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삶을 가르치다.🛎
인도의 수도 델리에서
자동차로 꼬박 나흘을 달려 찾아간
인도 서북부 히말라야.
자동차 길로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다는
해발 5,360m의 타그랑 고개.
지대가 너무 높아
아무것도 자라지 않는
갈색의 민둥산이 아득하게 이어졌다.
산소가 적어 보통 사람은
숨쉬기조차 힘든 언덕 너머엔
2,000년 동안 이곳을 지켜온 록파족이 살고 있다.
--
구름마저도 험준한
히말라야를 넘지 못해
거의 비가 내리지 않는 곳이다.
영하 40도의 맵찬 날씨를 견디도록
집은 돌로 쌓았는데,
록파족은 겨울철인 10월에서 3월까지만 이곳에서 생활한다.
--
나머지 반년은
보름에 한 번씩
자그마치 열두 번이나 가축들을 몰고
풀을 찾아 여기저기 떠돈다.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그들,
의식주 모두가
열악하기 짝이 없다.
백여 마리의 양과 염소에
한 가족의 생계가 매달린 그들에게
혼인으로 인한 형제들의 재산 분할이 불가능하자
일처형제혼 등
일처다부제가 만들어졌다.
생존을 위해
그들이 선택한 궁여지책이었다.
--
하지만 나는 그곳의 특이한 결혼풍습보다는
어느 노인의 죽음 의식과
거기에 깃든
그들의 생사관에
더 큰 관심이 쏠렸다.
3월 말, 봄이 되면
그들은 가축의 방목을
위해
겨울을 보낸 돌집을 나선다.
처음 자리 잡은 곳에서
보름 남짓 머물면
풀이 바닥나 새로운 곳을 찾아 다시 길을 떠난다.
남자들은 이삿짐을 싸고
여자는 가는 도중 먹을 음식을 마련하는데
==
시아버지인
일흔여덟 살의 노인은
성치 못한 몸을
지팡이에 의지한 채, 시무룩하다.
물과 풀이 있는
다음 정착지까지는
대략 40에서 80km.
움직임이 더딘 고산지대에서 사흘을
꼬박 걸어야 한다.
--
하지만 팔순(八旬)을 바라보는 노인은
오늘 가족과 함께 떠나지 않는다.
이젠 너무 늙어
며칠씩 걷기에는
힘에 부치기 때문이다.
자식들은 노인을 위해
혼자 지낼 텐트와
두툼한 옷을 준비한다.
버터차와 밀가루 빵 등
한 달 치 식량을 남겨두고 떠나는데
다시 돌아왔을 때
노인이 살아 있으면
또 한 달 치를 마련해 준다고 한다.
그러나 결코 한 달을 넘겨
살 수 있는 환경은 아니었다.
--
이 고독한 죽음 의식(儀式)은
노인과 가족 간의 타협이 아니다.
힘든 이동을 거듭해야 하는
고산지대의 오랜 풍습으로
노인 스스로의 결정(決定)과
가족들의 수긍(首肯)이 만든 고립이고 헤어짐이다.
--
손자에게 마지막 차를 대접받는 노인은
착잡한 표정을 짓고
아들과 손자는 울음을 삼킨다.
--
정든 사람과의 이별을 두고
열여덟 살의 손자가
끝내 울음을 터뜨리자
쉰두 살의 아들도
걸음이 휘청거린다.
--
새로운 생을 받기 위해
몸을 바꾸는 것이니
슬퍼하지 않는다는
그들의 극진한 신앙도
이 순간엔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
--
긴 인연(因緣)에 비해
지극히 짧은 이별(離別),
노인은 모든 걸 마음으로 받아들인다.
심경을 묻는 기자에게
“나도 27년 전에 아버지를 이렇게 했다.
자식들을 탓하지 않는다.
행복하기만 빌 뿐이다”라고
노인은 담담히 마니차를 돌리며
허공(虛空)을 바라본다.
--
그들에게 죽음은
두려움이나 절망이 아니다.
삶의 끝자락에서 걸려 넘어지는 문턱이 아니라,
이번 생과 맞닿은
또 다른 삶으로 건너가기 위한
매듭이고 통로(通路)다.
--
늙고 병든 몸에서 벗어나
스스로 평온을 찾아가는 구도의 길이고
일상의 수행이 일러준 혼자만의 여행이다.
--
눈 맑은 그들에겐
저 히말라야 정상을 향해
천천히 걸어가는
신성한 발걸음인 것이다.
--
가축들을 앞세우고 멀어져 가는
자식들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노인은 자리에 눕는다.
--
무거운 정적(靜寂)이 내려앉는다.
몸을 티베트 말로 ‘루’라고 하는데
이 말은 ‘두고 가는 것’이라는 뜻이다.
--
거대한 자연의 품 안에서
신에 대한 겸손(謙遜)을 배워왔을 노인(老人),
원망(怨望)이나 미련 없이 죽음을 받아들인
그의 영혼(靈魂)은
몸뚱이를 남겨둔 채
이제 어디로 떠날 것인가.
--
이마 위로
테 굵은 안경이 벗겨지고
손톱 밑이 까만 그의 손이
맥없이 바닥으로 떨어진다.
죽음의 이유는
수도 없이 많지만,
근본적인 까닭은 단 하나,
태어났기 때문이다.
태어났기 때문에
죽을 수밖에 없다.
처음 왔던 그대로
다시 돌아가는 길,
그 길을 히말라야는
지그시 바라보고 있다.
--
대자연(大自然)으로 돌아가
그 속에서 하나가 되는 시간이다.
‘죽음은 태어남을 뒤쫓고
태어남은 죽음을 뒤쫓아
그것은 끝이 없다’고
그들의 경전
『티베트 사자(死者)의 서(書)』는 말하고 있다.
--
봄이 오고 여름이 오듯이
죽은 자는 무엇으로든
반드시 세상에 다시 온다는 믿음으로
모든 욕망(慾望)과 집착(執着)을 내려놓는 사람들,
--
죽음의 하늘 길을 열기 위해
그것과 홀로 마주하는
비감한 모습이 차라리 숭고(崇高)하다.
이들은 평생 떠남에 익숙하다.
헤어짐도 마찬가지다.
--
생명이 남아있는 부모를
저승으로 보내는 것도
이승의 인연으로 받아들인다.
--
지상의 거인
히말라야의 가혹한 자연과
이천 년 세월을 함께 살아온 사람들.
어쩌면 그 덕에 어느 문명보다
자연에 가까운 전통을 배우고 이어왔는지 모른다.
--
‘죽음을 배우라.
그래야만
삶을 배울 것이다.’
설산 골짜기를 타고
내려온 돌풍 한 자락이
하늘의 소리를 전하며
칠흑 같은 벌판을
짐승처럼 내닫는다...❄️
======
Thanks 2
비감(悲感)합니다.
무슨 말을 더 할까요?
읽을 때마다 동일한 생각입니다.
긴 여운(餘韻)이
남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