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
谷神不死, 是謂玄牝, 玄牝之門, 是謂天地根. 綿綿若存, 用之不勤.
(도道, 그것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이) 텅 빈 바이자,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신령스러운 바로서, (그 공능功能이) 잦아들지 않고, (도道) 그것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신령스러운 바이자,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이) 텅 빈 바로서, (만물의) 온갖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신령스러운 바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이) 텅 빈 바가 생겨나는 문이며, (도道) 그것은 하늘과 땅의 뿌리이다. (따라서 도道, 그것은 그 공능功能을) 끊어내지 않을 따름이고, (따라서 그 공능功能이) 끊어내어지지 않으며, (그 모양과 모습이 자리하는 바가) 있는 바인 듯하기도 하고, 없는 바인 듯하기도 하고, (하늘과 땅, 만물을) 그것을 일삼지만, (그 공능功能이) 시들거나 해지지 않는다.
谷, 虛也. 神, 妙也. 不死, 猶上章, 不屈也. 其, 體, 虛. 而其, 用, 妙. 故不屈也. 以言道也. 玄, 卽神. 牝, 卽谷. 門, 猶衆妙之門. 道, 乃天地, 所由生. 故曰, 根.
곡谷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텅 빈 바를 가리킨다. 신神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신령스러운 바를 가리킨다. 불사不死는 제5장이 일컬은 “불굴(不屈; 그 공능功能인 바람과 소리가 늘 그러하게 잦아들지 않는다)”을 뜻한다. (곡谷) 그것은 체體로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텅 비어 있는 바이다. (신神) 그것은 용用으로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어렴풋한 바이다. 따라서 (곡谷과 신神, 그것은) “(그 공능功能인 바람과 소리가 늘 그러하게) 잦아들지 않는 것”이다. 요컨대, (곡谷과 신神, 그것은) 도道를 가리킨다. 현(玄;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이 어렴풋한 바)은 곧 신神이다. 빈(牝; 암컷)은 곧 곡谷이다. 문門은 (제1장이 일컬은 만물의) “온갖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어렴풋한 바가 생겨나는 문”을 가리킨다. 도道는 하늘과 땅이 말미암아 생겨나는 바이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뿌리.”
綿綿, 不已, 不絶之意. 若存, 若有若亡也. 勤, 勞敝也. 朱子曰, 至妙之理. 有. 生生之意, 存焉. 林氏曰, 卽所謂虛而不屈, 動而愈出是也.
면면綿綿은 (그 공능功能인 바람과 소리를) 끊어내지 않을 따름이며, (따라서 그 공능功能인 바람과 소리가) 끊어내어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약존若存은 (제4장이 일컬은, 모양과 모습이 자리하는 바가) 있는 바인 듯하기도 하고, 없는 바인 듯하기도 하다는 뜻이다. 근勤은 (그 공능功能이) 시들고, 해진다는 뜻이다. (따라서) 주자(朱熹, 1130~1200)는 일컬었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지극하고,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어렴풋한 (성인의) 이치는 (이어지고 이어진 채, 늘 그러하게 자리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지극한 바를) 생겨나게 하고,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어렴풋한 바를) 생겨나게 하는 (성인의) 마음은 (이어지고 이어진 채, 늘 그러하게) 자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송宋나라 유학자) 임희일(林希逸, 1193~1271)은 일컬었다. “따라서 (제5장은) ‘(풀무와 피리는 그 가운데를) 텅 비우는데, 따라서 (그 바람과 소리가 늘 그러하게) 잦아들지 않게 되며, (풀무와 피리는 그 가운데를) 일삼는데, 따라서 (그 바람과 소리가) 늘 그러하게 (생겨) 나오게 된다’라고 일컬은 것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
날이 쌀쌀합니다. 건겅 유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