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어目 Rajiformes
홍어科 Rajidae
○ 고려홍어 : Hongeo koreana (Jeong and Nakabo)
► 외국명 : (영) Korean skate
► 형 태 : 크기는 체반 너비 100㎝ 미만이다. 체반의 등 쪽에서 보면 문(주둥이)연골 너비가 좁지만 딱딱하여 휘어지지 않는다. 견갑부의 반점이 둥글지 않고 길며, 2개로 분리되는 경우도 있다. 항문 뒤쪽에도 로렌치니 병상 기관이 분포한다. 비교적 짧고 깊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으며 약간 둔하다. 입은 약하게 아치형이고 크고 51줄의 이빨이 있다. 아가미에는 다섯 쌍의 아가미 슬릿이 있다. 꼬리 끝 가까이에 두 개의 등지느러미가 있으며, 작고 낮은 꼬리지느러미가 두 번째 등지느러미 근처에 위치한다. 꼬리 길이는 몸길이보다 짧으며, 배 중앙선을 따라 홈이 있고 꼬리의 측면 주름이 잘 발달하여 꼬리 끝까지 뻗어 있다. 수컷이 암컷보다 전체적으로 더 검으며, 그 외에는 색이 매우 비슷하다. 암컷의 등쪽 표면은 갈색이며 짙은 갈색 반점이 흩어져 있고 뚜렷한 자국이 있다. 배쪽 표면은 검은색~갈색이며 구멍(콧구멍과 아가미 슬릿) 주위는 회색이다. 꼬리의 등쪽 표면은 갈색 띠가 3개 있고 짙은 갈색 반점이 있는 반면, 꼬리의 배쪽 표면은 회색이다.
고려홍어는 몇 가지 뚜렷한 특징이 있다. 하나는 신경두개(神經頭蓋, neurocranium)와 연속적인 연골이다. 연골은 근위적으로 튼튼하고 매우 가늘며 원위부는 석회화되지 않았다. 다른 하나는 꼬리의 등쪽 표면 중앙선을 따라 뚜렷한 가시열이 있다. 수컷과 암컷 모두 이 가시열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가시는 앞쪽을 향하고 있다.
► 설 명 : 대륙붕~대륙사면의 수심 30~70m 내외의 모래와 개펄 바닥에 서식한다. 난생으로 산란기에 암컷은 진흙이나 모래 기질 위에 알을 낳는다. 알은 껍질에 뿔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배아는 알 안에서 노른자를 먹고 자란다.
한국 남부에서 상업적으로 어업하는 어종이다. 한국의 특산 요리로는 홍어회가 있으며, 홍어회는 날카롭고 톡 쏘는 향과 생선 연골로 인해 삼키기 어려운 식감으로 유명한 발효 홍어 요리이다. 모든 홍어회가 홍어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홍어를 포함한 모든 홍어류를 사용할 수 있다.
과도한 어획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서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간주된다.
► 분 포 : 한국의 남해안(특히, 목포), 제주도에 분포한다.
► 비 고 : 한국에서 표본이 처음 채집되었고, 한국 해역에서 채집된 최초의 연골어류 신종이므로 그것을 기념하기 위해 Jeong and Nakabo(1997)가 ‘Korea’의 어원을 따라 ‘고려홍어’로 명명하였다. 이 종은 제주 해협의 주변 해역에만 분포하는 분포 범위가 좁은 한국 고유종으로 예상되었으나 최근 홋카이도를 비롯한 일본 해역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참 고 :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홍어는 삭혀서 먹는 참홍어(Raja pulchra)와 삭히지 않고 생으로 무쳐먹는 간재미라고 불리는 홍어(Okamejei kenojei)가 대표적이다.
둘 다 상업적으로 다른 용도이고 값어치도 다르기에 예로부터 구분되어왔으나 참홍어는 홍어로 유통하고 국명 홍어는 간재미로 불러온 탓에 국명을 알려주면 혼란스러워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실제로 간재미의 국명이 홍어라고 알려주면 이게 삭혀먹는 홍어의 새끼로 잘못 아는 경우가 허다하다. 심지어 어지간한 사전이나 기사에도 참홍어에 붙어있어야 할 설명이 홍어 항목에 붙어있다.
홍어는 소형종으로 다 자라면 40~50㎝ 정도가 평균치다. 소형종이라 연골이 연해지는 겨울~봄에 회무침으로 즐겨먹는다. 크기가 커지면 뼈가 씹기 힘들어져 회보다는 찜, 조림으로 해먹는다. 시장에선 간재미로 유통되며 둥글둥글하게 생겼다. 같이 어획되는 가오리, 참홍어의 새끼들도 크기가 작아 성체보다 값어치가 없으므로 간재미로 퉁쳐서 함께 판매된다. 홍어의 산란기는 가을~이른 봄으로 이 시기에 뼈가 연해져 제철로 취급한다.
참홍어는 대형종으로 성체의 크기는 100㎝를 훌쩍 넘는다. 상업적으로 가치가 커 개체수가 많이 줄어든 탓에 어자원 보호를 위해 전문 어선 수, 어획 시기, 어획량을 정부에서 관리한다. 흑산도 참홍어가 가장 유명하며, 특상품은 한마리에 비쌀때는 70~80만원에 거래된다. 국내 어획량으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으므로 수입산이 대부분이다. 코가 뾰족해서 둥글둥글한 홍어와 구분이 어렵지 않다. 참홍어의 산란기는 7~8월을 제외한 연중이다.
이외에도 깨알홍어, 무늬홍어, 고려홍어, 광동홍어, 살홍어 등이 서식하나 어쩌다 한번 어획되어 크게 구분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