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아시아=조선
 
 
 
카페 게시글
옛날 카페에서 발표한 자료 스크랩 Re: 조석의 특징은?
최두환 추천 0 조회 81 15.12.23 19:46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조석, 조류는 외해로 연린 바다와 관련이 있고, 그래서 조석 주기도 대개 24시간 50분/1일, 12시간 25분[고조와 고조, 저조와 저조 사이], 6시간 12분 30초[조고에서 저조, 저조에서 고조 사이]의 주기를 갖는다. 정확하게는 고조와 저조 사이나 저조에서 고조 사이의 시간은 각각 다르다.

이 주기는 보름과 그믐의 사리를 갖는데, 거의 30일, 즉 15일주기이다.

게다가 동일한 위치에서 월령이 같은 날은 조시[고조는 고조, 저조는 저조]가 같다. 정확하게는 해마다 30분 이내의 범위에서 같다. 물론 고조와 저조는 그 오차범위도 각각 다르지만, 30분 이내로 통일할 수 있는 오차범위이다.

이것은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그렇다.

그리고 그믐과 보름이면 사리라고 하여 고조와 저조 사이의 차이, 즉 조차가 심하며, 조류도 더 세다.

이것은 위도가 다르면 다르다. 다시 말하면 그믐과 보름일지라도 "사리"라는 말로서 고조/저조가 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이런 경우는 홍콩의 경우 1977년의 조석을 보았더니, 그믐/보름+1일이 저조이고, 그믐/보름-6일이 고조였다. 단 이런 고조니, 저조 시간이 인시(寅時), 즉 03:00-05:00 사이였으며, 15일 주기였다. 이 홍콩의 경우에서 분명한 것은 그믐/보름 날이 "사리"가 아니라는 말이다.

그럼 <기효신서>의 조신가(潮信歌)로써 "조석 주기"에 대해 좀더 공부해보자.

많은 학자들이 하는 말을 보면, 옳은 말이 많지만, 결정적으로 틀린 말이 되는 경우는 지엽적인 상황에 맞춘 특별한 경우를 보편화해버린 문제 때문이다.

"사리"라는 말이 그렇다. 다른 경우를 제외시킨 말이 보편화해버린 것은 일반화된 진리라고 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홍콩의 경우 그믐/보름 날이 사리가 아이며, 오히려 '조금'의 경우와 같다.

그러면 조석의 주기를 보자.

다들 15일이라고 한다. 이 주기를 따라야만이 달력으로 맞아 30일씩 1달이 가게 된다.

과연 그런가?

나는 의문을 제기한다. 이 <기효신서>의 "조신표"로서 말이다.

이 조신표, 즉 조석표는 15일 주기가 아니라, "12일 주기"이다. 1일이 그믐이면 13일째가 보름이 되고 그 다음 13일째되는 25일이 그믐이 된다는 사실이다.

이런 일이 있을 수가 있는가?

<기효신서>의 "절동 지역 조석"이 그렇다.

왜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는가?

그것은 외해로 열린 바닷가가 아니라는 말이다. 다시 말해서 "절동 지역 조석표"가 적용되는 지역은 지금의 중국동부 해안 동경 122도 선상의 지역이 아니라는 말이다.

그렇다면 "절동 지역"은 어디라는 말일까?

매우 과학적으로 접근해보자.

 

보충 자료(1):

'전단강'이 보인다.
항주의 젖줄이자, 상징이다.
특히 음력 8월 18일 쯤(요즘)이면,
바닷물이 역류한단다. 조석 간만의 차이다.

이 조류가 역류하는 모습은 실로 장관이란다.
전 시민이 나와 이를 본단다.
'전단강' 하구는 나팔 모양으로 넓은데,
이곳 강폭은 1/50 정도로  좁단다.
그러니 2m이상의 조류가 강을 거슬러 올라오는 광경은,
중국식 표현대로 '백만마리의 백마'가 달려 오는 모습이란다.

 

보충자료(2):

 조석(潮汐, tides)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바다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많은 경우에 바다의 영향을 받는 하구 및 내륙의 큰 호수 등에서도 발견되며 대기는 물론 지구자체도 매우 작은 양이기는 하지만, 천체운동의 한 결과로 해양조석(海洋潮汐)과 같은 형태의 조석현상을 보이고 있다.

 

보충자료(3):

감조하천 (tidal river)
조석의 영향을 받는 하천을 말하며, 조석의 영향이 있는 연안해역으로 하천이 유입되는 현상의 하천.경사가 완만한 큰 강일수록 감조 구간이 길어서, 양쯔강[揚子江]에서는 1000 km 상류의 우한[武漢]까지 그 영향이 미친다고 한다. 상류에 이를수록 감조의 정도는 약해지지만, 국부적으로 강폭이 좁은 곳에서는 조석 에너지가 집약되어 하류보다 감조도가 증가되는 경우도 있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밀물 때에 폭이 좁은 하류의 수위가 오히려 높아져서 상류를 향하여 폭류(瀑流)를 이루는 경우가 있다. 이 부분에서는 썰물 때에는 반대로 하류를 향하는 폭류가 생긴다. 따라서 폭류의 방향은 약 6시간마다 번갈아 바뀌는 셈이다. 밀물시간은 짧고 썰물시간은 길며 이 시간의 차는 하천의 고유 유량에 따라 변화하고, 유량이 증가할수록 작아진다. 유속의 극대 ·극소는 각각 만조 때나 간조 때보다 몇 시간 늦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강어귀가 나팔 모양으로 펼쳐져 있고, 앞바다가 멀리까지 얕으며 조차(潮差)가 클 경우에는, 조파(潮波)의 앞면이 수벽(水壁)을 이루어 강을 거슬러 올라간다. 이를 해소(海嘯)라고 하는데, 중국의 쳰탕강[錢塘江]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염분의 변화는 수위나 유속의 변화에 비하여 비교적 하류 부분에 한정된다. 밀물 때에는 바닷물이 쐐기꼴로 강바닥을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상층보다 하층 쪽이 염분의 농도가 높다. 바닷물이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거리는 조석의 크기 이외에도 강의 유량 등에 의해서 달라지는데, 갈수(渴水) 등으로 유량이 감소하게 되면, 상류까지 바닷물이 거슬러 올라간다. 감조하고 있을 때의 강물이 용수중에 섞여 들어가면, 염해(鹽害)를 일으켜 농작물에 피해가 크다. 한국의 경우 서해안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천을 들 수 있는데, 특히 영산강 ·금강 ·한강 ·대동강 등의 하류부가 알려져 있다.

 

보충자료(4)

初一日曰七水?。海上方言如此。?者推也。方言稱水進曰推 祖江潮卯初汐酉初。湖西差早於京畿。湖南差早於湖西。他皆倣此。 中國浙東潮寅長巳平。汐申長亥平。江北潮子正汐午正。海嶠志。其至或時初時末。不可擬。
初二日曰八水?。祖江潮卯中汐酉中。浙東潮寅長巳平。汐申長亥平。江北潮子末汐午末。
初三日曰九水?。祖江潮卯末汐酉末。浙東潮卯長午平。汐酉長子平。江北潮丑初汐未初。
初四日曰十水?。祖江潮辰初汐戌初。浙東潮卯長午平。汐酉長子平。江北潮丑正汐未正。
初五日曰折只。言水折而減也。 祖江潮辰中汐戌中。浙東潮辰長未平。汐戌長丑平。江北潮丑末汐未末。
初六日曰二折只。祖江潮辰末汐戌末。折東潮辰長未平。汐戌長丑平。江北潮寅正汐申正。
初七日曰大折只。祖江潮巳初汐亥初。浙東潮巳長申平。汐亥長寅平。江北潮寅末汐申末。
初八日曰少音。言水極小也。 祖江潮巳中汐亥中。浙東潮巳長申平。汐亥長寅平。江北潮卯正汐酉正。
初九日曰水衰。祖江潮巳末汐亥末。浙東潮子長卯平。汐午長酉平。江北潮卯末汐酉末。
初十日曰一水?。祖江潮午中汐子中。浙東潮子長卯平。汐午長酉平。江北潮辰正汐戌正。
十一日曰二水?。祖江潮未初汐丑初。浙東潮丑長辰平。汐未長戌平。江北潮辰末汐戌末。
十二日曰三水?。祖江潮未中汐丑中。浙東潮丑長辰平。汐未長戌平。江北潮巳正汐亥正。
十三日曰四水?。祖江潮未末汐丑末。浙東潮寅長巳平。汐申長亥平。江北潮巳末汐亥末。
十四日曰五水?。祖江潮申上半。汐寅上半。浙東潮寅長巳平。汐申長亥平。江北潮子初汐午初。
十五日曰六水?。號生伊水盡生而極盛也。 祖江潮申下半。汐寅下半。浙東潮卯長午平。汐酉長子平。江北潮子正汐午正。
十六日曰七水?。祖江潮卯初汐酉初。浙東潮卯長午平。汐酉長子平。江北潮子末汐午末。
十七日曰八水?。祖江潮卯中汐酉中。浙東潮辰長未平。汐戌長丑平。江北潮丑正汐未正。
十八日曰九水?。祖江潮辰初汐戌初。浙東潮辰長未平。汐戌長丑平。江北潮巳末汐亥末。
十九日曰十水?。祖江潮辰初汐戌初。浙東潮巳長申平。汐亥長寅平。江北潮寅末汐申正。
二十日曰折只。祖江潮辰中汐戌中。浙東潮巳長申平。汐亥長寅平。江北潮寅末汐申末。
二十一日曰二折只。祖江潮辰末汐戌初。浙東潮子長卯平。汐午長酉平。江北潮卯初汐酉初。
二十二日曰大折只。祖江潮巳初汐亥初。浙東潮子長卯平。汐午長酉平。江北潮卯正汐酉正。
二十三日曰少音。祖江潮巳中汐亥中。浙東潮丑長辰平。汐未長戌平。江北潮卯末汐酉末。
二十四日曰水衰。祖江潮巳末汐亥末。浙東潮丑長辰平。汐未長戌平。江北潮辰初汐戌初。
二十五日曰一水?。祖江潮午中汐子中浙東潮寅長巳平。汐申長亥平。江北潮辰正汐戌正。
二十六日曰二水?。祖江潮未初汐丑初。浙東潮寅長巳平。汐申長亥平。江北潮辰末汐戌末。
二十七日曰三水?。祖江潮未中汐丑中。浙東潮卯長午平。汐酉長子平。江北潮巳初汐亥初。
二十八日曰四水?。祖江潮未末汐丑末。浙東潮卯長午平。汐酉長子平。江北潮巳正汐亥正。
二十九日曰五水?。祖江潮申上半。汐寅上半。浙東辰長未平。汐戌長丑平。江北潮巳末汐亥末。
三十日曰六水?。祖江潮申下半。汐寅下半。浙東潮辰長未平。汐戌長丑平。江北潮子初汐午初。

[ 硏經齋全集外集卷四十五  地理類 祖江濤志]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