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화 결실과 C/N비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과수나무를 구입하여 빨리 열매를 맺히게 하기 위해 분료를 많이 주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하면 성장은 무지무지하게 빠르나 열매를 맺지 못하는 수가 있다. 그것은 C/N ratio 관계가 있다. 그래서 열매를 빨리 맺게 하려면 C/N비를 잘 맞추어서 거름을 주어야 한다.
☞ C/N ratio (생명과학): C/N 비, 생체 또는 환경에 있는 유기물 중의 탄소와 질소화합물 중의 질소의 비율.
- C/N ratio
탄소와 질소의 비율(탄질비)라고 하며, 탄소의 양을 질소의 양으로 나누어 구함(표시단위 없음). 질소의 양 측정은 켈달분해법(Kjeldahl method) 연소법(Combustion method)을 주로 이용하고, 탄소의 양 측정은 연소법을 주로 이용함.
* 켈달분해법(Kjeldahl method)
1. 건조된 식물체 또는 토양 시료를 미립(20mesh 이하)으로 분쇄
2. 준비된 시료와 황산 및 촉매제를 혼합하여 390℃에서 약 3시간 분해.
3. 원소분석기(예: Quick Chem Flow Injection Analyzer, Lachat)를 이용하여 질소함량 측정
* 연소법(Combustion method)
1. 건조된 식물체 또는 토양 시료를 미립(입자가 작을수록 좋음)으로 분쇄
2. 원소분석기(TOC: Total Organic Carbon analyzer)를 이용하여 총탄소함량 측정
참고로 분뇨와 볏짚의 구성성분이 다음과 같다. 무게비 1:2로 혼합 시 C/N비는 얼마인가?
분뇨 : 함수율 95%, 총고형물중 유기탄소량 35%, 총 질소량 15%
볏짚 : 함수율 20%, 총고형물중 유기탄소량 85%, 총 질소량 5%
♣ 옮겨심기와 T/R ratio
우리들이 나무를 옮겨와 지상부를 일부분 잘라주는 경우가 있다. 그 이유는 지상부의 잎에서 수분 증발이 일어나나 지하부에서는 옮겨 심는 관계로 뿌리의 가는 털이 잘라져서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수분 공급이 안 이루어져 말라 죽게 된다. 그럴 경우에는 지상부를 잘라주거나 햇볕에 의한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효과를 거두기 위해 한 보름정도 발을 쳐주는 것이 좋다.
- T/R ratio
지상부 생체량과 지하부 생체량의 비율을 나타냄. 지상부(줄기, 가지, 잎 등)의 생체량을 지하부(뿌리) 생체량으로 나누어 구함.
☛좀더 자세한 내용을 N알고 싶으면: 기후변화연구센터 김래현 박사(02-961-2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