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구꽃잎이 봄바람에 날린다. 얼음 풀린 계곡에 돌돌돌 맑은 물이 흐르고 어느새 돋아난 향긋한 나물이 입맛을 일깨우는 봄이다. 길따라 맛따라 경남 울산의 별미를 찾아 함께 떠나보자.
“고래고기 안 묵었으모 울산서 대접받은게 아잉기라.”
‘공업도시’ 울산의 또 다른 상징은 ‘고래고기’다. 울주의 반구대 암각화에 고래가 새겨질 만큼 울산과 고래는 선사시대 때부터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울산이 고래회로 유명하게 된 것은 장생포에 우리나라 유일의 포경기지가 있었기 때문. 한때 50여척이던 포경선은 지난 86년 포경 금지로 거의 자취를 감췄고 단 2척이 남아 전시용으로 수리가 한창이다.
포경금지로 울산에서 볼 수 있는 고래고기는 대부분 그물에 걸려 올라온 것들이다.
고래고기는 회, 수육, 불고기, 스테이크 등 요리법이 다양하다. 찍어먹는 양념도 다르다. 이중 대표적인 것은 고래수육. 몸통부위를 푹 삶아 얇게 썬 수육은 얼핏보아 돼지고기 수육과 비슷한데 멸치젓국에 찍어먹는 담백하고 쫄깃한 맛은 천하 일미다. 가격은 2~3인이 먹을 수 있는 접시당 3만원선.
살코기와 시원한 배를 채로 썬데다 참기름과 다진마늘 등의 양념을 버무린 고래육회는 소고기육회와 빛깔과 맛이 엇비슷하다. 갈빗살을 재료로 한 불고기와 스테이크는 부드러운 소고기맛으로 입안에서 살살 녹는다.
고래목살과 가슴살을 얼려 얇게 썬 ‘우네’는 초장에, 꼬리지느러미 부분을 소금에 절였다가 뜨거운 물에 데친 ‘오베기’는 간장에 찍어 먹는데 고래고기가 아니면 맛볼 수 없는 요리다. 소금절인 오베기는 단무지처럼 수년을 보관했다가 먹기도 하는데 해가 지날수록 독특한 맛을 낸다.
고래가 포유류임을 가장 확실히 느끼게 해주는 요리는 ‘고래찌개’(6천원)이다. 무와 머리를 다듬은 콩나물을 육수와 함께 넣어 얼큰하게 끓인 찌개맛은 매운탕과 육개장을 합친 것처럼 절묘한 맛이다.
포경이 금지되기 전만 해도 고래고기 전문음식점은 장생포항 주변 수십곳이 모여 있었으나 지금은 대부분 시내로 이전해 10여곳이 성업중이다. 울산의 고래고기 전문점은 남구 달동 ‘참고래(257-1777)’와 맞은편 ‘고래고기 원조할매집(271-7313)’, 인근 삼산동 ‘천수고래(273-8129)’ ‘대왕고래’, 옥동 ‘왕고래(268-8338)’ ‘장생포 정통고래고기(265-5467)’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식당은 전통적인 맛과 요리법은 그대로 살리면서도 깔끔한 현대식시설을 갖춰 울산을 찾는 외지인 접대장소로 애용되고 있다.
고래고기 본산이라 할 수 있는 장생포항에는 현재 2~3곳이 남아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그중 5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왕고래(261-7075)’와 ‘원조 할매집(265-9558)’은 옛모습 그대로 자리하고 있는데 왕고래는 옥동 왕고래, 원조 할매집은 달동 고래고기 원조할매집의 본점격이다. 장생포 고래고기횟집은 60~70년대 울산에 대한 향수를 못잊는 토박이들이 즐겨찾고 있다. 일본까지 입소문이 나 울산을 찾는 일본 관광객들의 발길도 심심찮게 이어진다.
고래고기 식당 주인은 포경선원이었던 부모의 가업을 이은 경우가 많다.
장생포 왕고래식당 주인으로 포경선 포수의 아내였다는 박경렬(74) 할머니는 “30년전만 하더라도 울산 앞바다에 고래가 흔했고 자유롭게 잡을 수 있었기 때문에 장생포 어민 대다수가 고래잡이에 의존했다”며 “비싼 참고래가 잡히면 온동네가 잔치판이었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래고기와 돌고래고기를 혼동한다. 그러나 ‘웨일(whale)’로 불리는 고래와 ‘돌핀(dolphin)’으로 불리는 돌고래는 엄연히 구분된다. 고래와 돌고래는 맛도 차이가 많은데 고래는 꼬리 머리 가슴 등 부위별로 12가지 별미를 낸다고 한다.
고래고기의 지방은 콜레스테롤이 없는 불포화지방산으로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약리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사촌격인 돌고래는 빛깔이 거무스름하고 기름기가 많으며 날고기는 비린내가 난다. 익힌 고기도 비위가 약한 사람은 먹기 힘들 정도인데 흔히 일식집이나 횟집에서 소량이 나온다.
이때문에 돌고래를 고래고기로 알고 먹은 사람들이 실망감을 얘기하는 것을 흔히 들을 수 있다.
/ 울산 / 방종근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