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오봉정사2032
 
 
 
카페 게시글
화엄경강설81 화엄경 강설 62三十九, 2덕운비구 3해운비구 4선주비구3
보호스님 추천 0 조회 35 23.08.17 13:13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3.11.04 02:44

    첫댓글
    보리심이란 무엇인가. 깨달음의 마음이다.
    깨달음의 마음은 무엇인가. 지혜와 자비의 마음이다.
    지혜와 자비의 마음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남을 이롭게 하는 이타심이다.그래서 보리심을 불심이라고도 한다.

  • 작성자 23.11.04 02:45

    문수보살은

    자재한 대자(大慈)와

    자재한 대비(大悲)와

    자재한 지혜(智慧)와

    광대한 변재(辯才)로

    중생들을 위해서 법을 설하신다.

  • 작성자 23.11.04 02:48


    입법계품에서 대중들의 수를 밝히는 가운데
    5백 보살과
    5백 성문과
    6천 비구와
    5백 우바새와
    5백 우바이와
    5백 동자와
    5백 동녀와
    5백 가지 보배그릇을 들었다.

    또 금강경에서는 제5 5백년이라는 말도 있다.
    대승경전에서 왜 이와 같이 5백이라는 숫자가 많은가?
    아마도 대승불교운동이 크게 일어서 새로운 불교역사가 시작된 것이
    불멸(佛滅) 5백년 경이었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그러나 청량스님은 소에서, “숫자가 모두 5백인 것은
    다섯 가지 지위를 증득하여 들어가는 것을 표하였다.”라고 하였다.

  • 작성자 23.11.04 02:51

    유순(由旬)이란
    또는 유사나(踰闍那)ㆍ유선나(踰繕那)ㆍ유연(由延)이라고도 한다.
    인도 이수(里數)의 단위이다. 성왕(聖王)이 하루 동안의 행정(行程)이다.
    즉 왕이 순시할 때 하루에 이동하는 거리이다. 40리(혹 30리)에 해당한다.

    또 대유순은 80리이며,
    중유순은 60리이며,
    소유순은 40리라고 한다.
    1리도 시대를 따라 그 장단이 같지 않다.

    또 능가산(楞伽山)이란 범어로 Lakā 또는 능가(錂伽ㆍ駿伽)이다.
    번역하여 불가도(不可到)ㆍ난입(難入)ㆍ험절(險絶)이라한다.
    스리랑카의 동남쪽에 있는 산이다. 높이는 7,378척이라 한다.
    지금의 아담봉(峰)(Adam's Peak)이라 한다. 부처님은 일찍이
    이 산에서 능가경(楞伽經)을 설하였다고 전한다.
    스리랑카는 바다에 떠있는 섬나라다. 그래서 마을 이름을 해안(海岸)이라 하였다.

  • 작성자 23.11.04 02:56

    선재동자가 여쭈었습니다.
    “바라옵건대 오직 원하옵니다.
    거룩하신 이여, 저에게 알려 주소서.
    보살은 응당 어떻게 보살의 행을 배우며,
    응당 어떻게 보살의 행을 닦으며,
    응당 어떻게 보살의 행에 나아가며.
    응당 어떻게 보살의 행을 행하며,
    응당 어떻게 보살의 행을 깨끗이 합니까?”

  • 작성자 23.11.04 03:00

    청량스님의 소에, “구사론을 살펴보니
    ‘시간의 지극히 작은 것을 일 찰나라하고,
    120찰나를 일 달찰나(怛剎那)라 하고,
    60달찰나를 한 랍박(臘縛)이라 하였으니,
    랍박은 곧 라파(羅婆)라파이다.
    30라파는 한 모호율다(牟呼栗多)며,
    모호율다는 곧 수유(須臾)며,
    30수유가 하루의 낮과 밤이다.’라고 되어 있다.”라고 하였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