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小兒
남자 열 사람을 치료하기보다는 여자 한 사람을 치료하기가 힘들고, 여자 열 사람을 치료하기보다는 소아 한 사람을 치료하기가 힘들다는 의료명언이 있다.
1) 小兒胎弱
胎弱者(先天的虛弱)로서, 先天의 氣를 부족하게 받은 것이다.
肺氣가 부족하면 피부가 薄弱하고 모발이 성글게 난다.
生脈散(上12): 暑月常服 代熟水飮之 加黃芪甘草各一錢 或加生黃柏二分 令人氣力湧出 (맥문 2 인삼 오미 1)
心氣가 不足하면 安眠에 光彩가 없다.
益心湯(增505): 治心勞 驚悸 健忘 (맥문 조인 5 단삼 인삼 당귀 2.5 천화 오미 신곡 토사 1 창포 0.5)
益脾湯(增508): 治脾虛 (산약 5 검실 파극 백출 3 백복 2 편두 신곡 1 사인 0.5 반하 0.3 호도 1片)
肝氣가 不足하면 筋肉이 약하여 骨을 잘 結束하지 못한다.
加味補肝湯(增506): 治忿怒脇滿 (백작 5 백출 당귀 백복 2.5 치자 형개 1.5 시호 반하 1 진피 감초 0.5)
腎氣가 부족하면 骨節이 柔軟하다.
六味地黃湯(上40): 治腎水不足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平安萬應丸(增363): 治中風 類中風 人事不省 牙關緊急(藥不能下咽 作末 吹鼻取嚔) (창출 30 천마 마황 웅황 주사 36 섬수 10 정향 6 감초 24 사향 3 대황 60)
2) 胎毒
嬰兒 幼兒에 생기는 瘡癤 痘疹 등의 질병이다. 孕母의 姙娠期間中의 不謹愼, 혹은 情慾의 過度 칼로리가 높은 지방질 음식물의 過多한 섭취를 하였거나 喜怒가 無常하면, 이들은 모두 熱을 盛하게 해 준다. 胎兒가 이 熱을 받아 쌓여진 것이 胎毒이 되어 嬰兒 幼兒期에 나타난다. 虫疥 丹毒 癰癤 濕瘡 結核 重舌 木舌 鵝口瘡 胎熱 胎黃 胎寒 臍風 百日咳 發搐 등과 같은 질환이다.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平安萬應丸(增363): 治中風 類中風 人事不省 牙關緊急(藥不能下咽 作末 吹鼻取嚔) (창출 30 천마 마황 웅황 주사 36 섬수 10 정향 6 감초 24 사향 3 대황 60)
3) 胎寒
孕母가 평소 虛汗한 體質을 가졌거나, 또는 寒凉藥의 過服이나 生冷한 음식물을 많이 먹거나 하면, 胎兒가 그 寒氣를 받으면 生後에 昏沈하여 잠만 자거나, 간혹 젖을 토하거나 消化되지 않는 흰젖을 설사하는 것은 胎中受寒이다. 또, 백일 이내에 갑자기 戰慄 口冷 手足을 오그리고 펴지 못하고 울기만 하는 것은 生後에 寒氣를 받은 것이다.
括迷七氣湯(增274): 治腹痛多啼不乳 (귤피 청피 곽향 길경 봉출 향부 반하 육계 정향 익지 0.5 감초 0.3 생강 3편 대조 2매)
助胃膏(增275): 治脾寒胃虛 脇脹 吐乳 便靑 (백두 육두 목향 인삼 산약 15 곽향 백복 백출 관계 축사 자감 10 귤피 12 침향 정향 3)
4) 胎熱
孕母가 볶고 지지고 하여 만든 매운 음식을 많이 먹거나, 혹은 熱病을 앓거나 또는 五志過極하거나 欲情을 내키는 대로 자행하면 胎兒가 受熱하여 生後에 閉目 面赤 眼胞浮腫 弩身 呢呢作聲, 울고 깜짝깜짝 놀라며 身熱 尿赤 등의 증상이 나온다.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5) 胎搐
急驚風이다. 孕母가 크게 놀라거나 크게 무서움을 당하면 母氣가 胎兒에 전해져서 생후에 빈번히 驚搐 身熱 面靑 目赤 手足搐搦 項脊强 背反張 口噤 合目多啼 不乳 등의 증상이 나온다.
天麻丸(增279): 治胎搐(胎毒痙攣) (천마 반하 남성 방풍 강활 백강 전갈 5)
平安萬應丸(增363): 治中風 類中風 人事不省 牙關緊急(藥不能下咽 作末 吹鼻取嚔) (창출 30 천마 마황 웅황 주사 36 섬수 10 정향 6 감초 24 사향 3 대황 60)
六味地黃元(上40): 治腎水不足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6) 盤腸氣
疝痛이다. 胎氣가 鬱積하여서 臟腑가 壅塞하여 가슴에 손을 대고 아파하며 고양이 울음소리를 내며 건성울음을 울고, 입은 벌리고 손발이 쌀랑하다.
調中散(增280): 治盤腸氣 腹內作痛 (목향 천련 몰약 백복 청피 관계 나복 청피 관계 나복 지각 빈랑 자감 0.5 총백 염)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7) 不乳 臍突 臍瘡
初生 2~3일에 갑작스레 젖을 빨지 않고 울면 撮口(臍風)이다. 입으로 白沫을 토하면
宣風散(增339): 治風搐搦 (빈랑 진피 감초 5 흑축 20)
젖을 토하고 젖을 빨지 못하며, 먹으면 또 곧 토한다.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얼굴이 파랗게 질리고 울며 젖을 못빨면 복통이다.
括迷七氣湯(增274): 治腹痛多啼不乳 (귤피 청피 곽향 길경 봉출 향부 반하 육계 정향 익지 0.5 감초 0.3 생강 3편 대조 2매)
臍突은 多啼로 배꼽이 突出한 것이고, 臍瘡은 배꼽이 癒合되지 않고 진물이 나오는 것이다. 모두 枯白礬이나 亂髮灰를 患處에 뿌리고 좋은 膏藥을 붙인다.
8) 胎黃 胎肥 胎怯
胎黃은 신생아 황달이다. 얼굴과 온 몸이 누렇고 身熱 目閉 尿黃 便閉 多啼 不乳 등의 증상이 나온다.
茵陳地黃湯(增340): 治胎黃 (생지 적작 천궁 당귀 화분 적복 저령 인진 택사 分量隨意)
胎肥는 初生時에 肌肉이 厚肥하고 붉으며, 面黃 眼黑 喘咳 多痰하다가 점점 야위고 身熱이 나고 便閉가 된다.
大連翹飮(增311): 治胎肥 解熱毒 (연교 구맥 활성 우방 차전 목통 방풍 치자 황금 형개 당귀 시호 적작 선태 감초 0.5 죽엽 10片 등심 10莖)
胎怯은 初生時에 身 面 目이 모두 精氣가 없고 血色이 光澤이 없으며, 肌肉은 야위고 白便을 누며 목이 잘 멘다.
調元散(增341): 治胎怯 (인삼 백출 백복 귤호 당귀 구기 자감 2 갱미 3合)
9) 急驚風
大驚 大恐으로 인하여 中風證과 같은 증상이 나오므로 驚風이라 하였다. 그러나 本證은 胎熱이나 胎搐으로 말미암은 것이고 驚恐으로 인한 것이 아니므로 驚風이란 이름은 부당하다. 그 증상은 갑작스레 面靑 口噤하고 놀라서 울며 發厥한다. 발작이 지나가면 顔色이 여전해지지만 멀지 않아서 다시 발작하는데, 身熱 面赤 口渴 氣熱 便溺靑黃 등의 증상이 나온다.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龍腦安神丸(下57): 治五種癲癎 無問新久遠近 (백복 30 인삼 지골 맥문 감초 20 상백 서각 10 우황 5 용뇌 사향 3 주사 마아 2 금박 35片)
平安萬應丸(增363): 治中風 類中風 人事不省 牙關緊急(藥不能下咽 作末 吹鼻取嚔) (창출 30 천마 마황 웅황 주사 36 섬수 10 정향 6 감초 24 사향 3 대황 60)
牛黃抱龍丸(中176): 治急慢驚風 痰嗽 潮搐 (남성 10 천축 5 웅황 주사 2.5 사향 1 진주 호박 1 우황 0.5 금박 10片)
抱龍丸(中175): 治驚風 潮搐 身熱 昏睡 能下痰熱 乃心肺肝藥也 (남성 10 천축 5 웅황 주사 2.5 사향 1)
瀉靑丸(下106): 治肝實. 痘毒 驚搐 心肝熱瀉 肝風自去 瀉靑丸, 利小便 熱不炎 導赤散. 痘後餘毒 入眼生瞖大效 (당귀 용담 천궁 치자 대황 강활 방풍 等分)
小兒淸心元(中168): 治諸熱 及驚熱 煩躁 (인삼 백복 방풍 주사 시호 2 금박 30片)
蘇合香元(中90): 治一切氣疾 (백출 목향 침향 사향 정향 안식 백단 주사 서각 가자 향부 필발 20 소합 유향 용뇌 10)
10) 慢驚風
吐瀉가 오래도록 낫지 아니하면 中氣가 大虛하여 점차로 肌肉이 冷해지고 厥逆이 발작하며 昏睡하고, 露睛 目上視 手足瘈瘲 筋脈拘攣 등의 증상이 나온다.
理中湯(上6): 治太陰腹痛 自利不渴 (인삼 백출 건강 2 감초 1)
獨蔘湯(增26): 治氣虛 血脫 (인삼 10-60)
蔘歸茸湯(增8): 治血虛虛脫 (인삼 10 당귀 녹용 5)
活兒湯(增820): 治吐瀉 (인삼 3 백복 2 백출 파극 백작 1 당귀 산사 0.5 진피 신곡 시호 감초 0.3)
錢氏白朮散(上120): 治吐瀉日久 津枯 煩滿 引飮 欲成慢驚 (건갈 2 인삼 백출 백복 목향 곽향 감초 1)
角弓反張 驚悸 搐搦 등의 증상이 나오면,
續氣湯(增821): 治慢驚 ( 인삼 백출 5 파극 백복 2.5 조인 1.5 원지 1 육계 0.5 건강 부자 0.3)
手搐 目竄하고 목숨이 경각에 있으면,
安兒至寶湯(增822): 治吐瀉氣脫欲死 (인삼 백출 5 백복 파극 백두 3 빈랑 차전 편두 2 맥아 나복 부자 1 지각 0.3)
本證에는 淸凉瀉火藥이나 鎭驚藥을 써서는 절대로 안된다.
急驚風과 慢驚은 天地의 相隔이 있다. 그런데 一方으로써 急慢驚을 다스린다고 말하는 것은 생명을 가볍게 보는 所致라는 허물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11) 大驚 卒恐
크게 놀라거나 겁을 먹으면 心膽이 가장 잘 傷한다. 經에 이르기를 「놀라면 氣亂하고, 무서우면 氣下하고 腎氣가 散亂한다」고 하였다. 그 證은 怵惕 驚跳, 혹 精神浮散 身熱 驚悸 多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秘旨安神丸(增277): 治小兒驚跳多啼 (인삼 조인 백복 반하 1 당귀 백작 귤홍 오미 감초 0.5)
團蔘散(增278): 治小兒驚跳多啼 (인삼 당귀 10)
獨蔘湯(增26): 治氣虛 血脫 (인삼 10-60)
實者
加味逍遙散(增27): 治肝經鬱火 胸脇脹痛 或作寒熱甚 至生風 眩暈振搖 咬牙發痙 目斜 手搐 又或怒動 肝氣不和 木鬱達之 是也 (시호 감초 백복 백출 당귀 백작 목단 치자 1 박하 0.5)
12) 痙病
이 痙病은 身熱 驚啼 등의 증상이 모두 있으므로 驚風과 類似하다. 이를 자세히 分辨하지 않고 驚風藥을 함부로 쓰면 구제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도 있다.
痙病은 혹 衣服이 寒溫에 적합하지 않았거나, 또는 便尿를 잘 씻어주지 않음으로써 身熱 項强 背反張 目上視 手足搐搦 惡風 自汗 등의 증상이 나오는 것은 柔痙이라 한다.
桂枝防風湯(增281): 治小兒發痙 自汗 (백작 2 계지 1.5 방풍 생강 자감 천궁 1 조삼)
머리를 숙이며 아래를 보면,
桂枝葛根湯(增282): 治小兒發痙 頭低視下 (백작 갈근 1.5 계지 생강 자감 1)
目斜視하고 一邊으로 搐搦하면,
小續命湯(中1): 治一切風初中 無汗 表實 (방풍 1.5 방기 관계 행인 황금 백작 인삼 천궁 마황 감초 1 부자 0.5 생강 3편 대조 2매)
烏藥順氣散(中10): 治一切風疾 先服此 疏通氣道 進以風藥 又治癱瘓 歷節風 (마황 진피 오약 1.5 천오 백지 강잠 지각 길경 1 건강 0.5 감초 0.3 생강 3편 대조 2매)
通用
柴胡防風湯(增283): 治小兒發痙 頭低視下 (시호 황금 반하 방풍 1 인삼 0.7 자감 0.5 생강 3편 대조 2매)
發汗過多하여 亡陽이 되었으면,
防風當歸散(增288): 治發痙 亡陽 (당귀 2 방풍 생지 1.5 천궁 1)
惡寒이 나고 發汗이 없이 痙證이 나오면 剛痙이다.
瓜蔞桂枝湯(增284): 治發痙 無汗 (과루 백작 1.5 계지 생강 감초 1 조삼)
煩躁不寧
羚羊角散(增285): 治發痙 煩躁不寧 (영양 서각 방풍 백복 지각 맥문 인삼 건갈 석고 감초 0.7 眞龍齒 2.5)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手足厥冷
附子散(增286): 治發痙 手足厥冷 (백출 1.5 천궁 1 독활 0.8 관계 부자 0.5 조오)
理中湯(上6): 治太陰腹痛 自利不渴 (인삼 백출 건강 2 감초 1)
獨蔘湯(增26): 治氣虛 血脫 (인삼 10-60)
骨格은 드러나고 筋肉이 떠오르면
當歸四逆散(增287): 治發痙 筋露骨浮 (당귀 계지 백작 3 목통 감초 2 세신 1 조오)
기타는 傷寒兼證의 發痙條 參照.
13) 暑證
여름철에 暑邪를 받으면 面垢 身熱 自汗 煩渴 不安 脣焦 色赤 便閉 尿赤 등의 증상이 나오고 口氣가 뜨겁다.
却暑丹(增289): 治中暑 (백출 백복 저령 택사 적복 감초 5 황련 3 관계 주사 2)
益元散(下16): 一名 六一散 天水散. 治中暑 吐瀉 下痢 止渴 除煩 解百藥酒食邪毒 (활석 60 감초 10)
14) 瘧疾
초기증상이 하품 煩悶 發熱 口渴 面黃白하고 머리와 이마에 땀이 나오는데, 한번 울고나면 汗出하고 熱이 차차 내려간다. 그러나 얼마 후에 다시 發熱이 나오고 목 안에서는 담이 끓고, 혹 담을 토하기도 하면서 寒熱往來 등의 증상이 나온다. 이와 같이 매일, 도는 하루 걸러서 되풀이 한다.
淸脾飮(中72): 治食瘧 此乃 小柴胡 平胃 二陳 合方也 (시호 반하 황금 백출 초과 적복 후박 청피 1 감초 0.5 생강 3편 대조 2매)
15) 痢疾
젖을 잘 못먹이거나 보호를 옳게 하지 못하면 滑泄을 하다가, 오래 되면 腸癖이 된다. 그 증상은 眉皴 多啼 腹痛 裏急 後重, 赤色 또는 白色의 便을 下利한다.
治痢散(增144): 治時行痢疾 表熱 (갈근 2 고삼 眞松蘿茶 귤피 1.6 적작 진피 맥아 산사 1.2)
黃芩芍藥湯(下93): 治下痢膿血 身熱腹痛 脈洪數 (황금 백작 2 감초 1)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疳勞로 기인하는 것은 몸에 열이 있고, 항문이 열리면 죽통에서 물이 쏟아지듯 赤糖水를 수없이 下利한다.
肥兒丸(中167): 通治諸疳 (호황 5 사군 4.5 인삼 황련 신곡 맥아 산사 3.5 백출 백복 감초 3 노회 2.5)
通用
桂枝蓰蓉湯(增336): 治痢疾 (계지 백작 목단 백복 택사 귤피 종용 3 감초 1)
餘他는 痢疾條 參照
16) 中惡
中氣가 虛한 데다가 外邪의 不淨한 氣를 받음으로써 일어난다. 그 증상은 입에서 靑 黃 白色의 거품을 토하면서 顔色이 靑黃하고 呼吸이 喘急하고 腹痛 轉側不安 手足瘈瘲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정신에는 이상이 없다.
平安萬應丸(增363): 治中風 類中風 人事不省 牙關緊急(藥不能下咽 作末 吹鼻取嚔) (창출 30 천마 마황 웅황 주사 36 섬수 10 정향 6 감초 24 사향 3 대황 60)
攝生湯(增291): 治一切卒中 大小科同 (남성 반하 목향 1.5 세신 창출 창포 자감 1 생강 3편)
혹 가스毒物에 中毒되어 胸膈脹滿, 卒倒厥冷, 양손을 꼭 쥐고 呼吸促迫 등의 증상이 나올 때는,
平安萬應丸(增363): 治中風 類中風 人事不省 牙關緊急(藥不能下咽 作末 吹鼻取嚔) (창출 30 천마 마황 웅황 주사 36 섬수 10 정향 6 감초 24 사향 3 대황 60)
返魂湯(增292): 治中惡卒死 (마황 감초 1 행인 7個 총삼)
蘇合香元(中90): 治一切氣疾 (백출 목향 침향 사향 정향 안식 백단 주사 서각 가자 향부 필발 20 소합 유향 용뇌 10)
17) 咳嗽
처음 시작할 때에는 面赤 脣紅, 숨소리가 거칠다. 열이 나고 기침을 하며 담이 끓고 眼胞가 微浮하고 이마에 땀이 난다.
加減敗毒散(增290): 治咳嗽 第一神方 世小知之者 (길경 1.2 천궁 백복 지각 전호 시호 박하 형개 방풍 연교 1 인삼 강활 0.7 독활 감초 0.5 강일)
無汗
蔘蘇飮(中26): 治感傷風寒 頭痛 發熱 咳嗽 及內因七情 痰盛 潮熱 (인삼 소엽 전호 반하 건갈 적복 1 진피 길경 지각 감초 0.5 생강 3편 대조 2매)
六安煎(中49): 治風寒 咳嗽 痰滯 氣逆 (반하 백복 2 진피 행인 감초 1 개자 0.7 강오)
杏蘇湯(中50): 治傷風寒 咳嗽 痰盛 (행인 소엽 상백 진피 반하 패모 백출 오미 1 감초 0.5 강오)
久嗽가 되어 氣逆 面浮하면
人蔘五味子湯(增295): 治久嗽 脾虛氣怯 面白 (백출 1.5 인삼 백복 맥문 1 감초 0.8 오미 0.5 생강 3편 조삼)
或 寒冷藥을 過多하게 사용하여 눈을 치뜨고 손이 돌아가면,
金粟丹(增342): 治風痰搐搦 咳嗽上氣 (남성 유향 20 천마 백부 전갈 대자 강잠 10 용뇌 사향 0.3 금박 50枚)
發汗이 過多하여 氣脫이 되면 얼굴이 하얗게 된다.
獨蔘湯(增26): 治氣虛 血脫 (인삼 10-60)
18) 丹毒
胎毒 熱毒 流行性熱病 등으로 인하여 發病하는데, 처음에는 熱이 나며 바늘로 찌르는 것같이 놀라며 운다. 이럴 때에 전신을 자세히 살펴보면 斑點이나 微腫이 있는데 紅赤色의 丹과 같고, 통증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이다. 胸 腹에서 먼저 나와서 四肢로 퍼져 가는 것은 다스리기 쉽고, 四肢에서 먼저 나와서 胸腹으로 퍼져 가는 것은 다스리기 어렵다.
急用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平安萬應丸(增363): 治中風 類中風 人事不省 牙關緊急(藥不能下咽 作末 吹鼻取嚔) (창출 30 천마 마황 웅황 주사 36 섬수 10 정향 6 감초 24 사향 3 대황 60)
藿香正氣散(中14): 治傷寒陰證 與身痛 不分表裏 以此導引經絡 不致變動 (곽향 1.5 소엽 1 백지 대복 백복 후박 백출 진피 반하 길경 감초 0.5 생강 3편 대조 2매)
大人
犀角消毒飮(下130): 治丹毒 及癍疹 癮疹 (우방 4 형개 방풍 2 감초 1 서각)
犀角升麻湯(中9): 治中風 鼻額間痛 口不可開 左額頰上如糊 急此 足陽明經受風毒 血凝滯而然. 又治內外風熱 齦腫痛 (서각 1.5 승마 1.25 강활 방풍 1 천궁 백부 백지 황금 0.75 감초 0.5)
小兒는
淸火消丹湯(增554): 治赤白流 風往來不定及 火丹 (생지 10 목단 현삼 적작 3 우슬 형개 2 화분 감초 1)
19) 瘡癰
內에서는 胎毒이 蘊積하였고 혹은 外感 濕熱하게 되면 痛痒瘡瘍하는데, 이것은 모두 胎毒의 所致이다.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平安萬應丸(增363): 治中風 類中風 人事不省 牙關緊急(藥不能下咽 作末 吹鼻取嚔) (창출 30 천마 마황 웅황 주사 36 섬수 10 정향 6 감초 24 사향 3 대황 60)
만약 收斂하는 藥을 外用하면 熱毒이 內陷하여 瘡은 自平되나 腹脹 便閉 口噤 手搐 등의 증상이 나온다.
平安萬應丸(增363): 治中風 類中風 人事不省 牙關緊急(藥不能下咽 作末 吹鼻取嚔) (창출 30 천마 마황 웅황 주사 36 섬수 10 정향 6 감초 24 사향 3 대황 60)
牛黃解毒丹(中171): 治小兒胎瘡諸熱 (감초 금은 10 紫草茸 5 우황 3)
生料四物湯(中170): 治諸瘡 (생지 적작 천궁 당귀 방풍 0.3 황금 박하 0.2)
五福化毒丹(中178): 治熱疳 多生瘡癤 及頭瘡餘毒 口齒出涎血臭氣 雀目 (현삼 10 길경 8 인삼 적복 마아초 5 청대 2.5 감초 1 사향 0.5 금박 은박 8片)
犀角地黃湯(下60): 治衄血不止 及上焦有瘀血 便黑 (생지 3 적작 2 서각 목단 1)
隨證 選用
20) 霍亂
먼저 飮食傷을 한 데다가 뒤에 風 寒 暑 濕의 外感邪氣를 받음으로써 발병하게 된다.
그 증상은 心腹絞痛 悶亂 心腹滿悶하며, 토하고자 하여도 吐할 수 없다.
平安萬應丸(增363): 治中風 類中風 人事不省 牙關緊急(藥不能下咽 作末 吹鼻取嚔) (창출 30 천마 마황 웅황 주사 36 섬수 10 정향 6 감초 24 사향 3 대황 60)
甲日丸(增103): 治一切 食滯 積聚 吐瀉 霍亂 (창출 백지 천오 초오 40 영사 15 백하오 당귀 정향 곽향 천궁 천마 인삼 마황 백복 위령 용담 주사 백작 천초 방풍 석곡 시호 두옹 감초 3)
上吐下瀉
藿香正氣散(中14): 治傷寒陰證 與身痛 不分表裏 以此導引經絡 不致變動 (곽향 1.5 소엽 1 백지 대복 백복 후박 백출 진피 반하 길경 감초 0.5 생강 3편 대조 2매)
21) 時疫發熱
外感이나 전염성의 邪氣에 감촉하여 發病한다. 그 證狀은 頭痛 身熱 不乳 胸高腹脹하면서 靑黃水를 토하거나, 혹은 靑黃便을 下利하는 것이 다른 病證과 다르다.
두 눈이 위로 달려 올라가고 痙搐 發痙하면,
太極丸(增293): 治時行疫癘 (천축 남성 5 대황 2 강잠 3 용뇌 사향 0.2)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人蔘羌活散(中169): 治傷風寒發熱 (인삼 시호 전호 강활 독활 지각 길경 천궁 적복 감초 0.2 생강 3편 천마 지골 0.1 박하 3葉)
隨證 選用
만약 治驚藥을 쓰면 반드시 죽는다.
出生 후 發熱하기 시작하여 32일마다 한 번씩 發熱 驚啼하는 것은 變蒸이니 치료하지 않더라도 스스로 낫는다.
만약 熱이 극심하면,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肝熱은 目赤 大叫 呵欠 번민한다.
瀉靑丸(下106): 治肝實. 痘毒 驚搐 心肝熱瀉 肝風自去 瀉靑丸, 利小便 熱不炎 導赤散. 痘後餘毒 入眼生瞖大效 (당귀 용담 천궁 치자 대황 강활 방풍 等分)
오래되어 疳證이 되면 白膜이 眼睛을 덮는다.
肥兒丸(中167): 通治諸疳 (호황 5 사군 4.5 인삼 황련 신곡 맥아 산사 3.5 백출 백복 감초 3 노회 2.5)
心熱은 口渴 神昏 口舌微爛하여 보채고 잠을 못잔다.
導赤散(下78): 治小腸熱 小便不利 (생지황 목통 감초 1 등심)
天乙丸(中179): 治病以水道通利爲捷徑 蘊熱丹毒 驚風 痰熱 變蒸 發熱嘔吐 泄瀉之病 無不治也 (등심 2.5 택사 3 활석 저령 2.5 적복 백복 복신 1.7)
小兒淸心元(中168): 治諸熱 及驚熱 煩躁 (인삼 백복 방풍 주사 시호 2 금박 30片)
脾熱은 身熱이 나며 困睡 口渴 飮冷 口臭 弄舌한다.
小兒淸心元(中168): 治諸熱 及驚熱 煩躁 (인삼 백복 방풍 주사 시호 2 금박 30片)
瀉黃散(增503): 治脾實熱 口瘡 口臭 (치자 1.5 감초 곽향 1 석고 0.8 방풍 0.5)
虛熱은 얼굴이 하얗게 되고 吐瀉를 한다.
錢氏白朮散(上120): 治吐瀉日久 津枯 煩滿 引飮 欲成慢驚 (건갈 2 인삼 백출 백복 목향 곽향 감초 1)
虛煩
補中益氣湯(上22): 治勞役太甚 或飮食失節 身熱自汗 (황기 1.5 인삼 백출 감초 1 당귀 진피 0.5 승마 시호 0.3)
肺熱은 코가 말라서 콧물이 나오지 않거나, 혹은 코피가 나오고 기침을 한다.
瀉白散(下33): 治肺實. 亦治 乾亥 水枯 火炎 (상백 지골 2 감초 1)
身熱은 눈에서 흰자위가 많이 나타나고 耳中에서 膿水가 나온다.
六味地黃湯(上40): 治腎水不足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以上의 諸證에는 모두 發熱 驚搐 등의 증상이 수반하므로 자세히 辨證해서 다스려야 한다.
22) 百日咳
出生日로부터 백일내의 咳嗽를 百日咳라 하며, 또한 咳嗽病을 失治하여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도 百日咳라 한다. 낫지 않고 經年하게 되면 一年咳라고 해야 하는지 그 可否는 모르겠다.
發熱하고 코가 막히고 기침을 하는 데는,
加減敗毒散(增290): 治咳嗽 第一神方 世小知之者 (길경 1.2 천궁 백복 지각 전호 시호 박하 형개 방풍 연교 1 인삼 강활 0.7 독활 감초 0.5 강일)
기침이 오래 계속되며 氣虛하면 面白 多汗한다.
人蔘五味子湯(增295): 治久嗽 脾虛氣怯 面白 (백출 1.5 인삼 백복 맥문 1 감초 0.8 오미 0.5 생강 3편 조삼)
近年에 蔘歸茸湯이나 獨蔘湯을 써서 효험을 보는 일이 많은데, 이것은 人蔘이나 鹿茸이 기침의 聖藥이 되어서가 아니라, 邪氣가 오래되면 正氣는 반드시 虛해지고, 이럴 때 “正氣를 養成해 주면 邪氣는 스스로 除去된다”라는 데에 해당된다.
23) 痰喘 [附 肺炎]
痰이 壅塞하면 氣急 喘滿한다.
導痰湯(下3): 治中風 痰盛 語澁 眩暈 (반하 2 남성 귤피 지각 적복 감초 1 강오)
肺가 熱하면 咳嗽 喘急한다.
瀉白散(下33): 治肺實. 亦治 乾亥 水枯 火炎 (상백 지골 2 감초 1)
胎熱이 鬱結하면 身熱 驚啼 喘息한다.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抱龍丸(中175): 治驚風 潮搐 身熱 昏睡 能下痰熱 乃心肺肝藥也 (남성 10 천축 5 웅황 주사 2.5 사향 1)
現代病名인 肺炎은 痰喘의 重證이다.
平安萬應丸(增363): 治中風 類中風 人事不省 牙關緊急(藥不能下咽 作末 吹鼻取嚔) (창출 30 천마 마황 웅황 주사 36 섬수 10 정향 6 감초 24 사향 3 대황 60)
平安萬應丸은 1~2번 복용하면 危急者라도 즉시 소생하는 眞神丹이다. 그러므로 醫家에는 不可缺한 것이나, 藥品이 高貴하고 求하기 어려우므로 豫備해 두어야 한다.
24) 吐瀉
身熱 깜짝깜짝 놀라면서 울고 젖을 안먹고 靑便을 吐瀉한다. 혹 젖이 소화되지 않고 口熱 脣燥 등의 증상이 나오기도 한다.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吐는 적고 瀉가 많으며, 젖이 소화되어 黃色便을 누고 發熱 煩渴하면
益元散(下16): 一名 六一散 天水散. 治中暑 吐瀉 下痢 止渴 除煩 解百藥酒食邪毒 (활석 60 감초 10)
小便不利
五苓散(下10): 治太陽入裏 煩渴 小便不利 (택사 2.5 적복 백출 저령 1.5 육계 0.5)
藿連湯(增297): 治熱病嘔吐 (황련 0.7 후박 곽향 1 강이 조삼)
淸熱止瀉湯(增824): 治熱泄 (차전 2 백복 백박 맥아 1 택사 0.5 황련 저령 0.3 지각 0.2)
오래 멎지 않고 虛脫하였으면,
錢氏白朮散(上120): 治吐瀉日久 津枯 煩滿 引飮 欲成慢驚 (건갈 2 인삼 백출 백복 목향 곽향 감초 1)
食滯로 인한 설사는 身熱 足冷 便黃 酸臭가 나온다.
保和湯(增73): 治食滯 (귤피 1.5 맥아 산사 나복 후박 향부 1 감초 연교 0.5)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神朮散(增78): 治吐瀉 (창출 2 후박 진피 1.5 곽향 사인 감초 1)
胃虛하여 吐瀉하면 顔色은 黃白하다.
六君子湯(上64): (四君子湯: 補眞氣虛弱 治氣短氣少)
裏寒하여 吐瀉하면 乳食의 消化가 안 되고 顔色은 허옇고 吐를 많이 하고 설사는 적고 눈이 늘어지고 정신은 혼미하고 이마에서만 땀이 나온다.
溫中止瀉湯(增823): 治冷泄 (백복 2 인삼 백출 1 신곡 0.5 육계 건강 시호 감초 0.3)
重者
理中湯(上6): 治太陰腹痛 自利不渴 (인삼 백출 건강 2 감초 1)
久不止
蔘香散(增296): 治胃虛嘔吐 諸藥不止 (인삼 1 침향 곽향 송자 목향 0.5)
昏睡露睛
獨蔘湯(增26): 治氣虛 血脫 (인삼 10-60)
初生兒가 身熱이 있고 吐瀉와 泄瀉를 하면,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寒者
燒鍼丸(中180): 治內傷 乳食 吐瀉不止 (황단 주사 고반 等分)
初生兒의 吐乳에는 丁香 陳皮 各三分, 薑三을 水煎服한다.
氣脫者는 慢驚條 參照
25) 疳疾
小兒의 虛勞證이다. 甘味料를 多食하거나 哺乳失節하거나 혹 大病後 吐瀉 뒤에 脾胃가 虛損되고 津液이 消亡되어서 발생한다.
그 증상은, 身熱이 나오고 몸은 야위고 배가 부르고 푸른 筋脈이 드러나고 顔色이 누렇고 小便이 쌀뜨물같이 되는 것이다.
肥兒丸(中167): 通治諸疳 (호황 5 사군 4.5 인삼 황련 신곡 맥아 산사 3.5 백출 백복 감초 3 노회 2.5)
水土丹(中167): (肥兒丸 合 六味地黃元)
肝疳은 흰막이 眼睛을 덮는다.
六味湯(上40): 治腎水不足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心疳은 頰赤하고 身熱한다.
肥兒丸(中167): 通治諸疳 (호황 5 사군 4.5 인삼 황련 신곡 맥아 산사 3.5 백출 백복 감초 3 노회 2.5)
脾疳은 배가 부르고 진흙을 잘 먹는다.
益黃散(增343): 治胃中風熱 (황기 2 인삼 진피 1 백작 0.7 생감 자감 0.5 황련 0.2)
肺疳은 氣喘, 口 鼻에 生瘡한다.
益黃散(增343): 治胃中風熱 (황기 2 인삼 진피 1 백작 0.7 생감 자감 0.5 황련 0.2)
腎疳은 몸이 몹시 야위고 배만 크다. 온 몸에는 瘡疥가 나고 齒齦이 썩는다.
六味地黃元(上40): 治腎水不足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五福化毒丹(中178): 治熱疳 多生瘡癤 及頭瘡餘毒 口齒出涎血臭氣 雀目 (현삼 10 길경 8 인삼 적복 마아초 5 청대 2.5 감초 1 사향 0.5 금박 은박 8片)
筋疳은 血을 下利하고 야위고, 骨疳은 찬 곳에 눕기를 좋아한다.
水土丹(中167): (肥兒丸 合 六味地黃元)
內疳은 目腫 腹脹하고 或靑 或白下利를 한다.
木香丸(增344): 治瘦冷疳 (목향 청피 빈랑 육두 2.5 사향 1 속수 10 하마 1個 섬수 3個)
外疳은 코밑이 붉게 헐고 콧등에도 瘡이 생겨서 오래도록 아물지 않으며 귀둘레도 붉게 붓는다.
蘭香散(增345): 治外感鼻下赤爛 (택란 2 銅靑 경분 0.5)
通治
肥兒丸(中167): 通治諸疳 (호황 5 사군 4.5 인삼 황련 신곡 맥아 산사 3.5 백출 백복 감초 3 노회 2.5)
水土丹(中167): (肥兒丸 合 六味地黃元)
集聖丹(增346): 治冷熱新舊 一切疳證 (노회 오령 야명사 진피 청피 봉출 사군 목향 당귀 천궁 사인 2 인삼 황련 섬수 3)
隨證加減
26) 消渴
上消는 多飮한다.
蓮花飮(增298): 治上消渴飮不止 (白蓮鬚 갈근 백복 생지 1 황련 천화 인삼 오미 지모 감초 0.5 죽엽 5片 등심 10莖)
生津養血湯(中65): 治上消 (당귀 백작 생지 맥문 1 천궁 황련 0.8 천화 0.7 지모 황백 연육 오매 박하 감초 0.5)
中消는 소화가 잘되어서 먹어도 배가 고프므로 貪食한다.
人蔘白虎湯(下7): 治陽明經病 汗多 煩渴 脈洪大 (석고 5 지모 2 감초 0.7 갱미 反合 인삼 1)
下消는 飮一溲二하는데, 小便이 渾濁하다.
六味湯(上40): 治腎水不足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久病으로 渴證이 나고 물을 많이 마시면
錢氏白朮散(上120): 治吐瀉日久 津枯 煩滿 引飮 欲成慢驚 (건갈 2 인삼 백출 백복 목향 곽향 감초 1)
27) 水腫腹脹
앞의 水腫鼓脹條 參照
實脹: 腹痛을 호소하고 拒按한다.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消脹飮(增299): 治浮腫脹滿 小兒尤宜 (나복 소경 건갈 0.7 진피 백출 지각 감초 0.5)
萬億丸(下99): 治大人小兒食滯 無所不可 瘧痢亦可 (寒食麵 주사 파두 5)
紫霜丸(中177): 治食癎 及痰癖 不嘔而吐 (대자 적석 10 파두 30粒 행인 50枚)
虛脹: 面目이 痿黃하고 부었다 빠졌다 한다.
六君子湯(上64): (四君子湯: 補眞氣虛弱 治氣短氣少)
28) 腹痛
上腹痛 熱者는 身熱 口渴한다.
芍藥甘草湯(上86): 甘者己也 酸者甲也 甲己化土 此仲景妙法也 酸以收之 甘以緩之 (작약 4 감초 2)
下利腹痛
黃芩芍藥湯(下93): 治下痢膿血 身熱腹痛 脈洪數 (황금 백작 2 감초 1)
胃寒腹痛은 消化가 안된 下利淸穀하고 皮膚가 차고 顔色이 희다.
理中湯(上6): 治太陰腹痛 自利不渴 (인삼 백출 건강 2 감초 1)
蛔蟲으로 인한 腹痛은 顔色이 희고 입술은 붉고, 空腹時에 더 심하고 입에서 침을 많이 吐한다.
安蛔理中湯(上70): 治脾虛 蟲痛 (백출 1 건강 인삼 백복 0.7 화초 30粒 매이)
練陳湯(下76): 治小兒蛔蟲 (고련 2 진피 반하 적복 1 감초 0.5 생강 3편)
傷食에 의한 腹痛이 많으니 이는 傷食條를 參照할 것.
29) 夜啼
臟寒하면 面靑 手冷 젖을 빨지 않고 운다.
加減當歸散(增300): 治受寒濕 腹痛 囊腫 (당귀 1.5 건강 소회 1 관계 천궁 목향 감초 0.5 오수 0.3)
心熱하면 煩躁 不安 面赤 脣紅 舌撓하고, 등불만 보면 운다.
導赤散(下78): 治小腸熱 小便不利 (생지황 목통 감초 1 등심)
抱龍丸(中175): 治驚風 潮搐 身熱 昏睡 能下痰熱 乃心肺肝藥也 (남성 10 천축 5 웅황 주사 2.5 사향 1)
精神이 不安하여 우는 자는 잠자다가 驚悸하고 顔色이 紫黑하다. 또, 吐瀉後, 大病을 앓고 난 후의 夜啼者도 있다.
安神丸(增301): 治心神虛 驚悸 夜啼 (인삼 백복 맥문 산약 용치 2 경면초 한수 감초 0.5 용뇌 0.1 금박 10片)
30) 小兒遺溺
소아가 소변이 나와도 본인은 느끼지 못하는 경우인데, 肺氣가 虛하던가 下焦가 虛하면 遺溺가 되어 소변을 가리지 못한다.
鷄腸散(中104): 治小兒遺尿 脬寒 陽虛 (계장 모려 백복 상표 5 辣桂 용골 2.5 생강 3편 대조 2매)
31) 解顱
頭顱骨縫이 벌어져서 숫구멍이 아물지 않는 증상이다. 수심이 많고 눈의 흰자위가 많이 나타나고 顔色이 晄白하며, 머리가 무거워서 스스로 움직이지 못한다.
六味地黃元(上40): 治腎水不足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十全大補湯(上33): 治氣血兩虛 (인삼 백출 백복 감초 숙지 백작 천궁 당귀 1.2 황기 육계 1 생강 3편 대조 2매)
八味元(上40): 治命門陽虛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육계 부자 10)
만약 三年이 지난다면 不治이다.
外治法
封囟法[封顱法](增302): 治解顱 (남성)
32) 顖腫
顖門이 腫起하는 것이다. 哺乳의 失節로 脾胃가 손상하였거나 寒熱의 氣가 蘊積되어 衝上하는 까닭이다. 머리카락이 노랗고 짧으며 自汗 骨蒸熱이 나온다.
熱腫은 腫處가 몰랑몰랑하다.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瀉靑丸(下106): 治肝實. 痘毒 驚搐 心肝熱瀉 肝風自去 瀉靑丸, 利小便 熱不炎 導赤散. 痘後餘毒 入眼生瞖大效 (당귀 용담 천궁 치자 대황 강활 방풍 等分)
寒腫은 腫處가 단단하다.
蔘蘇飮(中26): 治感傷風寒 頭痛 發熱 咳嗽 及內因七情 痰盛 潮熱 (인삼 소엽 전호 반하 건갈 적복 1 진피 길경 지각 감초 0.5 생강 3편 대조 2매)
補中益氣湯(上22): 治勞役太甚 或飮食失節 身熱自汗 (황기 1.5 인삼 백출 감초 1 당귀 진피 0.5 승마 시호 0.3)
外用法
封囟法[封顱法](增302): 治解顱 (남성)
33) 顱陷
顖門이 움푹하게 빠져 내려간 것이다. 大病을 앓고난 후, 吐瀉 후에 元氣가 大脫하여서 발생한다.
獨蔘湯(增26): 治氣虛 血脫 (인삼 10-60)
十全大補湯(上33): 治氣血兩虛 (인삼 백출 백복 감초 숙지 백작 천궁 당귀 1.2 황기 육계 1 생강 3편 대조 2매)
補中益氣湯(上22): 治勞役太甚 或飮食失節 身熱自汗 (황기 1.5 인삼 백출 감초 1 당귀 진피 0.5 승마 시호 0.3)
蔘歸茸湯(增8): 治血虛虛脫 (인삼 10 당귀 녹용 5)
身熱
錢氏白朮散(上120): 治吐瀉日久 津枯 煩滿 引飮 欲成慢驚 (건갈 2 인삼 백출 백복 목향 곽향 감초 1)
慢驚條를 參照하여 施治하는데, 그러나 枕骨이 같이 陷沒하였으면 百無一生이다.
34) 天柱骨倒
뒷목(項)이 無力하여 머리를 들 수 없고 앉지도 못하는 것이다. 大病 後, 吐瀉 후에 氣脫이 된 者에게 간혹 이런 증상이 나오는 例가 있다.
蔘歸茸湯(增8): 治血虛虛脫 (인삼 10 당귀 녹용 5)
十全大補湯(上33): 治氣血兩虛 (인삼 백출 백복 감초 숙지 백작 천궁 당귀 1.2 황기 육계 1 생강 3편 대조 2매)
鹿茸이나 附子를 加하여 救한다.
35) 五軟
頭項軟은 天柱骨이 약하여 머리를 들지 못하는 것이고, 身體軟은 온 몸이 수척해서 홀로 일어서지 못하는 것이다. 口軟은 舌虛하여 혀가 입 밖으로 나와서 말을 못하고, 肌肉軟은 肉瘦하여 피부가 늘어진 虛羸之狀이다. 手足軟이면 손을 들어올리지 못하고 걷지도 못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증상은 모두 先天不足에서 온 것이다.
六味地黃元(上40): 治腎水不足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十全大補湯(上33): 治氣血兩虛 (인삼 백출 백복 감초 숙지 백작 천궁 당귀 1.2 황기 육계 1 생강 3편 대조 2매)
獨蔘湯(增26): 治氣虛 血脫 (인삼 10-60)
蔘歸茸湯(增8): 治血虛虛脫 (인삼 10 당귀 녹용 5)
腎氣丸(上40): 滋肺之源 以生腎水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오미 4)
四君子湯(上64): 補眞氣虛弱 治氣短氣少 (인삼 백출 백복 감초 1.25)
補中益氣湯(上22): 治勞役太甚 或飮食失節 身熱自汗 (황기 1.5 인삼 백출 감초 1 당귀 진피 0.5 승마 시호 0.3)
36) 五硬
手硬 脚硬 腰硬 肉硬 項硬 등의 이 五部가 뻣뻣하고 얼음같이 차가와지는 증상이다.
六君子湯(上64): (四君子湯: 補眞氣虛弱 治氣短氣少)
烏藥順氣散(中10): 治一切風疾 先服此 疏通氣道 進以風藥 又治癱瘓 歷節風 (마황 진피 오약 천오 백지 강잠 지각 길경 건강 감초 생강 3편 대조 2매)
37) 龜胸背
佝僂病의 일종으로 督脈의 병인데, 혹은 肺燥痰壅에서 起因되기도 한다.
六味地黃元(上40): 治腎水不足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痰盛
二陳湯(中99) 兼用: 通治痰飮 (반하 2 귤피 적복 1 감초 0.5 생강 3편)
咳嗽
瀉白散(下33): 治肺實. 亦治 乾亥 水枯 火炎 (상백 지골 2 감초 1)
胸痛
杏仁煎(增347) 兼服: 治肺熱龜胸 (대황 천문 행인 목통 1.2 상백 정력 석고 0.8)
背痛
松蘂丹(增348) 兼服: 治龜背 (송화 지각 방풍 독활 10 마황 전호 대황 관계 5)
或 위에다가
六味地黃元(上40): 治腎水不足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六君子湯(上64): (四君子湯: 補眞氣虛弱 治氣短氣少)
花蛇(율먹이)를 成膏하여 長服하는데, 수백 마리를 먹고 효험을 본 사람이 많다.
猪腰子를 割剖하여 甘遂末 一錢을 넣고 종이로 싸서 짚불에 구워 2~3회로 나누어서 설사를 할 때까지 먹는다.
38) 齒牙
齒牙가 不生하는 것은 腎氣가 충실하지 못한 것이다.
六味地黃元(上40): 治腎水不足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氣血俱虛
十全大補湯(上33): 治氣血兩虛 (인삼 백출 백복 감초 숙지 백작 천궁 당귀 1.2 황기 육계 1 생강 3편 대조 2매)
齒齦의 臭爛에는
沆瀣丹(增276): 治胎病 胎毒 胎熱 諸證 功難盡記 (천궁 대황 황금 황백 9 흑축 활석 연교 적작 6 빈랑 7.5 박하 지각 4.5)
五福化毒丹(中178): 治熱疳 多生瘡癤 及頭瘡餘毒 口齒出涎血臭氣 雀目 (현삼 10 길경 8 인삼 적복 마아초 5 청대 2.5 감초 1 사향 0.5 금박 은박 8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