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밸브 설치시 유의사항>
(1)게이트밸브
게이트밸브의 설치는 게이트밸브가 양방향성의 흐름을 갖기 때문에 설치 방향의 문제는 없으나 다음의 조건하에서는 설치 방향을 필히 지켜야 한다.
·밸브 디스크에 과압 릴리프 구멍이 뚫려 있는 경우에는 릴리프 구멍이 밸브의 유로 입구측이 된다.
·밸브의 디스크(Wedge)는 완전히 잠근 후 배관에 설치해야 한다. 디스크를 완전히 잠그지 않고 용접을 하거나 프렌지 체결을 할 경우 이물질이 시트사이에 끼기 쉽고, 용접 연결의 경우 디스크가 비틀려질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바이패스 밸브가 설치된 게이트밸브의 경우에는 설치 방향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유로 방향을 필히 확인해야 한다.
(2)글로브 밸브
글로브 밸브는 유로의 방향성이 정해져 있으며, 대개 디스크의 아래쪽에서 디스크의 윗부분으로 유로가 흐르는 상향식 유로 구조이다.
그러나 수동밸브라 할지라도 유체의 조건이 매우 가혹한 경우에는 하향식을 채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고에너지를 다루는 배관계통에의 글로브 밸브는 설치방향을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
또한 글로브 타입의 제어밸브의 경우에는 시스템 특성에 따라 유로 방향을 달리 적용하는 사례가 많다. 예를 들어 후라싱(Flashing)이 발생할 수 있는 히터 드레인 계통(Heater Drain System)과 같은 경우에는 대부분 하향식 유로를 채택하고 있다.
글로브 밸브의 설치 또한 밸브 시팅구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밸브 디스크를 완전히 잠근 다음 용접 등의 체결 작업을 해야 한다.
(3)체크밸브
체크밸브를 배관계에 설치하기 전에 설치위치, 설치방향 및 유로 방향에 보다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4)버터플라이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는 개도 40~60% 사이에 유로의 강도(유속, 압력)에 따라 개폐의 토오크가 크게 변화한다. 따라서 수동조작인 버터플라이 밸브의 운전시 급격히 유체의 힘에 의해 개폐가 될 수 있음으로 밸브조작을 레체트(Ratchet) 방식으로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해야 한다. 엘보우와 같이 난류원(Turbulent Source)이 있는 경우 버터플라이 밸브의 설치방향, 특히 스템 방향이 밸브의 안전한 운전(진동이 증폭되지 않는)에 많은 영향을 준다. 즉, 엘보우가 만드는 평면과 밸브의 스템축이 일치하도록 설치해야 진동이 증폭되지 않고, 만약 스템축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버터플라이 밸브의 디스크가 오히려 난류원의 진동을 증폭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버터플라이 밸브는 대부분 대형사이즈의 밸브이기 때문에 설치시 볼트의 토오크 관리가 일정해야 하고, 배관설치시 일어날 수 있는 연결 프랜지의 평행도를 사전에 확인하여 볼트 토오크의 편심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한다.
(5)볼 밸브
볼 밸브는 설치 위치에 큰 영향을 받지 않으나 가능한 스템축이 운전조작에 편리하도록 하고, 조작 핸들이 상부로 되도록 한다. 왜냐하면 비교적 높은 조작 토오크가 필요하고, 볼 밸브의 취약부인 패킹부분으로 찌꺼기가 끼지 않기 때문이다.
소켓용접이나 맞대기 용접시에는 제작자의 설치메뉴얼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한 다음 용접을 하도록 한다. 이는 볼 밸브의 시팅구조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6)플러그 밸브
전형적으로 플러그 밸브는 다른 밸브에 비하여 매우 높은 조작 토오크를 가진 밸브이다. 윤활형 플러그 밸브(Lubricated Plug Valve)의 경우 플러그와 밸브 몸통과의 간격(Clearance)이 매우 적기 때문에 배관작용력(배관설치시 오프셋 발생, 열팽창 영향등)이 이들을 바인딩하여 밸브 조작을 어렵게 할 수 있다. 플러그 밸브의 핸들은 다른 밸브에 비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밸브 설치시 핸들의 조작 공간을 크게 잡아놓아야 한다.
배관.ppt
배관재료및 밸브종류.d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