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na.co.kr/view/AKR20240415080100071
(워싱턴=연합뉴스) 김경희 특파원 = 미국 정부가 15일(현지 시간) 미국에 대규모 반도체 생산시설을 투자하는 삼성전자에 반도체법에 의거해 보조금 64억달러(약 8조9천억원)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지나 러몬도 미 상무부 장관은 전날 브리핑에서 삼성전자의 텍사스 첨단 반도체 공장 투자를 위해 반도체법에 의거, 64억 달러의 보조금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에 맞춰 현재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170억달러(약 23조5천억원)를 투자해 건설 중인 반도체 공장의 규모와 투자 대상을 확대해 오는 2030년까지 총 약 450억달러(약 62조3천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는 기존 투자 규모의 두 배가 넘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022년부터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건설 중인 반도체 생산 공장에 추가로 새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고, 패키징 시설과 함께 첨단 연구개발(R&D) 시설을 신축해 본격적인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설 방침이다.
삼성전자의 첫 번째 텍사스 테일러 공장은 2026년부터 4나노미터 및 2나노미터 반도체를 생산할 예정이며, 두 번째 공장은 2027년부터 첨단 반도체를 양산할 계획이다. 연구·개발 팹 역시 2027년 문을 열 예정이다.
러몬도 장관은 "조 바이든 대통령의 '인베스트 인 아메리카' 의제에 따라 또 한 번의 역사적 투자를 기념하게 됐다"며 "이로써 세계 최첨단 반도체가 미국에서 생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에 지원하는 반도체 보조금은 미국 반도체기업인 인텔(85억달러·11조8천억원)과 대만 기업인 TSMC(66억달러·9조1천억원)에 이어 3번째로 큰 규모다.
반도체 기업에 대한 미국 정부의 이 같은 지원은 첨단 반도체의 공급망을 국내로 끌어들이기 위한 경제·안보 전략의 일환이다.
미국 정부는 중국과의 기술 패권 대결이 격화하자 첨단 기술의 핵심인 반도체에 대한 해외 의존도가 높다는 점을 안보 위험으로 간주해왔다.
현재 미국 내에서는 첨단 반도체 생산이 이뤄지지 않고 있으나 미국은 첨단 반도체에 대한 투자를 과감히 지원해 오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최첨단 반도체의 20%를 자국 내에서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2021년 출범 이후 공급망 유연성을 확보하고 중국에 대한 견제 차원에서 핵심 제조업의 부활을 위한 대규모 투자를 이어왔고, 특히 국내외 반도체 제조기업들의 설비투자를 유인하기 위해 반도체법을 입법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달 20일 인텔에 보조금 85억달러와 대출 110억달러 등 195억달러에 달하는 지원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어 지난 8일에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에 보조금 66억달러를 포함해 총 116억달러 지원안을 공개했다.
삼성전자가 받게 될 보조금 64억 달러는 대출금을 제외한 순수 보조금으로 비교해도 TSMC 비해 약간 적지만, 투자액 대비 보조금 비율(%)로 따지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정부 고위 당국자는 "(삼성전자의) 이번 투자에는 2개의 첨단 파운드리 생산 시설과 차세대 반도체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시설, 패키징 시설이 포함된다"며 "1개 생산 시설은 축구장 11개 규모이며, 삼성은 이 같은 시설을 두 개나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특히 "삼성은 핵심 연구 개발을 미국에서 수행, 텍사스에서 미래 반도체 기술 개발을 이어갈 것"이라며 "이번 투자로 최소 1만7천개의 건설 일자리가 생기고, 공급망을 포함할 경우 수만개의 일자리 창출이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당국자는 "삼성전자에 대한 투자(보조금 제공)는 첨단 반도체 기술을 미국으로 되돌리기 위한 세 번째이자 삼각축의 마지막 완성이 되는 투자"라며 "삼성전자의 400억 달러대 투자와 짝을 이뤄 이번 투자는 미국 역사상 대규모 외국인 투자 가운데 하나로 기록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당국자는 "미국에 최첨단 R&D 시설을 가져오기로 한 삼성의 결정은 미국이 첨단 기술의 수혜를 입는다는 의미"라며 "이번 투자로 바이든 행정부는 애리조나에서 텍사스에 이르는 혁신 커뮤니티를 지원하게 됐다"고도 했다.
교수님께서 수없시간에 말씀해주셨듯이 요새는 전세계가 Host country가 되고 싶어하는 듯 합니다.
특히 미국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전 세계에서 잘 나가는 반도체 기업을 끌어들이는 것, 미국의 In-flows를 높이기위한 것, 이미 미국은 반도체 설계쪽에서는 높은 수준이지만, 생산은 우리나라나 대만에 맡겨왔는데 앞으로는 설계뿐 아니라 연구, 개발, 생산까지 다 미국에서 하면서 '반도체 생태계'를 완성하겠다는 미국의 강한 의지가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또한, 삼성전자가 받기로한 보조금은 64억 달러로 인텔과 TSMC보다는 적지만 투자 금액 대비 비율로 따지면 가장 높다고 한 것을 보아 삼성의 기술력이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 미국을 중심으로 한 반도체 경쟁이 더 심해질 것으로 보이는데 2030년까지 총 450억 달러의 보조금을 늘릴 것이라고 한 미국의 앞으로가 궁금합니다. 학우분들도 이 기사를 읽으면서 다시 수업 내용이 생각나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첫댓글 미국의 자국내에서 반도체 생태계 구축의지가 확연히 드러나는구나.
Hostcountry인 미국이 엄청난 보조금을 본인들의 나라에 진출하는 타국 기업들에게 쥐어주는데, 미국은 절대 손해보는 장사를 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진출 기업의 가치를 높게사고, 보조금 이상의 이익을 줄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역시 대한민국 대기업 삼성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오늘자 뉴스에 따르면 삼성이 미국 파운드리 신공장 가동 시점은 1년 이상 연기하였다고 보도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반도체 수요의 감소라고 하는데요. 즉, 현재 반도체 시장이 너무 과열이 되었고 이제는 수요가 공급을 넘지 않는 수준이라고 판단하여 연기하였다고 합니다! 사견으로는 지금까지 pc, 핸드폰, 자동차 등의 수요가 증가하여 이에 따라서 파운드리 기업을 포함한 반도체 기업들이 호황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제는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고 생각하며, 반등하기 위해서는 pc, 핸드폰, 자동차등을 넘어설 수 있는 로봇 기술 발전에 비례하여 파운드리 기업 관련 반도체 산업이 반등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앞으로의 ai 시장이 기대가 됩니다. 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삼성이 다시한번 대단하다고 느껴집니다.
우리나라도 host 와 home country 두개를 다 충족하도록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