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 2번째 밑에 바이오 디젤합성 실험에 관해 문의 드렸던 사람입니다.
언제나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궁금한 마음에 몇가지 추가적인 질문을 더 드리고자 합니다.
본 포레코에서 제공하는 바디오디젤만들기 실험을 고등학교 실험실에서 시행을 해봤습니다.
80%정도는 아니지만 약 60%정도의 바이오디젤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실험환경의 차이겠지요..)
실험중 의문나는 몇 가지 사항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나중에 하얀 수세수를 제거하고 윗층에 있는 바이오 디젤을 60도 정도로 가열하면
물처럼 투명해진다고 했는데... 색깔은 갈색투명한 것이 맞는 건가요?
- 갈색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일반식용유로 실험하면 노란색(식용유색)이 얻어 질 것 같은데...맞는가요?
- 만약 아니라면 무슨 문제가 있었을 까요?
2.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실험이므로 일반엔진에 넣어서 사용해 볼수는 없을것 같고..
불을 붙여 보는 것으로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데....
실험실에서 합성한 바이오디젤 자체에 불을 붙일 수는 없었습니다.
다만 다른 종이에 바이오디젤을 묻혀서 사용해보니...확연하게 연소가 잘 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 바이오디젤에 직접 불이 붙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실험이 잘 못되었기 때문인가요?
- 쉽게 학생들에게 보여 주기 위한 방법은 없을까요?
3. NaOH 대신에 산촉매를 사용해도 된다고 하셨는데...HCl 12M 정도를 사용해도 되겠습니까?
아니라면 묽은 산을 사용해야 할까요? 산을 촉매로 할 때 실험 방법이 조금 달라질까요?
4. 일반식용유는 바이오디젤 수득률이 더 좋아지겠지요?
귀찮게 해드리는 것 같아 죄송합니다. 귀사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