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단원 : Ⅸ. 국사 종합
▣ kh046_010 ▣ 주제 : 46. 국사 종합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 목 차 【기본 학습】;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심화·보충 자료】 ; 없음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1) 우리나라 성적
① 8월 8일 저녁 개막식~ 24일 폐막, 한국은 389명의 선수단을 파견하였다. ② 금메달 13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8개로 종합 순위 7위라는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다. 당초 목표했던 금메달 10개, 종합 10위를 훨씬 웃도는 성적과 올림픽 출전 사상 최다 금메달을 거뒀다. 경기 첫날부터 폐막 하루 전까지 잘 짜인 각본처럼 비교적 고르게 매달을 획득하여 올림픽 17일간 국민들은 한껏 행복하였다.
③ 금메달 상황
2) 특기사항
① 유도 최민호 선수는 5경기에서 연속 한판승으로 통쾌하게 승리하였다. ② 수영에서 박태환은 자유형 400m 금메달, 자유형 200m 은메달을 따 불모지 수영에서 가능성과 희망을 보여주었다. ③ 양궁은 출전 4개 종목 중에서 남녀 단체전 우승 금메달 2개를 획득. 양궁 남자 박경모(32)와 여자 박성현(25) 선수가 결혼을 발표, 신궁 커플이 탄생하는 경사가 났다. ④ 역도 남자 사재혁에 이어, 여자 역도 장미란은 경쟁자가 없는 독보적 존재였다. 다섯 개의 세계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 ⑤ 한국 야구가 9전 전승(全勝)으로 일본, 미국, 쿠바를 물리치고 우승했다. (은-쿠바, 동-미국), 3-2 앞선 가운데 9회 말 쿠바 차례, 1사 만루 위기, 판정에 항의로 강민호가 퇴장당하고, 병살타로 위기를 극복하고 우승하였다. ⑥ 태권도는 출전 4체급 모두 우승, 태권도의 황경선은 늘어난 인대와 발등 뼈의 상처에도 불구하고 초인적 투혼을 발휘. 중국 선수와 싸운 쿠바 선수가 심판에 불만을 품고 심판을 걷어찼다. 판정시비와 관전 흥미 부족의 태권도는 존속의 불안감이 커졌다. ⑦ 非인기종목의 설움 속에 주전 선수 평균 나이 32세 '아줌마'팀 여자핸드볼은 동메달 획득. ⑧ 한국 스포츠는 베이징에서 체질의 선진화 가능성을 보였다. '배가 고파 운동한다'던 옛 '헝그리 스포츠' 종목에서 벗어나 우승 종목이 다양해졌다. 그러나 진정한 스포츠 선진국을 가늠하는 잣대인 기초종목, 육상과 수영에선 아직도 갈 길이 멀다. ⑨ 북한은 공동 입장을 거부했다. 금 2개, 은 1개, 동 3개 종합 성적 33위를 차지. 그들로서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응원하는 자국 관중 이 없어 외톨이였다. ⑩ 최고의 영예는 미국의 수영 8관왕 마이클 펠프스 선수와 100m, 200m 단거리 및, 400m 계주에서 우승하여 3관왕이 된 자메이카의 우사인 볼트였다.
3) 개최국 중국은?
① 중국은 1984년 로스엔젤레스 올림픽에 처음 참가. 24년 만에 미국을 제치고 사상 처음으로 종합순위 1위를 기록했다. 티베트 인권문제, 대기오염, 테러 위협, 쓰촨 대지진을 극복하고 1978년 이래 개혁·개방 30년 만에 올림픽 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자원봉사자가 무려 147만 명. ② 개막식 때 80여개 국가 원수가 참석한 것은 이전에 없었던 일이다. 개회식이 ‘중화(中華)의 영광과 부활’을 알리는 서곡(序曲)이었다면 폐회식은 ‘세계와 함께하는 중화’가 될 것임을 다짐하는 무대였다. ③ 개막식에 맞추어 러시아는 그루지아를 침공. 신 냉전 우려. ④ 올림픽 기간중에 우려할 만하게 중국인들의 혐한 현상이 나타났다 한국인들 입장식 때는 박수도 치지 않았고, 경기중에는 한국의 상대팀에게만 응원을 했다. 그러나 올림픽 끝난 바로 다음날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서울을 방문해 한중 정상회담을 가졌다. 복원된 한미(韓美)동맹의 기반위에 한중(韓中)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함께 심화시키는 게기가 되었다. ⑤ 태극전사들이 거둔 올림픽의 큰 성과는 촛불시위와 갖가지 사회갈등으로 분열된 마음을 모처럼 하나로 만들었다. 취임 6개월의 이명박 대통령은 초반의 부진을 딛고 분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 역대 메달 획득 상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