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실습 일정
시 간 | 프로그램 | 대 상 자 | 내 용 | 실습생 역할 |
10:00~10:30 | 복지요결 강독 | 실습생 전체 | 내용 읽기 생각 공유하기 | 학습, 경청 |
10:30~12:30 | 사례관리 실천사례 | 실습생 전체 | 성현동 사례나눔 | 학습, 경청 |
10:30~12:30 | 점심식사 | - | - | - |
14:30~17:30 | 비전 워크숍 | 실습생 전체 | 실습생의 비전 발표 생각 나누기 | 학습, 경청 |
2. 실습 일정 세부 내용
: 10시부터 10시 30분까지 사회사업 방법과 관련하여 복지요결을 읽고 생각을 나누었습니다. 10시 30분부터 12시까지는 우리 복지관 성현동 담당 선생님인 문은선 선생님이 성현동 사례관리 실천 사례인 구OO님의 이야기를 나누어주셨고, 이에 대해 각자 느낀 점을 말했습니다. 이후 노들섬으로 이동해서 14시 30분부터 17시 30분까지 각자 실습에서 이루고자 하는 비전과 미래 진로 등을 담은 내용을 이야기하는 비전 워크숍 시간을 가졌습니다.
3. 실습 일정 평가
1) 배운 점
복지요결 강독 “의논하며 돕자”
: 오전 시간에 복지요결 책을 동료 선생님들과 함께 읽었습니다. 오늘은 사회사업 방법 부분을 읽었는데, 그중 자기결정권에 관련된 부분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당사자 자기 뜻대로 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그것이 당사자 일방이 자기 뜻대로만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즉, 의존하며 도와야 한다는 것입니다. 저는 이것이 당사자의 자주성만을 추구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했습니다. 당사자의 뜻은 존중하는 것이지, 순종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당사자가 스스로 하도록 돕되, 사회사업가는 그것이 당사자의 주인됨에 맞는지 살피고 의논하며 도와야 합니다. 사회사업가는 당사자가 의견을 분명하게 말하는 것을 도와야 하는 것입니다. 이걸 듣고 우리 아이들에게도, 혹여 내가 스스로 하게만 둔 것은 아닌지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그러지 않기 위해, 자세를 낮추어 아이들을 존중하는 자세로, 경청하고 의논해야겠다 다짐했습니다.
- 사례관리 실천사례 나눔 “다음엔 언제 해요?”
: 성현동 사례관리 팀 선생님인 문은선 선생님의 구OO님 실천사례 나눔을 들었습니다. 찾아봬도 방문이 닫혀 볼 수 없는 구OO님이 선생님을 만나게 된 1년 반 동안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말씀해주셨습니다. 구OO님이 산을 타셨다는 사실, 영화를 좋아한다는 사실로부터 관계를 만들고, 스스로 감독이 되게끔 도우는 과정을 이야기로 들었을 뿐이지만, 사회사업 이렇게 대단할 수 있구나 감탄했습니다. 그중 저는 무엇보다 구OO님의 “다음엔 언제 해요?”라는 말이 와닿았습니다. 첫 영화관 프로그램을 마친 구OO님이 스스로, 선생님께 다음을 물었습니다. 당사자에게 기회를 ‘주는’게 아니라, 당사자가 기회를 ‘찾은’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가 사회사업에서 찾고자 하는 당사자의 자주성 아닐까요? 스스로 사람들 모으고, 스스로 장소 찾고, 감사 인사하는 모습이 너무 아름다웠습니다. 사회사업 어떻게 해야 잘 할 수 있을지 더 공부해야겠지만, 사회사업 잘 하면 어떨지 느낄 수 있어 너무 감사했습니다.
비전 워크숍 “끝없는 칭찬 릴레이”
: 동료 선생님들과 함께 점심을 먹고 비전 워크숍 시간을 가졌습니다. 각자 사업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 실습이 끝나면 하고자 하는 일, 장래 희망 진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처음에는 긴장되었지만, 모두 사회사업 잘 하겠다는 마음으로 앉아 있다는 생각이 드니 자신있게 말할 수 있었습니다. 비전 워크숍을 하면서 가장 크게 느낀 것은 ‘칭찬의 폭포’였습니다. 다른 선생님들 모두 각자의 사업 하느라 이전에 미리 이야기하지 못한 것이 너무 아쉬울 정도였습니다. 결심의 힘을 알려주신 권채원 선생님, 한 분 한 분 격려해주시며 강점 표현해주신 김선찬 선생님.. 한 분 한 분 너무 소중한 이야기 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그리고 힘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모두 사회사업 잘 할 수 있고, 잘 하겠다고 마음먹을 수 있게 된 이 시간이 너무 고마웠습니다.
2) 보완점
3) 슈퍼비전 요청 사항
1. 아이들이 취지를 알 수 있게 묻게 되면 제가 제 생각대로 의논할 내용을 너무 한정하는 것 같고, 그렇다고 일정만 정하자기에는 아이들이 왜 모이는지를 알 수 없다고 계속해서 느낍니다. 아이들에게 일정 잡는 것을 부탁할 때, 어떻게 물으면 좋을까요?
2. 아이들이 여행의 목적, 가장 이루고 싶은 것들을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습니다. 이루고자 하는 바를 달성하는 가장 좋은 경험이 여행이라고 생각하며 임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야기를 꺼내는 것부터 모양새가 이상할까 걱정됩니다. 특히 예빈이는 마음을 묻는 질문을 편하지 않게 생각한다고 느꼈습니다. 이야기를 꺼내는 게 맞을까요? 어떻게 이야기를 꺼내면 좋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