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름을 반듯하게 펴서 양손을 가볍게 잡은 다음 짧은 고름이 위로 가도록 X자 모양으로 뺀다. 2. 아래쪽 긴 고름으로 고(반리본 모양)를 만든 뒤 위쪽의 짧은 고름을 밑으로 한다. 3. 왼손으로는 긴고름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짧은 고름을 밑으로 넣어 위로 잡아 뺀다. 4. 아래 위로 가볍게 잡아 당기면서 완성된 모양을 만든다. 5. 아래로 자연스럽게 떨어진 긴 고름과 짧은 고름의 길이 차이는 5~7cm정도가 알맞으며
노리개 걸이로 고정시켜도 괜찮다.
올바른 한복입기~ 
옷이 날개’라는 말이 있듯이 옷을 깨끗이 차려 입는 것은 자신의 품격을 높이고
상대방에 대한 예의를 지키는 데서 매우 중요하다
1. 외출할 때는 두루마기를 입는 것이 예의다
남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두루마기를 입어야 한다. 마고자 차림으로 외출하는 것은 속옷을 입고,
나가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남자는 실내에서나 절할 때도 입는 것이 원칙이다.
여자는 외출할 때 숄을 두르기도 하지만 두루마기를 입는 것이 훨씬 품위있다.
2. 저고리의 동정니를 맞추어 입는다
동정니가 어긋난다는 것은 한복이 자신의 체격에 맞지 않는다는 말이다.
따라서 체격에 맞는 옷을 입거나 동정니 안쪽에 똑딱단추를 달아 고정시켜주는 것도 한 방법이다.
3. 저고리는 약간 앞으로 숙여 입는다
저고리는 입었을 때 깃고대와 어깨솔기가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앞으로 약간 잡아당기는 느낌이 들게 입어야 한다.
이때 속적삼과 치마의 허리선이 저고리 밑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4. 치마는 겉자락이 왼쪽으로 오도록 입는다
치마는 입었을 때 뒤의 겉자락이 왼쪽 손으로 잡을 수 있어야 한다.
치마끈은 뒤쪽에서 엇갈려 앞으로 오게 한 뒤, 가운데서 묶어주면 저고리가 들뜨기 쉬우므로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매듭을 잡아주도록 한다.
5. 대님가리기
한복 바지의 대님이 드러나 보이면 품위가 없다.
바지를 너무 추켜 입지 말고, 골반에 걸쳐 엉거추춤한 상태로 내려 입어 대님을 가리도록 한다.
6. 속옷을 갖춰서 입는다
저고리 안에 입는 속적삼(속저고리)은 옷의 맵시를 살려주는 한편, 땀의 흡수도 돕는다.
요즘은 속바지와 속치마만 입는다.
7. 버선을 신어야 진정한 한복의 태가 난다
긴치마 밑으로 살짝 보이는 하얀 버선코의 아름다움은 한복만이 가지는 멋이다.
좀 번거롭더라도 버선을 신는 것이 품격이 있어 보인다.
8. 한복 입을 때 신는 신발
운동화는 전혀 어울리지 않으며, 남자의 경우 고무신을 신는 것은 무리가 있다.
양말은 흰색이나 연한색이 좋다. 구두의 경우 너무 번쩍거리면 좋지 않다.
여성들의 경우 흔히 앞코가 뾰죽한 고무신(꽃신)을 신기도 하는데 이는 볼이 좁아 발을 조이게 되어
오래 신으면 발이 아프기도 하고, 발의 변형이 오는 경우도 있어서 좋지 않다
9. 장신구와 속옷
한복 입을 때는 목걸이, 늘어지는 귀걸이는 피한다.
또 안에 입은 옷이 밖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10. 화장은 은은하게, 머리는 단정하게
화장은 얼굴색을 약간 밝게 하면서 전체적으로 은은한 느낌이 들도록 하는 것이 좋다.
눈썹은 둥글고 자연스럽게 그리고, 입술은 연분홍색이어야 우아하게 보인다.
머리는 가르마를 타고, 곱게 빗어 넘긴 쪽머리가 한복의 고운선 및 정적인 분위기와 가장 잘 어울린다.
11. 때와 장소에 따라 제대로 갖춰 입는다.
한복의 전통적인 배색은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예의와 남녀의 구별, 귀하고 천함을 표시한다.
처녀들은 주로 다홍치마에 노랑저고리를 입었고, 신부는 다홍치마에 연두저고리,
결혼을 하여 아들을 둔 부인은 자주색 고름과 남색끝동을 달아 남편과 아들이 있음을 나타냈다.
하지만 요즘은 그에 억매이지 않고 다양한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12. 계절에 어울리는 소재
한복은 소재를 다양하게 써서 4계절 옷감을 달리해서 지어 입었다.
봄, 가을에는 국사, 갑사, 은조사, 항라 등으로 가을에는 자미사, 명주, 숙고사, 국사가 어울린다.
여름에는 모시, 삼베의 시원하고 절박한 멋을 즐겼으며 생명주로 짠, 노방, 항라 등으로
상큼한 아름다움도 드러냈다. 겨울에는 양단, 공단 등의 화려하고 우아한 옷감을 사용하였으며,
겉옷으로 손으로 짠 비단 등의 두루마기나 솜을 두어 곱게 누빈 누비옷을 입어 추위를 막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