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별애를 지지한다.
공자는 존비친소를 분별하는 사랑을 주장하며 가까운 존재부터 사랑할 것을 한다. 반면, 묵자는 모든 사람을 평등하게 사랑해야 하며, 공자의 별애가 사회 혼란을 초래한다고 이야기한다. 겸애와 별애 모두 의미 있는 주장들이라고 생각하지만, 공자의 별애를 지지한다. 다양한 이유들이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묵자의 겸애는 실천이 어렵다. 모든 사람을 평등하게 사랑한다는 것은 매우 이상적으로 들릴지는 몰라도, 실제로 모두를 평등하게 대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우리는 자연적으로 가까운 가족을 더 사랑한다. 겸애는 이러한 우리의 자연적 본성에 맞지 않다. 또한, 우리나라는 존속범죄에 대해 더 큰 형량을 내린다. 이처럼 우리는 이미 별애를 받아들이고 있으며, 묵자의 겸애는 결국엔 사회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 묵자의 겸애는 사회와 개인의 복잡하게 연결된 관계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별애가 가까운 사람을 사랑하라고 한다고 해서 이기적인 사랑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가까운 사람을 먼저 사랑하고 이를 점점 확장시켜 천지만물까지 사랑하는 확장적인 사랑이다. 모든 사람을 평등하게 사랑하라는 실천하기 어려운 이상적인 겸애보다는 현실적인 별애를 받아들여 가까운 사람을 먼저 사랑한뒤, 다양한 수양과 경험을 통해 타인, 국가 그리고 천지만물까지 사랑하여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