 것이다.
以其不求生, 故能長生不終也.
그 (일부러 일삼아) “삶”을 구하지 않음으로써, “오래 살 수 있고”, “따라서” (그 “삶”이) 마쳐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是以聖人後其身,
따라서 성인은 그 자신을 뒤에 서게 하는데,
先人而後己也.
백성(百姓; 人)을 앞에 서게 하고, 자신을 “뒤에 서게 한다”는 것이다.
而身先,
따라서 자신이 앞에 서게 되고,
天下敬之, 先以爲長.
백성(百姓; 天下)이 (그러한) 그를 받들어 높이고, (자신들의) “앞에 서게 함”으로써 우두머리로 삼는다는 것이다.
外其身,
그 자신을 얇게 대하는데,
薄己而厚人也.
자신을 얇게 대하고, 백성을 두텁게 대한다는 것이다.
而身存.
따라서 자신이 (늘 그러하게) 자리하게 된다.
百姓愛之如父母, 神明祐之若赤子, 故身常存.
백성이 (그러한) 그를 아끼고, (따라서 자신들의) 부모와 같이 여기며,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음無欲이) 신령스러운 바(神; 自然)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밝은 바(明; 自然)이 (그러한) 그를 어린아이처럼 돌보는데, 따라서 “자신”이 늘 그러하게(常; 長) “자리하게 된다.”
非以其無私邪.
(일삼음에 있어서)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에 대한) 사사로움과 휨을 없앰으로써가 아니겠는가.
聖人爲人所愛, 神明所祐, 非以其公正無私所致乎.
“성인”이 백성(百姓; 人)이 아끼는 바가 되고,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음無欲이) 신령스러운 바(神; 自然)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밝은 바(明; 自然)가 돌보는 바가 되는 까닭은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欲나 일부러 일삼는 바爲가 없음에 대한) 곧음을 숨김없이 드러냄과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欲나 일부러 일삼는 바爲가 있음에 대한) “사사로움을 없앰으로써”가 아니겠는가?
故能成其私.
따라서 그 (자신이 앞서게 되고, 늘 그러하게 자리하게 되는) 사사로움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人以爲私者, 欲以厚己也. 聖人無私而己自厚, 故能成其私也.
사람이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있음有欲에 대해) “사사롭게” 되는 까닭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欲로써 “자신”을 두텁게 하기 때문이다. “성인”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있음有欲에 대한) “사사로움을 없애는데”, 따라서 (“그”) “자신”이 저절로 그러하게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음無欲이) 두텁게 되고, “따라서 그 (자신이 앞서게 되고, 늘 그러하게 자리하게 되는) 사사로움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