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실습 일정
시 간 | 프로그램 | 대 상 자 | 내 용 | 실습생 역할 |
9:00~10:00 | 복지요결 공부 | 실습생 전체 | 인사 묻고, 의논하고, 부탁하기 | 학습, 경청, 필기 |
10:00~11:00 | 기획단 회의 | 성현동 팀 | 활동 규칙 정하기 정한 규칙 그림 그리기 | 진행, 필요 물품 구비 |
11:00~12:00 | 기획단 아이들과 친밀감 형성 | 성현동 팀 | -연주, 윤환이랑 모두의마블 게임 | 집중, 진행 |
12:00~13:00 | 점심 식사 | - | - | - |
13:00~16:00 | 성현동 팀 회의 | 성현동 팀 | - 아이들 팀 배치 관련 분야 현직자 전화 인터뷰 부모님 연락 |
|
16:00~17:00 | 슈퍼비전 | 성현동 팀 | -자주성 vs 공생성(4일차 실습지) -사업의 성공과 실패 | 학습, 경청, 필기, |
17:00~18:00 | 가상 시나리오 작성 | 성현동 팀 | -D-day, 수료식 가상 시나리오 작성 |
|
2. 실습 일정 세부 내용
-기획단 회의(10:00~11:00)
: 오늘 아이들과 처음 대면하는 날이었습니다. 공명이, 승우, 강현이, 수연이는 참석하지 못하였고, 무더위 쉼터에서 눈감고 술래잡기를 하며 친해진 민주와 시아, 처음 만나는 연주, 리하, 병욱이, 윤환이, 세현이까지 다같이 기획단 활동을 즐겁게 해보자며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첫 날이다보니 아이들이 매우 어색해했고, 활동하기 전부터 서로 알고 있던 시아랑 민주/ 윤환이랑 병욱이끼리 회의시간에 대화하고, 나머지 아이들은 일면식이 없다보니 핸드폰만 만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분위기를 상기시키고자 기획단 활동할 때 꼭 지켜야 하는 규칙을 정해보자고 했습니다. 아이들이 ‘때리기 금지’, ‘욕 쓰지 않기’, ‘싸우지 말기’, ‘말할 때 끼어들기 금지’를 말하였고, 회의때 아이들이 수시로 친구들의 말을 끼어들 것 같아 제가 ‘회의 때 손 들고 말하기’, 한 명이 떠들기 시작하면 나머지 친구들도 같이 떠들게 되어서 회의에 차질이 생길까봐 ‘회의 때는 잡담 금지’, ‘선생님 말씀 잘 듣기’를 제안하였습니다. 규칙을 다 정하고 나서 규칙을 그리기로 했는데, 리하는 ‘욕 쓰지 않기’, 세현이는 ‘싸우지 말기’, 병욱이는 ‘때리기 금지’, 시아는 ‘말할 때 끼어들기 금지’, 민주는 ‘회의 때 손 들고 말하기’, 연주는 ‘회의 때 잡담 금지’, 윤환이는 ‘선생님 말씀 잘 듣기’를 맡았습니다.
민주랑 시하는 귀찮은 듯 대충 끝냈고, 윤환이는 장난기 가득한 모습으로 규칙을 그렸고, 병욱이는 연필까지 챙겨 스케치하고 미술에 관심이 있어 보였습니다. 리하랑 세현이, 연주는 주어진 미션에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특히 세현이는 왜 싸우면 안 되는지, 싸우면 해결하는 방법 등 규칙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정보까지 적어서 조용하지만 세심한 아이인 것을 파악했습니다.
회의를 마무리하고 나서는 밖에서 노는 팀과 실내에서 노는 팀으로 나누어 아이들과 친밀감을 쌓았습니다. 수진쌤이랑 세민쌤은 밖에 나가서 아이들과 놀았고, 저와 경나쌤은 실내에서 연주와 윤환이와 함께 모두의 마블(보드게임)을 진행하였습니다. 윤환이가 회의때 산만한 모습을 보여주어서 게임할 때에도 산만하면 어떡하지 걱정했는데, 윤환이는 자기가 좋아하거나 관심있는 분야에서 활동하면 집중하면서 자기주도적인 모습을 보여주었고 무엇보다 목소리에 힘이 있어서 사람들을 자신에게 집중시키는 힘이 있엇습니다. 그래서 게임을 주도하면서 모르는 규칙도 알려주고 필요한 자원이 있으면 빌려주는 등 주도적으로 활동했고, 연주는 주도적이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게임을 즐기면서 필요한 자원을 알아서 찾아가고 제가 놓친 부분이 있으면 알려주는 등 상황에 잘 어울리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점심시간이 되어서 게임을 마무리하려고 하니 윤환이와 연주 둘다 아쉬움을 표했습니다.
-성현동 팀 회의(13:00~16:00)
: 오전에 회의 결과와 아이들 관찰했던 결과들을 바탕으로 팀을 어떻게 나누고 어떻게 활동을 할지 회의했습니다. 걱정되는 부분이 윤환이가 회의에 집중하지 못하고 계속 산만한 모습을 보여주어서 어느 팀에 배치할지, 그리고 민주와 시아가 항상 붙어있고 말할 때 표현이 거친편이라 이 둘을 떨어뜨려서 에너지를 분산시킬지 아님 한 팀에 넣어서 놀이탐험대에 주도적인 역할을 부여할지 고민했었습니다.
그때 교육업계에서 종사하시는 지인분께 전화를 걸어 이러한 고민이 있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여쭤보았습니다
"성격이 세다고 생각되는 아이들은 같은 팀을 하게 놔둬도 될까요?"
"뽑기하라고 해~ 뽑기는 불만이 없잖아"
"말을 세게(상처받게)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렇게 하면 안돼~'이렇게 낮게, 부드럽게, 단호하게 말해야지."
"아이들의 의견이 다 다르면 어떻게 해요?"
"선생님이 조율하면서 물어보면서 몰고 가는 것처럼 하는거지. '이렇게 하면 안 되지 않을까?', '이런 문제가 있지 않을까?', '이렇게 하면 더 좋지 않을까?', '오늘은 날이 더워서 피구를 못할 것 같으니까 다음에 할까?'“
예전에 교육업계에 잠깐 종사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 배우고 경험하면서 느꼈던 것들이 조금씩 기억이 나기 시작했습니다.
-가상 시나리오(17:00~18:00)
가상 시나리오를 작성하면서 디데이에 대한 청사진이 조금 더 그려지는 것 같습니다.
(D-DAY)
실습생1: 와아! 진짜 수고 많았다. 더운데도 아이들이 많이 와줬네
실습생2: 그러니깐! 기획단 아이들이 정말 잘 이끌어주더라. 그래서 아이들도 단합이 잘 되더라.
실습생3: 어머님들이 간식도 많이 챙겨주시고, 동네 선생님들이 준비를 많이 도와주셔서 더 원활히 진행된 것 같아.
실습생4: 맞아. 얘들아 어땠어? 재밌었어?
정공명: 놀이탐험대 애들이 제 말을 잘 따라줘서 고마웠어요.
정연주: 생각했던 대로 잘 진행돼서 뿌듯했어요! 아이들도 많이 왔어요
가윤환: 물총놀이 진짜 재밌었어요! 저 물총으로 친구들 많이 맞췄어요ㅎㅎ 물총놀이 언제 또 해요?
길병욱: 더워서 힘들기도 했지만, 형누나들이랑 친구들 많이 만나서 공놀이도 하고 시원하게 물총놀이도 해서 좋았어요ㅎㅎ
김세현: 놀이 도구 만드는거랑 홍보지 꾸미는게 재밌었어요. 제가 그림 그릴 때 친구들이 잘그린다고 칭찬해줘서 기분이 좋았어요.
실습생2: 민주랑 시아는 이번에 기획단 처음 해봤는데 어땠어?
김민주: 전 원래 기획단 하고 싶었는데 선생님들이 쉼터에서 같이 놀아주고 기획단도 하자고 해주셔서 좋았어요. 그리고 잘 안 친했던 학교 친구들, 동생들이랑도 친해졌어요.
백시아: 저도 좋았어요. 눈감술이랑 경도 하면서 마음껏 뛰어놀아서 재밌었어요.
김리하: 다같이 노니까 재밌었어요! 다음에 또 모여서 놀았으면 좋겠어요.
(수료식 당일)
실습생1:여름 방학동안 너무 고생 많았어~ 날도 더운데 잘 따라주고 책임감 있게 기획단 준비해줘서 고마워!
실습생2: 그러게 너네들 덕분에 이번 여름방학 선생님도 행복하게 보낸 것 같아. 고마워!!
실습생3: 동네 주민과 어머님 덕분에 더 재미있게 준비하고 놀 수 있었던 것 같아. 고생 많았어!
실습생4: 3주동안 어땠어 얘들아? 서로 돌아가면서 소감 한마디씩 해볼까?
정공명: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선생님들 덕분에 재미있게 여름 방학 보낼 수 있었어요. 학원때문에 힘들었는데 선생님들이랑 있으면서 웃을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정연주: 쌤들이 잘 챙겨줘서 좋았어요. 편지도 감동이에요. 이렇게 다같이 모여서 활동하니 방학이 재밌었어요. 선생님 덕분에 동네에 더 많은 친구들을 사귈 수 있었던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가윤환: 저희 또 언제 놀아요? 쌤들 이제 언제 와요?
길병욱: 쌤 다음에는 저랑 더 재미나게 놀아요 내년에도 오실꺼죠?
김세현: 감사합니다 선생님 덕분에 재미있는 방학 보낼 수 있었던거 같아요 이전에 진행했던 활동보다 더 재미있었던거 같아요
김민주: 방학 때 일정이 없었는데, 이 활동 덕분에 알차게 보냈어요. 쌤들이랑 친구들이랑 함께 노니 더 재미있었어요. 고마워요. 쌤 같은 언니 오빠가 있으면 좋겠어요..ㅎㅎ (안아주며..ㅠㅠ)
백시아: 쌤 가지마요. 또 놀러와요. 눈감술 할래요?
김리하: 요번 활동 덕분에 동네에 아는 친구들도 많아지고 동네 어르신 많아져서 너무 좋아요 감사합니다!
3. 실습 일정 평가
1) 배운 점
-성현동 팀 회의
: 관련 종사자 인터뷰를 하면서 예전에 배웠던 것들을 다시 한번 상기시킬 수 있었고, 아이들은 생각보다 단순해서 물건 하나만 던저줘도 잘 노는걸 다시한번 체감하게 되었습니다.
2) 보완점
윤환이랑 연주랑 게임하면서 게임과 아이들 라포 형성에 너무 집중하다 보니 사진 찍는 것과 기록을 남기는 것에 너무 소홀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이들의 강점 발견이 안 되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또한, 피곤해서 매번 실습 일지를 다음날 올리다 보니 매번 밀려서 ‘빨리 끝내고 제출해야지’라는 생각이 들어 매번 빨리 끝내는 것에 초점이 맞춰진 것 같아 스스로를 반성하게 되었습니다. 한 활동에 매우 열정적으로 활동하기 보다는 에너지 분배를 잘 해서 퇴근하고 당일날 실습일지를 올릴수 있게, 그리고 전날보다 오늘이 조금 더 길게 써볼 수 있게 노력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