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1월16일
일요일 새벽에 잔설이 내려 도로에 염화칼슘을 뿌려 잔설이 녹아 도로에 습기가 빛에 반사돼 반질반질하게 보인다.날씨는 미세먼지로 안개처럼 뿌연다 바람이 거세게부러 시간이 지나고 해가 뜨면 거칠겉지만.산행난이도는 동막고개를 출발해 왕박산까지는 크게 오르내림업이 완만해 난이도D급으로 수월한 산행이었쓰나 왕박을 찍고와 조을치 설매재 가창산 지나 중산재 까지 엄청난 가파름으로 오르내림이 심해 험한대 잠목이 우거져 앞으로 진행할녀니 가로막힌 잠목에 얼굴등이 잠목에 찍기고 까시에 찔리고 억망이다 산행 후반기에 고생한 구간이다.
경로,,동막고개,,다랑고개(국가지원 지방도82호선),,배재(구38국도),,삭고개,,왕박산 갈림길,,문영월재,,가창산820,,갑산지맥 분기점,,591봉,,중산재.18.98km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도화리838-5
동막고개 좌축에 눈이싸인 임도로 올라가면 과수원이 나온면 임도를 따르면 과수원 농가를 지나면 지맥길로 이어진다.
개나리 공원 묘지.
충청북도 제천시 의암동 산90
개나리 공원 묘지에서 제천 변전소 방향을 보고 사진 한방.지맥 방향을 보면 변전소 다랑고개지나 원형 송전용 철탑이 있는 쪽으로 지맥 마루금은 이어진다.변전소를 좌로 우회할겉인가 우로 우회할 겉인가는 지맥하는 산객의 뜻이겟지만 선답자 분들의 산행기를 보면 좌로 우회를 했으므로 나도 좌로 개나리 공원묘지를 지나 논둑을 가로질러 민가와 공장지대를 거처 다랑고개 국가지원 지방도 82번 도로로 가면된다.
나무 이름은 모르나 열매가 기다란게 생겻다.
다랑고개(국가지원 지방도 82호선) 제천 변전소 버스 정거장.
국가지원 지방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은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내기삼거리와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 마지삼거리를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제천시 수산면
에서 평창군 대화면까지는 이전에 지방도 제597호선이었다.
평택 ~ 평창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총연장 250.3km
기점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주요 경유지
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화성시
경기도 오산시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 안성시
충청북도 진천군
충청북도 음성군
충청북도 충주시
충청북도 제천시
강원도 영월군
강원도 평창군
종점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
주요 교차도로
서해안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지방도 제301호선
지방도 제302호선
지방도 제306호선
지방도 제309호선
지방도 제310호선
지방도 제311호선
지방도 제313호선
지방도 제314호선
지방도 제315호선
지방도 제317호선
지방도 제321호선
지방도 제325호선
지방도 제513호선
지방도 제522호선
지방도 제525호선
지방도 제532호선
지방도 제597호선
지방도 제599호선
역 사
1994년 '포승 ~ 생극선'이라는 이름으로 국도 제82호선을 신설하기로 계획
되었던 도로가 시초이며, 당시 연장은 97km로 정해져 있었다. 그러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평택시 포승읍 ~ 화성시 양감면 구간만 국도로 지정되었다.
이 때 국도로 지정되지 않은 잔여 구간이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으로
지정된 것이다. 2001년 8월 25일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이 전부 개정
되면서 음성 ~ 평창 구간이 연장되고, 2008년 11월 17일 화성 ~ 평택 구간이
연장되었다.
1996년 7월 19일 :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 화성 ~ 음성선으로 지정[1]
2001년 8월 25일 : 음성 ~ 평창 구간이 연장되면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화성 ~ 평창선이 됨[2]
2001년 12월 28일 :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1.52km 구간과 음성군 금왕읍
오선리 ~ 무극리 2.38km 구간 확·포장 개통[3]
2003년 7월 18일 : 대소 ~ 금왕간 도로(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 금왕읍
오선리) 8.34km 구간 개통[4]
2004년 2월 13일 : 육령 ~ 오생간 도로(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리 ~ 생극면
오생리) 3.74km 구간 개통[5]
2006년 5월 15일 : 안성 ~ 양성간 도로(안성시 대덕면 모산리 ~ 양성면 난실리)
12.9km 구간 확장 개통[6]
2008년 6월 20일 :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양화리 ~ 구룡리 3.9km 구간 확장 개통[7]
2008년 11월 17일 : 기점이 경기도 화성시 향남면에서 평택시 포승읍으로 연장되면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 평택 ~ 평창선으로 노선 변경[8]
2008년 12월 26일 : 충청북도 구간 도로구역 지정[9]
2011년 5월 20일 :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 확포장공사로 인해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가금면 용전리) 5.3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0]
2012년 4월 21일 :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 도화리 1.56km 구간 및 청풍대교 개통[11]
2013년 8월 10일 : 가금 ~ 칠금간 도로(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 ~ 칠금동)
6.607km 구간 임시 개통(9월 10일 까지)[12]
2013년 8월 14일 :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가금면
용전리) 4.986km 구간 임시 개통(9월 10일 까지)[12]
2013년 9월 11일 : 가금 ~ 칠금간 도로,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 임시 개통[13]
2014년 3월 28일 : 가금 ~ 칠금간 도로(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 ~ 칠금동)
6.607km 구간 개통[14]
2014년 7월 22일 :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가금면
용전리) 4.986km 구간 개통[15]
2017년 9월 29일 : 연금리조트 ~ 청풍대교간 도로(제천시 청풍면 도화리 ~ 교리) 1.74km
구간 확장 개통[16]
2018년 8월 10일 :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중앙탑면 용전리)
4.99km 구간과 가금 ~ 칠금간 도로(충주시 중앙탑면 용전리 ~ 칠금동) 5.8km 구간 개통,
기존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중앙탑면 창동리 총 6.99km 구간 폐지[17]
주요 경유지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 화성시 (장안면 - 우정읍 - 장안면 - 팔탄면 - 향남읍 - 양감면) -
평택시 서탄면 - 화성시 정남면 - 오산시 (벌음동 - 누읍동 - 가수동 - 오산동 -
부산동) - 화성시 장지동 -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 이동읍) - 안성시 (양성면 -
고삼면 - 보개면 - 삼죽면 - 죽산면)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 음성군 (대소면 - 삼성면 - 대소면 - 금왕읍 - 생극면) - 충주시
(신니면 - 노은면 - 중앙탑면 - 칠금동 - 봉방동 - 문화동 - 성서동 - 충인동 -
성서동 - 성남동 - 용산동 - 지현동 - 호암동 - 단월동 - 풍동 - 살미면) - 제천시
(한수면 - 덕산면 - 수산면 - 청풍면 - 금성면 - 산곡동 - 명지동 - 강제동 - 영천동 -
화산동 - 동현동 - 교동 - 장락동 - 고암동 - 송학면)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 평창군 평창읍
도 로 명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내기삼거리 ~ 화성시 우정읍 봉화 교차로 : 포승향남로
화성시 우정읍 봉화 교차로 ~ 조암삼거리 : 기아자동차로
화성시 우정읍 조암삼거리 ~ 향남읍 (발안파출소) : 3.1만세로
화성시 향남읍 (발안파출소) ~ 발안사거리 : 평3길
화성시 향남읍 발안사거리 ~ 오산시 초평동 오산초교삼거리 : 발안로
오산시 초평동 오산초교삼거리 ~ 오산시 초평동 오산세교 12단지 : 초평중앙로
오산시 초평동 오산세교12단지 ~ 남촌동 남촌오거리 : 감투로
오산시 초평동 남촌오거리 ~ 초평동 남촌동다리앞 교차로 : 성호대로
오산시 남촌동 남촌동다리앞 교차로 ~ 중앙동 운동장사거리 : 오산천로
오산시 중앙동 운동장사거리 ~ 안성시 양성면 난실 교차로 : 경기동로
안성시 양성면 난실 교차로 ~ 고삼면 고삼 교차로 : 안성대로
안성시 고삼면 고삼 교차로 ~ 가유리 : 신창길
안성시 고삼면 가유리 ~ 보개면 서삼삼거리 : 고삼호수로
안성시 보개면 서삼삼거리 ~ 천주교공원묘지 교차로 : 보개원삼로
안성시 보개면 천주교공원묘지 교차로 ~ 삼죽면 삼죽면사무소 : 보삼로
안성시 삼죽면 삼죽면사무소 ~ 용월리 : 삼죽로
안성시 죽산면 두현리 ~ 죽산삼거리 : 죽주로
안성시 죽산면 죽산삼거리 ~ 두계교 : 걸미로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두계교 ~ 만승교사거리 : 진광로
진천군 광혜원면 만승교사거리 ~ 충주시 신니면 오생1 교차로 : 대금로
충주시 신니면 오생1 교차로 ~ 용원 교차로 : 중원대로
충주시 신니면 용원 교차로 ~ 노은면 노은삼거리 : 신니~노은간 도로
충주시 노은면 노은삼거리 ~ 중앙탑면 중구2 교차로 : 감노로
충주시 중앙탑면 중구2 교차로 ~ 문화동 부민삼거리 : 탄금대로
충주시 문화동 부민삼거리 ~ 성내충인동 제1로터리 : 중앙로
충주시 성내충인동 제1로터리 ~ 호암직동 호암사거리 : 예성로
충주시 호암직동 호암사거리 ~ 살미면 용천삼거리 : 중원대로
충주시 살미면 용천삼거리 ~ 제천시 수산면 수산사거리 : 월악로
제천시 수산면 수산사거리 ~ 영서동 남당 교차로 : 청풍호로
제천시 영서동 남당 교차로 ~ 의암동 장락역 : 내토로
제천시 의암동 장락역 ~ 둔전골안길입구 교차로 : 둔전로
제천시 의암동 둔전골안길입구 교차로 ~ 송학면 미고개 : 송학주천로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미고개 ~ 관운2교 동단 : 송학주천로
영월군 주천면 관운2교 동단 ~ 평창군 평창읍 마지삼거리 : 평창강로
국 도 제38호선
국도 제38호선 (태안 ~ 동해선, 國道第三十八號 泰安東海線)은 충청남도
태안군 이원면에서 강원도 동해시 북평동 단봉삼거리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최초 노선 지정 당시 경기도 평택시와 강원도 정선군을 잇는 '평택 ~ 정선선'
이었으나 1981년 종점이 강원도 정선군에서 삼척군으로 연장되었고, 1990년
다시 종점이 강원도 삼척시에서 동해시로 연장되었다. 1996년 기점이 경기도
평택시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으로 연장되었고, 2021년 6월 22일 다시
기점이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에서 충청남도 태안군 이원면 내리로
연장되었다.
일반 국도38호선
태안~동해선
총연장 362.4 km
기점 충청남도 태안군 이원면
주요 경유지
충청남도 태안군
충청남도 서산시
충청남도 당진시
충청남도 아산시
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안성시
경기도 이천시
충청북도 음성군
충청북도 충주시
충청북도 제천시
강원도 영월군
강원도 정선군
강원도 태백시
강원도 삼척시
강원도 동해시
종점 강원도 동해시 단봉동
주요 교차도로
경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연 혁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38호선 평택 ~
정선선이 됨.
1975년 10월 1일 : 중원군 산석면 원월리 140m 구간 개통 및 기존 140m
구간 폐지
1977년 3월 15일 : 제천군 제천읍 고암리 1.6 km 구간 개통
1980년 2월 22일 : 영월군 남면 창원리 ~ 연당리 6.0 km 구간, 영월군 서면
쌍용리 ~ 남면 창원리 4.5 km 구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2.4 km 구간 개통[4]
1981년 3월 14일: 종점을 '강원도 정선군 정선면'에서 '강원도 삼척군 삼척읍
'으로 연장함. 이에 따라 '평택 ~ 정선선'에서 '평택 ~ 삼척선'이 됨.
1981년 4월 13일 : 국도로 승격된 정선군 군남면 문곡리 ~ 삼척군 삼척읍
남양리 67 km 구간 개통
1981년 5월 30일 :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연장된 67 km 구간으로 도로구역 변경
1986년 5월 13일 : 종점을 '강원도 삼척군 삼척읍'에서 '강원도 삼척시'로 변경함.[8]
1990년 10월 30일 : 종점을 '강원도 삼척시'에서 '강원도 동해시'로 연장함. 이에 따라
'평택 ~ 삼척선'에서 '평택 ~ 동해선'이 됨.
1995년 2월 11일 : 안성군 공도면 용두리 ~ 만정리 2.3 km 구간, 안성군 대덕면
건지리 ~ 보개면 가사리 7.1 km 구간 개통
1996년 7월 1일 : 시점을 '경기도 평택군 포승면'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으로
연장함. 이에 따라 '평택 ~ 동해선'에서 '서산 ~ 동해선'이 됨.
1996년 11월 11일 : 오남사거리 ~ 궁장 교차로 (이천시 장호원읍 장호원리 ~ 음성군
감곡면 오궁리) 구간 개통
1997년 4월 7일 : 평택시 포승면 만호리의 만호교 1.056 km 구간 폐지
1997년 5월 7일 : 평택시 포승면 내기리 ~ 팽성읍 신궁리 21 km 구간 개통, 평택시
오성면 죽성리 ~ 숙성리 1.15 km 구간 폐지
1997년 8월 23일 : 안성 ~ 일죽간 도로(안성군 보개면 동신리 ~ 일죽면 월정리) 17.3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 km 구간 폐지
1998년 7월 2일 : 만호 ~ 안중간 도로(평택시 포승면 만호리 ~ 내기리) 3.21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21 km 구간 폐지
1998년 9월 24일 : 충청북도 제천시 신동 ~ 송학면 무도리 15.6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1998년 12월 7일 : 둔포 ~ 평택간 도로(평택시 팽성읍 평궁리 ~ 합정동) 4.6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3 km 구간 폐지
1998년 12월 10일 : 당왕고가차도(안성시 당왕동) 700m 구간 개통
1998년 12월 31일 : 일죽 ~ 장호원간 도로(안성시 일죽면 월정리 ~ 이천시 장호원읍
장호원리) 16.2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6.28 km 구간 폐지
2000년 4월 11일 : 둔포 ~ 평택간 도로(평택시 팽성읍 신궁리 ~ 합정동) 4.65 km
구간 확장 개통
2000년 12월 31일 : 제천시 봉양읍 연박리 ~ 주포리 3.98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4.54 km 구간 폐지
2001년 5월 9일 : 충청북도 제천시 동현동 ~ 강원도 영월군 서면 쌍용리 13.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1.557 km 구간 폐지
2001년 11월 1일 :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 태백시 삼수동 14.33 km 구간 및 두문동
재터널 확장 개통, 기존 17.37 km 구간 폐지
2002년 5월 30일 : 제천시 신동 ~ 송학면 무도리 15.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
2002년 7월 11일 : 당진군 신평면 매산리 ~ 가곡리 16.1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
2002년 12월 24일 : 충주시 앙성면 능암리 ~ 산척면 영덕리 12.5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7.25 km 구간 폐지
2003년 11월 20일 :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 ~ 충주시 앙성면 능암리 15.25 km 구간
확장 개통[29]
2003년 12월 29일 : 충주시 산척면 송강리 ~ 제천시 백운면 평동리 9.96 km 구간
확장 개통
2004년 10월 7일 : 영월군 서면 쌍용리 (강원도·충청북도계) ~ 정선군 신동읍
예미리 32.17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04년 12월 31일 : 영월군 서면 쌍용리 ~ 영월읍 덕포리 19.8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서면 쌍용리 ~ 남면 창원리 4.5 km 구간 폐지
2005년 1월 5일 : 두문동재터널 2차 공사(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 태백시 화전동)
4.64 km 구간 확장 개통
2005년 2월 11일 : 삼척시 신기면 마차리 ~ 천기리 2.2 km 구간 확장 개통[34]
2005년 4월 2일 : 삼척시 신기면 마차리 ~ 천기리 2.2 km 구간 확장 개통[35]
2005년 6월 3일 : 평택시 팽성읍 신궁리 ~ 고덕면 동고리 5.19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
2007년 1월 10일 : 사북 ~ 고한간 도로(정선군 사북읍 사북리 ~ 고한읍 고한리)
구간 8.19 km 확장 개통
2008년 1월 18일 : 미로 ~ 삼척간 도로(삼척시 미로면 상정리 ~ 등봉동) 7.9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8.9 km 구간 폐지
2008년 12월 18일 : 신동 ~ 문곡간 도로(정선군 신동읍 예미리 ~ 남면 문곡리)
구간 11.0 km 확장 개통
2009년 12월 24일 : 문곡 ~ 사북간 도로(정선군 남면 문곡리 ~ 사북읍 사북리)
구간 10.6 km 확장 개통
2012년 5월 30일 : 유량 교차로(충주시 앙성면 용대리 ~ 본평리) 1.8 km 구간
신설 개통
2015년 9월 24일 : 대산 ~ 석문 ~ 가곡간 도로(당진시 석문면 통정리 ~ 송산면
가곡리) 9.28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6 km 구간 폐지
2016년 12월 16일 : 태백 ~ 삼척간 도로(태백시 통동 ~ 삼척시 도계읍 늑구리 ~
신기면 마차리 19.1 km 구간과 삼척시 신기면 마차리 ~ 미로면 하정리 6.2 km)
확장 개통, 기존 삼척시 도계읍 흥전리 ~ 마교리 3.19 km 구간과 삼척시 도계읍
고사리 ~ 신기면 마차리 5.5 km, 삼척시 신기면 안의리 ~ 미로면 하정리 7.5 km
구간 폐지
2016년 12월 30일 : 서산 ~ 황금산간 도로(서산시 대산읍 독곶리) 1.86 km 구간
신설 개통[46][47], 대산 ~ 석문간 도로(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 당진시 석문면
삼봉리) 10.6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2.59 km 구간과
당진시 석문면 삼봉리 ~ 통정리 4 km 구간 폐지
2021년 6월 22일: 기점을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에서 태안군 이원면
내리로 연장. 이에 따라 '서산 ~ 동해선'에서 '태안 ~ 동해선'으로 변경.
주요 경유지
충청남도
태안군 이원면 - 서산시 대산읍 - 당진시 (석문면 · 송산면 · 송악읍 · 신평면) -
아산시 인주면 - 아산만방조제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 포승읍 · 안중읍 · 오성면 · 고덕면 · 신대동 · 팽성읍 · 군문동 ·
합정동 · 소사동) - 안성시 (공도읍 · 대덕면 · 신건지동 · 신모산동 · 신소현동 ·
당왕동 · 가사동 · 보개면 · 삼죽면 · 죽산면 · 일죽면) - 이천시 (설성면 · 장호원읍)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 충주시 (앙성면 · 중앙탑면 · 엄정면 · 금가면 · 엄정면 · 산척면) -
제천시 (백운면 · 봉양읍 · 신동 · 천남동 · 강제동 · 명지동 · 강제동 · 고명동 ·
두학동 · 흑석동 · 송학면)
강원도
영월군 (한반도면 · 남면 · 한반도면 · 남면 · 영월읍 · 중동면) - 정선군 (신동읍 ·
남면 · 사북읍 · 고한읍) - 태백시 (화전동 · 황지동 · 통동) - 삼척시 (도계읍 ·
신기면 · 미로면 · 마평동 · 도경동 · 등봉동) - 동해시 단봉동
2014년 이설 이전 구간
나한정역 - 도계버스터미널 - 도계삼거리 - 마교삼거리 - 도계공설운동장 -
늑구리삼거리 - 산기교 - 마차리역 - 마차교 - 대평삼거리 - 신기터미널 -
신동육교 - 신동초등학교 - 신기1교 - 신기2교 - 신기3교 - 신기4교 - 활기삼거리 -
천기1교 - 천기2교 - 천기3교 - 천기삼거리 (지방도 제424호선과 분기) - 상정육교 -
상정삼거리 - 하정 교차로
도 로 명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황금산 교차로 ~ 명지사거리 : 명지1로
서산시 대산읍 명지사거리 ~ 대호방조제 : 충의로
당진시 석문면 대호방조제 ~ 신평면 운정 나들목 : 북부산업로
당진시 신평면 운정 나들목 ~ 아산시 인주면 아산만방조제 : 서해로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아산만방조제 ~ 현덕 교차로 : 서해로
평택시 현덕면 현덕 교차로 ~ 우경삼거리 : 평택호1길
평택시 현덕면 우경삼거리 ~ 이천시 장호원읍 장호원교 : 서동대로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장호원교 ~ 제천시 송학면 느릅재터널 : 북부로
강원도
영월군 한반도면 느릅재터널 ~ 정선군 고한읍 두문동재터널 : 강원남로
태백시 삼수동 두문동재터널 ~ 황연동 황지교사거리 : 태백로
태백시 황연동 황지교사거리 ~ 삼척시 미로면 하정 교차로 : 강원남부로
삼척시 미로면 하정 교차로 ~ 성내동 도경 교차로 : 미로 ~ 삼척간 도로
삼척시 성내동 도경 교차로 ~ 동해시 단봉동 단봉삼거리 : 강원남부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아래 구간은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삭고개
영월지맥 마루금 왕박산 갈림길.
강원도 영월군 남면 토교리 산112-3
왕박산 8부능선에서 제천시 조망이 된다.거러온 영월지맥 마루금이 한눈에 보인다.
벌옥 지대.우축 으로 지맥 마루금은 이어진다.
충청북도 제천시 두학동 산20-2
굉산에서 산밑을 굴착해 산이 붕괴되는 과정.
굉업소에서 체귤하고 보구를 않고 방치해 체굴한 자리가 협곡이 되엇다.
충청북도 제천시 두학동 산35-2
요 벌목지대 우축가에로 진행하면 지맥이다.
가창산에서 내려오다 보면 만나는 갑산지맥 분기봉.
임도 양가에 철조망 끝부분에서 좌축 철조망 따라 올라가면 되겠다 싶어 진행한다.
충청북도 단양군 어상천면 석교리 산24-2
겨울에 죽은소나무에서 자라는 버섯.
중산재 도착 오전 동막고개 산행 들머리 바람은 거세게 뷸엇지만 차갑지는 않앗지만 오후 산행 날머리 바람은 아주 차겁고 매섭게 부러 뼈속까지 스며든다.
중산재 다음 산행을 약속하며 ㅣ월16일 영월지맥7구간을 마침니다.
제천 콜택시 이용 세명대 동막고개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