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공스프링클러(마스테코).pdf
수손피해를 방지하기위해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기능적 발상은 매우 합리적이라 판단됩니다. 다만 물을 채운뒤 부압으로 유지할 경우 물의 끓는점이 낮아져 지속적으로 기포가 발생하고 용존산소가 배출될텐데 ... 하는 생각과 ... 시스템이 복잡해질수록 신뢰도는 떨어지게되는 문제들은 없을까 생각합니다.
첫댓글 일본에서 지진에 대한 대책으로 개발되었다는데. 정확한 시스템의 개발동기를 알고 계시면 알려주세요..^^
부압식시스템은 소화시스템이라기 보다는 수손방지 시스템입니다.지진이나 개보수공사, 이사 등으로 인하여 배관 또는 스프링클러가 파손될 경우 배관이 부압상태이므로 물이 쏟아지지않고 공기가 빨려들어가 물이 쏟아지지 않기 때문에 수손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겠습니다.박사님 말씀대로 용존산소가 증발하면 수위가 낮아질 것입니다. 물을 채운이유는 화재 시 빠른소화를 위함이며, 물이 없다하더라도 부압은 유지하나 화재 시 소화수 방사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입니다. 그러므로 부압시스템은 소화 시스템이라기 보다는 수손방지 시스템입니다,
첫댓글
일본에서 지진에 대한 대책으로 개발되었다는데. 정확한 시스템의 개발동기를 알고 계시면 알려주세요..^^
부압식시스템은 소화시스템이라기 보다는 수손방지 시스템입니다.
지진이나 개보수공사, 이사 등으로 인하여 배관 또는 스프링클러가 파손될 경우 배관이 부압상태이므로 물이 쏟아지지않고 공기가 빨려들어가 물이 쏟아지지 않기 때문에 수손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겠습니다.
박사님 말씀대로 용존산소가 증발하면 수위가 낮아질 것입니다.
물을 채운이유는 화재 시 빠른소화를 위함이며, 물이 없다하더라도 부압은 유지하나 화재 시 소화수 방사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입니다.
그러므로 부압시스템은 소화 시스템이라기 보다는 수손방지 시스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