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연재 - 안녕~핵발전 6
|
9.15 정전사태와 핵발전
최중경 지식경제부장관이 결국 9.15 정전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국정감사에 등장할 때만 해도 기세등등했으나 여론의 찬바람을 이기지 못하고 추풍낙엽이 되었다. 이번 정전사태를 겪으면서 전기의 소중함을 새삼 깨닫게 된다. 이런 깨달음이 에너지 절약실천으로 나타나면 좋겠지만, 더 많은 발전과 핵발전 옹호로 나타날까 두려운 맘도 든다. 과연 9.15 정전사태는 발전시설이 부족해서일까?
일시 |
공급능력(만kw) |
최대전력(만kw) |
공급예비력(만kw) |
예비율(%) |
2011.8.31 15:00 |
7763.6 |
7219.4 |
544.2 |
7.5 |
2011.9.15 15:00 |
7062.2 |
6728.1 |
334.1 |
5 |
2011.9.17 15:00 |
6948.9 |
6293.6 |
655.3 |
10.4 |
8월31일과 9월15일을 비교해보자.
최대전력 사용량은 8월31일이 7219.4만kw로 정전이 된 9월15일보다 오히려 더 많다. 그런데 왜 보름 만에 정전사태가 일어났을까? 공급능력 급감에 답이 있다. 8월31일 7763.6만kw였던 공급능력이 9월15일 7062.2만kw으로 급감했다. -701.4만kw, 단 보름 만에 핵발전소 7기에 해당하는 발전능력이 사라진 것이다. 이에 대해 지식경제부는 가을철을 맞아 발전소들이 일제히 정비에 들어갔다고 해명했다. 즉, 수요예측 실패가 정전사태를 부른 것이다.
더 정확히 표현하면 기후변화 대응에 실패한 것이다. 앞으로는 여름 특정시기, 겨울 특정시기에만 전력수요가 최고치(전력피크)에 이르지 않고 수시로 전력피크에 이를 수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인지해야 한다.
그렇다면 발전소를 더 건설해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올바른 해결책일까? 공급능력이 많으면 좋겠지만 공급에는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다. 그래서 수요관리가 중요한다. 가까운 일본은 국민들의 전력현황을 체크하면서 스스로 수요를 조절한다. 이것이 핵발전소 가동을 56기에서 9기로 줄여도 정전 없이 올 여름을 난 일본의 비결이다.
특히, 핵발전은 유동적인 전력수요에 대응할 수가 없다. 전력피크에 맞춰 핵발전 공급을 늘이면 전력피크가 아닐 때 공급과잉이 발생하고 결국 국민들에게 전력낭비를 부추기는 악순환이 계속된다. 정전 이틀 후인 9월17일을 보면 공급능력은 더 줄었지만 예비율이 10.4%로 크게 늘어난 것을 볼 수 있다.
굳이 발전설비를 늘여서 전력피크에 대응을 한다면, 핵발전이 아닌 가스발전, 복합화력발전을 통해서 전력피크에 대비해야 한다. 가스발전은 30분, 복합화력은 1.5시간 안에 전력피크에 대응할 수 있고 전력이 충분할 때는 발전을 중단할 수 있다. 그러나 핵발전소는 가동을 하면 멈추기 힘들고, 재가동을 위해서 최소 24시간이 필요하다.
핵발전은 결코 해결책이 될 수 없음을 밝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