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땅콩 재배법 및 재배과정
- 땅콩을 낙화생(落花生)이라고도 한다. 땅콩꽃이 흙으로 떨어져야 땅콩이 달린다.
- 땅속에서 콩이 달려 땅콩이라고 하는, 고소한 땅콩 키우는 이야기...

1. 땅콩밭 만들기
땅콩재배는 물이 잘 빠지고 양지바른 사질토가 좋다.
특히 장마철에는 고랑정비를 잘하여 물빠짐을 좋게 해야한다.
이랑 폭 50㎝ 이상, 높이 30㎝ 이상으로 두둑을 만들며
2줄심기의 경우는 이랑 폭을 70㎝ 이상으로 만든다.
밭갈이 할때 퇴비는 3평당 20kg 퇴비 1포대를 뿌린후 삽질한다.
땅콩은 재배 과정에 웃거름을 주지 않고 키운다.
2. 연작금지
땅콩재배시 연작(이어짓기, 다음해에도 같은 곳에 땅콩심기)을 하면 각종 병해가 발생한다.
3. 땅콩파종시기
땅콩파종시기는 비닐 멀칭을 하지 않고 땅콩을 심을때는 남부지방은 4월하순 ~ 5월상순,
중부지방은 5월 상순이며, 비닐멀칭 재배시에는 10일 ~ 15일 빨리 파종해도 된다.
한 이랑에 2줄 심기의 경우 줄사이는 40cm, 파종간격은(주간거리) 25cm, 파종깊이 4 ~ 5㎝로
약간 밀식재배하는것이 땅콩 수량증가에 유리하다.
땅콩을 바로 밭에 파종하여도 무방하나 땅콩 종자를 예비파종을 하여 발아시켜
밭에 파종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흙속에서 땅콩싹이 빨리 올라와 병충해에 강한 땅콩이 된다.
예비파종을 하면 죽은 종자를 골라낼 수 있으며 땅콩 싹이 나오는데 유리하다.
3-1. 땅콩심는시기(땅콩 모종)
땅콩알을 파종하지 못하였다면 화원이나 종묘상에서 땅콩모종을 구입하여 밭에 심는다.
땅콩을 모종으로 심는시기는 땅콩파종시기보다 늦게해도 된다.
5월중순까지 여유있게 땅콩모종을 심을 수 있다.
○ 예비파종이란?
주방에서 사용하는 키친타올을 바닥이 평평한 접시나 락앤락 같은 용기에 깔고,
물을 끓여 식힌 다음 키친타올에 분무기로 뿌려 촉촉히 적신 후에 땅콩을 올려놓는다.
키친타올에 물이 고이지 않을 정도로 적셔준다.
키친타올이 마르지 않게 스프레이로 물을 주며 하얀 유근이 돋아 날때까지 따뜻한 곳에 놓아둔다.
뚜껑이 있는 용기의 경우 뚜껑을 닫아 놓으면 키친타올에 물이 마르는 것을 늦출수 있다.
발아 과정에서 곰팡이가 나는 땅콩은 골라 내어 버린다.
일정한 기간안에 발아가 안된 땅콩도 골라내어 버린다.
발아가 되면, 땅콩의 뿌리가 되는 유근을 아래쪽으로하여 밭에 파종한다.
발아된 땅콩을 트레이에 심어 당콩 모종으로 육묘하여 밭에 정식하기도 한다.
※ 땅콩뿐만 아니라 오이, 호박, 고추등의 씨앗을 예비파종하여 재배하면
발아 기일을 당길수 있으며 또한 죽은 종자를 골라 낼수 있다.
※ 구입한지 2-3년 된 종자는 예비파종을 해 보아 발아가 잘되는지 시험발아 해 보고
파종하는게 좋다.

4. 땅콩 모종심는방법
- 4월 중하순에 땅콩 파종을 하지 못하였다면 땅콩 모종을 사서 5월 중순경에 심으면 된다.
- 땅콩 모종은 화원이나 종묘상에서 구입하여, 5월중순에 50cm 간격으로 땅콩 모종심기를 한다.
- 예비파종으로 발아된 땅콩을 트레이에서 육묘하여, 자라난 모종을 밭에 아주심기(정식)한다.
5. 땅콩에 발생하는 병
1) 갈색무늬병(갈반병)
- 땅콩잎이 황갈색으로 변하다 흑갈색으로 되어 땅콩잎 앞면에
회색곰팡이가 생겨 썩으며 낙엽이 되어 잎이진다.
- 연작금지
2) 검은무늬병
- 땅콩잎 아래에 흑갈색의 병반이 생겨 퍼진다.
- 연작금지
3) 그물무늬병
- 황갈색의 그물 모양의 반점이 잎 표면에 생긴다.
- 검은무늬병, 갈색무늬병과 동시에 발생한다
4) 녹병
- 잎 뒷면에 녹같은 작은 반점이 생겨, 잎전체로 퍼져나간다.
- 녹병이 든 잎은 제거해주고 아랫잎도 제거해 준다.
5) 치료법
- 각 증상에 맞는 약제를 1주일 간격으로 2 ~ 3회 뿌려준다.
6. 땅콩 북주기
- 땅콩에 꽃이 피고, 수정이되면 자방병(씨방줄기,씨방자루)이 생기는데 비닐멀칭한 밭이면 비닐을 찢어,
- 자방병이 땅속으로 들어가게 줄기 주위를 넓혀주면서 북주기를 해주고, 땅콩꽃이 만개하면 다시 한번더
- 북주기를 해주는데 땅콩잎이나 줄기가 흙속에 파묻히지 않게 해준다.
- 자방병(씨방줄기,씨방자루)은 땅콩꽃이 수정한후 자라난다. 자방병이 땅속으로 들어가 자방병 끝에
- 땅콩이 달리게 된다. 땅콩자방병이 많이 달려야 땅콩 수확이 많아지게 된다.
- 땅콩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중 하나가 자방병 북주기이다.
- 땅콩을 낙화생(落花生)이라고도 한다. 땅콩꽃이 지고, 떨어져야 자방병 끝에 땅콩이 달린다.
7. 땅콩수확시기
- 땅콩 수확시기는 9월중순 ~ 10월초, 땅콩잎이 변할때 수확한다.
- 땅콩 꼬투리에 격자형 그물 무늬가 선명해져야 땅콩 수확시기가 된것이다.
- 일찍 수확하는 풋땅콩은 땅콩꽃이 핀지 80일 후에 수확한다. 풋땅콩을 삶아 먹으면 맛이 기막히다.
- 수확한 땅콩중 일부는 껍질채 보관하여 다음해 종자로 사용한다.
- 종자용 땅콩은 꽃핀지 100일후에 수확한다.

8. 땅콩 재배과정 - 5월11일, 땅콩모종 심다.
▼ 5월24일, 정식한 땅콩이 활착되다.

▼ 6월9일, 땅콩 꽃이 피고진다.
- 낙화생(落花生)이라고도 한다. 땅콩꽃은 지고 땅콩이 달린다.

땅콩 꽃이 피고 지면, 조금 지나 꽃에서 자방병이 자라 땅속으로 들어가 땅콩이 열리게 된다.
자방병이 흙속으로 들어가게 비닐 구멍을 넗혀 주어야 한다.
자방병이 생기면 땅콩 줄기 주위에 흙을 돋아주는 북주기를 해준다.
북주기 할때는 땅콩줄기나 잎이 묻히지 않게 해준다.
▼ 7월3일, 땅콩의 꽃이 수정되면 땅콩자방병이 자라나 땅속으로 파고든다.
땅콩자방병 줄기 끝마디 마다 땅콩이 달린다. 땅콩자방병이 많아야 땅콩 수확이 많아진다.
땅콩 줄기를 들쳐 보아서 자방병이 보이면 흙으로 덮어준다.
비닐멀칭을 하였다면 땅콩줄기 주위에 비닐을 넓게 벌려주거나 비닐을 걷어 내야 한다.
땅콩 줄기 아래에 보이는, 자색으로 길쭉하게 자라나는 땅콩자방병을 흙으로 덮어준다.

▼ 땅콩 자방병이 자라나면서 자방병 끝에 땅콩을 달고 있다.
땅콩 자방병을 흙으로 덮어 주어야 흙속에서 땅콩이 영근다.

▼ 땅콩 자방병을 흙으로 덮어준다. 땅콩 줄기나 잎은 흙속에 묻히지 않게 해준다.

▼ 땅콩 줄기 아래의 비닐멀칭을 걷어내고 땅콩자방병에 북주기를 해준 땅콩이랑이다.

▼ 7월15일, 장맛비가 이어지는 요즘은 밭에서 해야 할일은 별로 없다.
땅콩잎에도 비가 내린다.
커피 한잔 하면서 비 내리는 모습을 바라 본다. 텃밭에 커피향이 번져간다.

■ 땅콩 이야기는 계속..
땅콩 수확시기
땅콩 수확시기는 9월중순 ~ 10월초 땅콩잎이 변할때 수확합니다.
일찍 수확하는 풋땅콩은 땅콩꽃이 핀지 80일 후에 수확합니다.
수확한 땅콩중 일부는 껍질채 보관하여 다음해 종자로 사용합니다.
종자용 땅콩은 꽃핀지 100일후에 수확합니다.
5월11일에 땅콩 모종을 심었으니 130일 경과, 6월9일에 땅콩꽃이 핀지 100일째입니다.
땅콩 수확시기의 판단은 몇 포기를 캐어 본후 땅콩 꼬투리의 성숙도를 보고 결정합니다.
성숙한 것은 꼬투리 표면에 격자의 그물무늬가 형성되고, 미숙종자는 그물이 생기지 않으므로
이것을 보고 땅콩 수확하는 시기를 판단 하는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꼬투리에 격자형 그물무늬가 오돌도톨 선명하면 땅콩을 수확해도 됩니다.
땅콩 2포기를 먼저 캐보기로 합니다.
땅콩줄기를 모아 움켜쥐고 옆으로 흔들어 뿌리채 뽑습니다. 땅콩은 뿌리에서 열리지 않습니다.
땅콩꽃이 피어난후 꽃에서 자라난 자방병에 땅콩 꼬투리가 달립니다.
해서 땅콩을 낙화생(落花生)이라고도 합니다.
땅콩 줄기를 모아 잡고 뽑으면 자방병 끝에 달린 땅콩 꼬투리들이 달려 나옵니다.
재배하는 땅콩 포기가 많지 않은 경우에는 수확하는 대로 흙을 털고 꼬투리를 따서 말리는 것이 보통이지만
넓은 면적에서 땅콩을 재배할 때에는 땅콩 꼬투리가 위로 가도록 포기를 뒤집어 말립니다.
건조하는 동안 비를 맞으면 품질이 떨어지고 발아에도 지장이 있으므로 건조대를 세워서 줄기채 걸어 말립니다.
비가 올때는 비닐을 씌워 비맞는 것을 방지하면서 충분히 건조되도록 합니다.
5 ~ 7일 정도 건조한후, 흔들어 보아 꼬투리 속의 땅콩이 딸그락 소리가 날때 껍질을 깨면 됩니다.
땅콩꽃입니다.

땅콩꽃이 시드면서 자방병이 자라나 흙속으로 들어 갑니다. 자방병에 땅콩 꼬투리가 달립니다.

땅콩 줄기를 뽑으면 땅콩 꼬투리가 자방병에 주렁주렁 달린채로 땅콩이 뽑혀져 나옵니다.

자방병에 달린 땅콩을 훝어 떼어냅니다. 땅콩 2주에서 수확한 땅콩입니다. 얼기설기 보이는 가느다란 줄기는 자방병입니다.

땅콩에 달려있는 자방병을 모두 떼어 낸 모습입니다. 땅콩 껍질에 그물무늬가 선명하게 보입니다.

꼬투리에 격자형 그물무늬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어, 수확시기가 된 땅콩을 모두 캡니다.

거치대에서 건조하고 있는 땅콩입니다. 하늘을 향해 있는것이 땅콩뿌리입니다. 땅콩은 뿌리에 달리지 않습니다. 자방병에 달립니다.

■ 땅콩의 효능 정월 대보름날 이른 아침에 생밤, 잣, 호두, 땅콩등 견과를 깨물며 그해의 무사태평과 부스럼이 나지 않도록
축수하는 세시풍속이 있습니다. 땅콩은 좋은 기름이 많고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이 고루 들어있어 건강식으로 손색이 없으며
땅속에서 꼬투리가 맺고 딱딱한 껍질로 땅콩알을 싸고 있어 농약오염도 적은 식품입니다.

볶음땅콩은 특유의 향미가 있어 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군것질로 즐기는 기호식품이며, 땅콩버터 역시 별미가 있고
땅콩죽은 기력회복과 젖이 부족한 산모에 좋습니다. 경상도 지방에서 애용하는 삶은 풋땅콩은 볶은 땅콩과는 다른
별미가 있으며, 속껍질에는 레시친 등 기능성 물질을 섭취할 수 있어 영양 면에서도 우수합니다.
중국의학에서는 땅콩을 장생과(長生果)라 하며, 그 맛은 달고 성질은 평(극성이 아니다)하다고 했습니다.
폐를 윤활하게 하여 기침을 멎고 가래를 삭이며, 위장과 비장을 건강하게 그리고 피를 양생하여 젖을
잘 나오게 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빈혈과 각기병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도 합니다.
비타민 B1, B2, A, C, H, 판토텐산(비타민 B의 복합체), 칼슘, 인, 철 및 땅콩염기, 비트염기 choline
(비타민 B의 복합체의 하나)등 여러 가지의 유효성분이 있습니다.
속껍질에 유용한 성분이 많으므로, 껍질채 먹으면 몸에 좋고 버려진 껍질로 주위가 지저분하지 않아 좋습니다.
그러나, 곰팡이가 생긴 땅콩에서는 이플라톡신((Aflatoxin)이 나올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하며,
장을 윤활하게 하고 변을 잘 보게 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설사환자는 많이 먹으면 안 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