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한데 인수가 경하고 재성이 중하다]
이건 "재다신약"에서 나올 수 있습니다
고로 "득비리재"를 얻을 때에 성격이 됩니다.
그래서 본문에서도 겁재로 구제해야 한다고 설명하는 겁니다.
그러므로
자평진전에서 말한 인경재중의 구결은 운에서 겁재를 만난 득비리재가 된 것을 말하는 겁니다
若印輕財重,又無劫財以救,則爲貪財破印,貧賤之局也。
의역: 만약 인수경한데 재성이 중하여 신약한 팔자가 된다고 하면
반드시 겁재로 구제해야 한다.
이것은 "득비리재"로 구제받는 명식을 말한다.
그렇치 않으면 탐재괴인으로 파국이 된다.
고로 인경재중이 성격이 되는 경우는
원국에서 비견겁이 있거나 혹은 운에서 비겁을 만난 조건을 말한다.
곧 대운에서 패중유성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비겁이 길하다고 하여 비겁을 상신이라 판단하면 안되는데
왜냐하면 인경재중자에서는
인수는 용신이 되고 재성이 곧 상신으로 판단이 난 상태이기 때문이다.
비견겁은 오직 용신을 돕는 글자를 말하는데 곧 희신이라 한다
참고 사항
자평진전에서는 비겁을 상신하는 사례가 없습니다
고로 "인수용비겁"이라는 용어 자체가 없으므로 이런 용어를 구사하면 안됩니다
중국에서 어느 청년이 비겁격, 비견격이라 주장하다가
잠시 인터넷에서 뜨다가 아주 사라져 버린 인물이 있습니다
기본이 안된 인물인 겁니다.
"건록격 월겁격은 있어도 비견격은 존재하지 않는 겁니다"
논취운편에서 설명하는
"비겁운이 길하다"
이것은 비겁이 상신을 돕는 구조로 희신이 된다는 것을 말하는 겁니다
상신을 돕는 비겁이면 희신이지 상신이 되는게 아닙니다.
서락오가 말하길
[인수용재는 반드시 두 가지로 나눠 봐야 한다]
는 요지를 이해해야 합니다
서락오가 실수는 많아도 아직까지는 대가로 존재하는 이유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