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상현서당 (사서삼경과 선비풍류 시조창 배움터). 원문보기 글쓴이: 금수산
4. 齊宣王이 見孟子於雪宮이러시니 王曰 賢者도亦有此樂乎잇가 孟子對曰 有하니人不得則非其上矣니이다 不得則而非其上者도非也며 爲民上而不與民同樂者도 亦非也니이다 樂民之樂者는 民亦樂其樂하고 憂民之憂者는 民亦憂其憂하니 樂以天下하며 憂以天下하고 然而不王者 未之有也니이다 昔者에 齊景公이 問於晏子曰 吾欲觀於轉附朝㒇하야 遵海而南하야 放于琅邪하노니 吾何脩而可以比於先王觀也오 晏子對曰 善哉라問也여 天子適諸侯曰巡守니 巡守者는 巡所守也오 諸侯朝於天子曰述職이니 述職者는 述所職也니 無非事者오 春省耕而補不足하며 秋省斂而助不給하나니 夏諺에曰 吾王이不遊면 吾何以休며 吾王이不豫면 吾何以助리오 一遊一豫 爲諸侯度라하니이다 今也에는 不然하야 師行而糧食하야 飢者弗食하며 勞者不息하야 睊睊胥讒하야 民乃作慝이어늘 方命虐民하야 飮食若流하야 流連荒亡하야 爲諸侯憂하나니이다 從流下而忘反을 謂之流오 從流上而忘反을 謂之連이오 從獸無厭을 謂之荒이오 樂酒無厭을 謂之亡이니 先王은 無流連之樂과 荒亡之行하더시니 惟君所行也니이다 景公이說하야 大戒於國하고 出舍於郊하야 於是에 始興發하야 補不足하고 召太師曰 爲我하야 作君臣相說之樂하라하니 蓋徵招角招是也라 其詩曰 畜君何尤리오하니 畜君者는 好君也니이다.
제선왕이 견맹자어설궁이러시니 왕왈 현자도역유차락호잇가 맹자대왈 유하니인불득즉비기상의니이다 불득즉이비기상자도비야며 위민상이불여민동락자도 역비야니이다 낙민지락자는 민역낙기낙하고 우민지우자는 민역우기우하니 낙이천하하며 우이천하하고 연이불왕자 미지유야니이다 석자에 제경공이 문어안자왈 오욕관어전부조무하야 준해이남하야 방우랑사하노니 오하수이가이비어선왕관야오 안자대왈 선재라문야여 천자적제후왈순수니 순수자는 순소수야오 제후조어천자왈술직이니 술직자는 술소직야니 무비사자오 춘성경이보불족하며 추성렴이조불급하나니 하언에왈 오왕이불유면 오하이휴며 오왕이불예면 오하이조리오 일유일예 위제후도라하니이다 금야에는 불연하야 사행이량식하야 기자불식하며 노자불식하야 견견서참하야 민내작특이어늘 방명학민하야 음식약류하야 유련황망하야 위제후우하나니이다 종류하이망반을 위지류오 종류상이망반을 위지련이오 종수무염을 위지황이오 낙주무염을 위지망이니 선왕은 무유련지락과 황망지행하더시니 유군소행야니이다 경공이열하야 대계어국하고 출사어교하야 어시에 시흥발하야 보부족하고 소태사왈 위아하야 작군신상열지락하라하니 개징초각초시야라 기시왈 축군하우리오하니 축군자는 호군야니이다.
(주석) ▶ 무(㒇):춤추다. ▶ 견(睊):흘겨보다.
제나라의 선왕이 설궁에서 맹자를 보고 물었다. "현자에게도 또한 이러한 즐거움이 있습니까?"
맹자가 대답하였다. "있습니다. 사람은 자기의 뜻을 이루지 못하면 웃사람을 비난합니다. 자기 뜻을 이루지 못한다고 비난하는 것은 옳지 않지만, 백성의 웃사람이 되어서 백성들과 즐거움을 함께 하지 않는 것 또한 옳지 않습니다. 백성들의 즐거움을 즐긴다면 백성들 또한 그 임금의 즐거움을 즐기고, 임금이 백성들의 근심을 근심한다면 백성들도 또한 임금의 근심을 근심합니다. 천하와 즐거움을 같이하고, 천하와 근심을 같이하고도 왕자가 되지 못한 이는 없는 것입니다.
옛날에, 제나라의 경공이 안자에게 묻기를, '나는 전부산과 조무산을 구경하고 바다를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서 멀리 낭야읍까지 가고 싶은데, 내가 어떻게 하여야 선왕들이 구경한 것과 같을 수가 있겠습니까?'하였더니, 안자는 대답하기를, '참으로 좋은 질문입니다. 천자가 제후의 영지에 가는 것을 순수라고 합니다. 순수란 제후가 지키고 있는 땅을 순시한다는 뜻입니다. 제후가 천자를 뵈옵는 것을 술직이라고 합니다. 술직이란 것은 제후가 맡은 직책을 보고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니, 일거리가 안 되는 것은 없습니다. 봄에는 밭갈이하는 것을 보살피고 부족한 것을 보충해 주며, 가을에는 추수하는 것을 보살피고 부족한 것을 도와줍니다. 그러기에, 하나라의 옛말에 '임금님이 놀지 않으신데, 우리가 어찌 쉴 수 있으며, 임금님이 즐거워하지 않으신데, 우리가 어찌 도움을 받을 수가 있으리요' 라고 했습니다. 이렇게 옛 임금이 한번 놀고 한번 즐기심은 모두가 제후들에게 본보기가 되었던 것입니다. 지금은 그렇지 않아서 수많은 종자들이 뒤따르고, 많은 식량을 징발하므로 굶주린 백성은 먹지 못하고 피로한 백성은 쉬지를 못합니다. 그리하여, 백성들은 서로 눈을 흘기고 헐뜯으며 웃사람들을 원망하게 됩니다. 또한 임금은 천명을 배반하고 백성을 학대하여, 음식을 한없이 사치스럽게 함으로써 유연 황망하여 제후들의 걱정거리가 됩니다. 흐름에 따라서 배를 타고 내려가면서 돌아오기를 잊는 것을 유라고 하고, 흐름에 따라서 배를 타고 올라가면서 돌아가면서 싫증을 내지 않는 것을 황이라고 하고, 술을 마시며 싫증을 내지 않는 것을 망이라고 합니다. 선왕은 이러한 유연하는 즐거움과 황망한 행동이 없었습니다. 오직 임금의 마음 하나에 달려 있습니다'고 하였습니다. 경공은 안자의 말을 기쁘게 듣고 온 나라 안에 훈령을 내리고, 교외로 나와서 처음으로 창고를 열어서 곤궁한 백성들을 구제해 주었습니다. 그리고서는 태사를 불러서 '나를 위하여 임금과 신하가 서로 기뻐할 음악을 만들어 다오'라고 했습니다. 이리하여 만들어진 것이 치소와 각소입니다. 그 가사에서 이르기를,
'임금의 하고자 하심을 막는 것이 그 무슨 허물이 되리요'
라고 했으니, 임금의 하고자 하심을 막는 것은 임금을 좋아하는 것입니다.
5. 齊宣王이問曰 人皆謂我毁明堂이라하나니 毁諸아已乎잇가 孟子對曰 夫明堂者는 王者之堂也니 王欲行王政則勿毁之矣소서 王曰 王政을 可得聞與잇가 對曰 昔者文王之治岐也에 耕者를九一하며 仕者를世祿하며 關市를譏而不征하며 澤梁을無禁하며 罪人을不孥하더시니 老而無妻曰鰥이오 老而無夫曰寡오 老而無子曰獨이오 幼而無父曰孤니 此四者는 天下之窮民而無告者어늘 文王이 發政施仁하사대 必先斯四者하시니 詩云 哿矣富人이어니와 哀此煢獨이라하니이다 王曰 善哉라言乎여 曰 王如善之則何爲不行이니잇고 王曰 寡人이 有疾하니 寡人은好貨하노이다 對曰 昔者에 公劉好貨하더시니 詩云 乃積乃倉이어늘 乃裹餱糧을 于槖于囊이오아 思戢用光하야 弓矢斯張하며 干戈戚揚으로 爰方啓行이라하니 故로居者有積倉하며 行者有裹糧也然後에야 可以爰方啓行이니 王如好貨어시든 與百姓同之하시면 於王에何有리잇고 王曰 寡人이 有疾호니 寡人은 好色하노이다 對曰 昔者에 大王이 好色하샤 愛厥妃하더시니 詩云 古公亶父 來朝走馬하샤 率西水滸하야 至於岐下하야 爰及姜女로 聿來胥宇라하니 當是時也하야 內無怨女하며 外無曠夫하니 王如好色이어시든 與百姓同之하시면 於王에何有리잇고
제선왕이문왈 인개위아훼명당이라하나니 훼제아이호잇가 맹자대왈 부명당자는 왕자지당야니 왕욕행왕정즉물훼지의소서 왕왈 왕정을 가득문여잇가 대왈 석자문왕지치기야에 경자를구일하며 사자를세록하며 관시를기이불정하며 택량을무금하며 죄인을불노하더시니 노이무처왈환이오 노이무부왈과오 노이무자왈독이오 유이무부왈고니 차사자는 천하지궁민이무고자어늘 문왕이 발정시인하사대 필선사사자하시니 시운 가의부인이어니와 애차경독이라하니이다 왕왈 선재라언호여 왈 왕여선지즉하위불행이니잇고 왕왈 과인이 유질하니 과인은호화하노이다 대왈 석자에 공유호화하더시니 시운 내적내창이어늘 내과후량을 우탁우낭이오아 사집용광하야 궁시사장하며 간과척양으로 원방계행이라하니 고로거자유적창하며 행자유과량야연후에야 가이원방계행이니 왕여호화어시든 여백성동지하시면 어왕에하유리잇고 왕왈 과인이 유질호니 과인은 호색하노이다 대왈 석자에 대왕이 호색하샤 애궐비하더시니 시운 고공단보 내조주마하샤 솔서수호하야 지어기하하야 원급강녀로 율래서우라하니 당시시야하야 내무원녀하며 외무광부하니 왕여호색이어시든 여백성동지하시면 어왕에하유리잇고
(주석) ▶ 노(孥):자식, 종, 妻子. ▶ 가(哿): 좋다, 훌륭하다. ▶ 경(煢): 외롭다, 근심하다, 주사위. ▶ 과(裹) : 보자기, 싸다, 얽다, 보자기 같은 것으로 싸다. ▶ 후(餱) : 건량(乾糧). ▶ 탁(槖): 전대, 풀무, 사물의 놀이. ▶ 집(戢):그치다, 거두다, 무기를 거두어들이다, 그만하다.
제나라의 선왕이 물었다. "사람들이 나에게 명당을 헐어 버리라고 하는데, 헐어야 합니까, 두어야 합니까?"
맹자가 대답하였다. "명당이란 것은 왕자의 집입니다. 왕께서 왕정을 행하고자 하시거든 그것을 헐지 마십시오."
"왕정에 대해서 들어 볼 수가 있겠습니까?"
"옛날에 문왕이 기를 다스릴 적에, 농사짓는 자에게는 9분의 1의 세금을 받았고, 벼슬살이하는 자에 대해서는 대대로 녹을 주었습니다. 관문이나 시장에서는 그 사정을 살피고 조사해 보기는 하되, 세금을 받지는 아니하였고, 못에서 물고기 잡는 것을 금하지 않았으며, 사람을 처벌함에 있어서는 그 처자에게까지 미치게 하지는 않았습니다. 늙어서 아내가 없는 것을 환이라 하고, 늙어서 남편이 없는 것을 과라고 하며, 늙어서 자식이 없는 것을 독이라고 하고, 어려서 부모가 없는 것을 고라고 합니다. 이 네 가지에 속하는 사람들은 천하의 궁한 백성들로서 호소할 곳 없는 사람들입니다. 문왕은 정치하시는 데에도 반드시 이 네 부류의 사람들을 먼저 구제하였던 것입니다. 『시경』에서는 이르기를,
좋기도 하다, 저 부유한 사람들!
가엽구나, 이 외로운 사람들!
라고 했습니다."
"좋은 말씀입니다."
"왕께서 좋다고 여기신다면 무엇 때문에 실천하지 않으십니까?"
"내게는 병통이 있습니다. 나는 재물을 좋아합니다."
"옛날에 공유도 재물을 좋아했습니다. 『시경』에서는 이르기를,
곡식을 한데와 창고에 쌓아 두었건만
마른 양식은 큰 부대나 작은 부대에 따로 담아 두었네!
백성들을 평화롭게 함으로써
나라를 위엄 떨치게 하기 위해서
활과 화살을 펴들고서 방패·창·도끼를 잡고
그제야 비로소 전쟁길로 떠나갔도다
라고 했습니다. 그러므로, 집에 남아 있는 사람들에게는 창고에 쌓인 곡식이 있고, 떠나가는 사람에게는 싸가지고 갈 양식이 있었으니, 그렇게 된 뒤에라야 비로소 떠나갈 수가 있었습니다. 왕께서 재물을 좋아하시되 백성들과 함께 하신다면 왕자가 되시는 데 무슨 어려움이 있겠습니까?"
"내게는 병통이 있습니다. 나는 여색을 좋아합니다."
"옛날에 태왕도 여색을 좋아하여 그 왕비를 매우 사랑했습니다.
『시경』에서는 이르기를,
고공단보가 쫓길 때에
아침 일찍 말을 몰아 달리시어
서쪽 물가를 따라
기산밑에 이르시어
여기서 강녀와 함께
사이 좋게 지내셨네
라고 했습니다. 그 때에는 안으로 남편 없는 여인이 없었고, 밖으로 아내 없는 사나이가 없었던 것입니다. 왕께서 여색을 좋아하시되 백성들과 함께 하신다면, 왕자가 되시는 데 무슨 상관이 있겠습니까?"
6. 孟子謂齊宣王曰 王之臣이 有託其妻子於其友而之楚遊者 比其反也하야 則凍餒其妻子어든 則如之何잇고 王曰 棄之니이다 曰 士師不能治士어든 則如之何잇고 王曰已之니이다 曰 四境之內不治어든 則如之何잇고 王이顧左右而言他하시다.
맹자위제선왕왈 왕지신이 유탁기처자어기우이지초유자 비기반야하야 즉동뇌기처자어든 즉여지하잇고 왕왈 기지니이다 왈 사사불능치사어든 즉여지하잇고 왕왈이지니이다 왈 사경지내불치어든 즉여지하잇고 왕이고좌우이언타하시다
(주석) ▶ 뇌(餒): 주리다, 굶주리게 하다, 굶기다.
맹자가 제나라의 선왕에게 말하였다.
"왕의 신하로서 자기의 처자를 그의 친구에게 맡기고 초나라로 유학을 떠났던 사람이 있었다 합시다. 이 사람이 돌아와 보니 그 친구가 자기의 처자를 얼고 굶주리게 하고 있었다고 합시다. 왕께서는 그 사람을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왕이 말하였다.
"절교해 버리지요."
"옥관이 재판 사무를 잘 처리하지 못하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파면시키지요."
"나라 안이 잘 다스려지지 못한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왕은 좌우에 있는 사람들을 돌아다보면서 엉뚱한 말을 하였다.
7. 孟子見齊宣王曰 所謂故國者는 非謂有喬木之謂也아 有世臣謂之也니 王無親臣矣샤소이다 昔者所進을 今日에 不知其亡也온녀 王曰 吾何以識其不才而舍之잇고 曰 國君이進賢호대 如不得已니 將使卑로 踰尊하며 䟽로踰戚이니 可不愼與잇가 左右皆曰 賢이라도未可也하며 諸大夫皆曰 賢이라도未可也하며 國人이皆曰 賢然後에 察之하야 見賢焉然後에 用之하며 左右皆曰 不可라도勿聽하며 諸大夫皆曰 不可라도勿聽하며 國人이皆曰 不可然後에 察之하야 見不可焉然後에 去之하며 左右皆曰 可殺이라도勿聽하며 諸大夫皆曰 可殺이라도勿聽하며 國人이皆曰 可殺然後에 察之하야 見可殺焉然後에 殺之니 故로曰國人이殺之也라하니라 如此然後에 可以爲民父母니이다.
맹자견제선왕왈 소위고국자는 비위유교목지위야아 유세신위지야니 왕무친신의샤소이다 석자소진을 금일에 부지기망야온녀 왕왈 오하이식기불재이사지잇고 왈 국군이진현호대 여불득이니 장사비로 유존하며 소로유척이니 가불신여잇가 좌우개왈 현이라도미가야하며 제대부개왈 현이라도미가야하며 국인이개왈 현연후에 찰지하야 견현언연후에 용지하며 좌우개왈 불가라도물청하며 제대부개왈 불가라도물청하며 국인이개왈 불가연후에 찰지하야 견불가언연후에 거지하며 좌우개왈 가살이라도물청하며 제대부개왈 가살이라도물청하며 국인이개왈 가살연후에 찰지하야 견가살언연후에 살지니 고로왈국인이살지야라하니라 여차연후에 가이위민부모니이다
(주석)
맹자가 제나라의 선왕에게 말하였다. "오래된 나라란 큰 나무가 있다고 해서 하는 말이 아니고, 대대로 이어 오는 오랜 신하가 있는 것을 두고서 하는 말입니다. 왕께서는 신임할 신하가 없습니다. 왕께서는 지난날에 등용한 사람이 오늘에 와서는 그만두게 해야 할 사람인 줄도 모르고 계십니다."
왕이 말하였다. "내 어찌하면 처음부터 그들의 재주가 없다는 것을 알아서 등용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임금이 현량한 사람을 등용하는 것은 부득이한 것과 같이 해야 합니다. 낮은 사람을 높은 사람 위에 앉히고 생소한 사람을 친척보다 위에 앉히기도 하는 것이니, 어찌 신중하게 하지 않을 수가 있겠습니까? 좌우에 있는 사람들이 모두가 그를 '현량합니다'라고 말해도 쉽사리 등용해서는 안됩니다. 여러 대부들이 모두가 그를 '현량합니다'라고 말해도 안됩니다. 온 나라 사람들이 모두 그를 '현량합니다'라고 말한 뒤에 비로소 그 사람을 살펴보고서 등용하십시오. 좌우의 사람들이 모두 '못 쓰겠습니다'라고 말하더라도 그 말을 듣지 마시고, 여러 대부들이 모두 '못 쓰겠습니다'라고 말해도 그 말을 듣지 마시고, 온 나라 사람들이 모두 '못 쓰겠습니다'라고 말한 뒤에 그 사람을 살펴보아서, 그가 나쁜 인물이라는 것을 안뒤에 그를 내어보내십시오. 좌우의 사람들이 모두 '죽여야 합니다'라고 말하더라도 그 말을 듣지 마시고, 여러 대부들이 모두 '죽여야 합니다'라고 말하더라도 그 말을 듣지 마시고, 온 나라 사람들이 모두 '죽여야 합니다'라고 말한 뒤에 그 사람을 살펴보아서 죽여야 할 것을 안 뒤에 그를 죽이십시오. 그렇게 되면, '온 나라 사람이 그 사람을 죽였다'라고 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니, 그렇게 한 뒤에야 백성의 부모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