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30412010001666#
1964년 4월 14일 미국 생물학자이자 작가인 레이첼 카슨이 세상을 떠났다. 그는 《해풍 아래》, 《우리를 둘러싼 바다》, 《바닷가》 등 자연의 역사를 다룬 저서들을 출간했다. 합성살충제 오염 문제를 다룬 《침묵의 봄》도 널리 알려진 저작이다. ‘침묵의 봄’은 봄이 돌아와도 살충제 독성 때문에 조류가 많이 사라져 새소리가 들리지 않고 지구가 조용하다는 뜻이다.
새만 죽은 것이 아니라 그보다 체구가 더 작은 탓에 벌들은 멸종 위기에 봉착해 있다. 그래서 UN은 5월 20일을 ‘세계 벌의 날(World Bee day)’로 제정했다. 5월 20일이 UN 제정 ‘세계 벌의 날’이 된 것은 그날이 슬로베니아의 근대 양봉인 안톤 얀사(Anton Jansa)의 생일이기 때문이다.
슬로베니아는 ‘유럽 양봉의 심장’ 소리를 듣는 나라이다. 인구 200만 슬로베니아에 양봉 인구가 1만 명이나 있다. 우리나라로 치면 양봉인이 25만 명이나 된다는 말이다. 자연스레, 국가 슬로베니아와 그 나라 양봉인 안톤이 무 ‧ 저농약 농산물 애용과 (벌이 좋아하는) 꽃 많이 심기 운동에 앞장섰다. 그 덕(?)에 안톤은 자신의 생일이 UN 기념일로 제정되는 광영을 누리게 되었다.
벌이 죽으면 사람도 죽는다
농약과 살충제 때문에 벌 개체가 격감하여 자연 생태계 유지에 큰 적신호가 켜졌다. 벌이 많아야 꽃과 식물들의 수분이 원활하게 일어나는데, 농약 및 살충제 과다 살포로 벌이 떼죽음을 당하면서 자연생태계가 위험해진 것이다. 벌이 없으면 식물이 죽고, 식물이 죽으면 동물이 죽고 마침내 사람이 죽는다. 회색 도시에 살더라도 작은 꽃밭은 만들 수 있으니 모두들 안톤이 되어야겠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벌은 1509년(중종 4) 경북 청송에 살았던 꿀벌들이다. 그러나 이 벌들은 '의로운 개'나 '의로운 소'처럼 주인의 생명을 살리고 대신 죽은 충신(!)들은 아니다. 별달리 한 일도 없는데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렸고, 경상북도 도청 등 여러 공공기관 청사와 누리집에도 올라 계속 이름을 날리고 있다.
모두가 당시 청송부사 정붕鄭鵬 덕이다. 영의정이 “청송은 잣과 꿀의 명산지 아닌가! 나한테 좀 보내주게”라는 전갈을 보내오자 정붕은 “잣은 높은 산꼭대기에 있고柏在高岺頂上 꿀은 민간의 벌통에 있는데蜜在民間蜂筒中 태수가 무슨 재주로 그것을 얻을 수 있겠소爲太守者何由得之?” 하고 답장을 보냈다. 이 일화는 공사를 엄격히 구분하고 부정부패를 철저히 거부하는 청렴한 공직자의 모범으로 우리 국민들에게 회자되고 있다. (*)
정붕은 조선 시대 선비들의 '언행일치'를 상징하는 인물입니다.
불세출의 장군이라는 점만 흔히 기억하지만
이순신은 조선 시대 무관 중 청렴을 대표하는 인물입니다.
두 사람을 주인공으로 한 '청렴' 장편소설을 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