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역학동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명리마당 용신이 상신을 겸하는 격국
인당 전우창 추천 2 조회 353 24.11.18 06:14 댓글 4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4.11.18 06:50

    첫댓글 예 그러니까 명칭은 건록용식격으로 부르면 되는가요.
    원장님 한가지 문의 합니다.

    혹 자평진전에 음일간에 록겁지격 예로 든 것 있으면 올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작성자 24.11.18 06:57

    예. 그렇게 부를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양 일간의 록겁은 '건록격'이라고 하고
    음 일간의 록겁은 '월겁격'이라고 하므로

    월겁격을 논한 부분을 찾아보시면 될 듯합니다.

  • 작성자 24.11.18 07:00


    음 일간의 월령이 겁재인 경우 즉
    월겁격의 사례입니다.

    "禄刦用煞 必須制伏. 如婁參政命 丁巳, 壬子, 癸卯, 己未 壬合丁財以去其党煞 卯未會局以制伏是也."

    "록겁용살인 경우, 반드시 칠살을 제복해야 한다. 가령 루참정의 사주 丁巳 壬子 癸卯 己未에서, 壬이 丁 재를 합하여 당살을 제거하고, 卯未가 회국하여 칠살을 제복한 것이 그렇다."


    己 癸 壬 丁
    未 卯 子 巳 루참정

  • 24.11.18 07:10

    록겁에 칠살이 투간했을때 식상으로 제복시킨거나 같군요.

    고로 사흉신 칠살을 역용한 것죠.

  • 작성자 24.11.18 07:12

    @兼山
    그렇습니다.

  • 24.11.18 07:16

    @인당 전우창 혹 고전중에 사흉신과 사길신 나눈것 자평진전 말고 또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 작성자 24.11.18 08:48

    @兼山
    십신을 흉신으로 다루거나 길신으로 다룬 내용은 오래된 고전에서부터 그 기록이 있었습니다만,

    '사길신'과 '사흉신' 이라고
    그것을 분류하여 집단을 정해 놓은 것은 경촌집(자평진전)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미 있던 고서의 길흉신 취급 내용을 격국법이 다시 정리하여 분류했을 뿐이니,

    원류는 더 오래된 여타의 고서들에 그 뿌리가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 24.11.18 07:25

    벌써 날이 밝았군요.
    이제 다시 비록 조그만 놀이터 같지만 나에게는 貴重한 것이니 나아가야지요
    .
    새롭게 한주일 시작합니다.
    여러므로 배우는 바가 많으니 감사합니다.

    원장님 항상 좋은 일만 있길 바람니다.

  • 작성자 24.11.18 08:17

    감사합니다.

  • 24.11.18 09:22

    其禄刦之格無財官 而用傷食
    록겁격용식상

    丙 甲 丙 甲
    寅 子 寅 子
    록겁용식

    록겁이 용신이고 식신이 상신이다

    庚 庚 庚 癸
    辰 子 申 卯
    록겁용상

    록겁이 용신이고 상관이 상신이다

    양 일간의 록겁은 '건록격'이라고 하고
    음 일간의 록겁은 '월겁격'이라고 하므로

    --록겁격이라 부르면 됩니다

    월겁격이라는 용어는 없습니다[이것도 개인이 만들어낸 용어입니다}
    자평진전에 음일간은 월겁격이라고 부른데가 없습니다
    록겁격이라 불렀습니다

    왜냐하면
    월겁격이라하면
    진토에서 을목투간한 것도 월겁이라 부를 수가 있기 때문에
    월겁격이리 하면 안됩니다

    O갑O을
    OO진O





  • 24.11.18 09:24

    예 안녕하세요,
    祿劫은 建祿과 劫財를 말함이나 나누어서 구분해야 될것이라 봅니다만 .
    어찌 생각 하시는지요

  • 24.11.18 09:30

    @兼山 월겁격이란 게 없어요
    책에서 월겁격이라 부른 자체가 없기 때문이죠
    책에도 없다는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겁니다
    이유를 알고 쓸 것과 말 것을 구분지어야 합니다

    월겁은 말씀드렸듯이

    O갑O을
    OO진O

    이걸 월겁이라 말해요

    그래서 본인들이 생각하는 월겁격과 록겁격과 전혀 다른 겁니다
    즉 월건이 잡기인 진토에서도 나올 수가 있는데
    이게 건록월겁격이 아니죠

    월겁격은 그래서 사용 못하는 겁니다
    록겁격이라고 통칭해서 부르고 있습니다

  • 24.11.18 09:37

    @兼山 祿劫은 建祿과 劫財를 말함이나 나누어서 구분해야 될 것이라 봅니다

    책에서 말하길
    녹(祿)은 곧 비겁이 되지만 천간에 투출한 것은 녹이 아니다.
    그러므로 건록월겁은 동일한 격으로 볼 수 있으며, 굳이 나눌 필요가 없다

    이렇게 분명하게 밝혔잖아요

    그러면 그대로 따르면 아무 이상이 없습니다

    굳히 구분할 필요가 없는데
    뭐하러 구분해야 할까요

    祿劫用官印護者,
    祿劫用財而帶傷食
    祿劫用殺食制
    若用殺而帶財
    祿劫而用傷食
    祿劫而官殺並出,

    모두 록겁격이라 통칭하고 있어요
    월겁격이 없습니다

  • 24.11.18 09:42

    @갑진 12운성 봐도 건록과 겁재[제왕]은 다른데 어찌 같은 이름이라 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록겁용살의 번역은 건록과 겁재는 살을 쓰는데 [투살했을때] 제복해야 된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 24.11.18 09:45

    @兼山 일단 록겁격에서는 음간양간을 분류하지 않고 있잖아요

    분류 안한다는 이유도 설명하고 있고요

    개인이 의심하여 분류하면
    그때부터 엉뚱한 길로 가는 겁니다

  • 24.11.18 09:46

    @兼山 건록은 록을 세운것이고, 겁재는 그냥 월에 겁재인데 어찌 월겁의 명칭이 잘못인지요.

  • 24.11.18 09:49

    @兼山 何謂透干?如甲生辰月,透戊則用偏財,透癸則用正印,透乙則用月劫是也

    透乙則用月劫是也


    본인이 생각한 월겁격이 아닌데에도 월겁이 이와같아요

    그래서 월겁격이라 하면
    透乙則用月劫是也=갑일간이 진월에서 을목 투간하였다 이게 월겁이다

    월겁은 갑일간이 진월에서 을목 투간한 경우를 말할 수가 있는 겁니다
    이게 월겁격인가요

    그래서 월겁격으로 분류를 못하는 겁니다

    이유가 있기
    때문에 그런 것이니까
    잘 연구해보세요



  • 24.11.18 09:50

    @兼山 저는 그래요 건록이나 겁재는 격은 되나 용신은 아니다 이리 이해됩니다.

  • 24.11.18 09:52

    @兼山 책에서 아니라고 합니다

    본인이 책을 이해못하는 겁니다 그렇다고
    책이 엉터리는 아니죠
    나는 다 이해가 되거던요
    이해된 분들이 더 많습니다
    고로 책에는 문제가 없어요

  • 24.11.18 09:53

    @兼山 님이 장구한 연구를 해왔는데에요

    왜 진도가 안나가는 하는~
    그 이유를 알아야 합니다

    정법대로 배운 사람만이
    명리의 길이 열려집니다

    하늘에서 정법의 길을 오는 사람에게
    스스로 모습을 드러냅니다

    만약 엉터리이면
    하늘문을 닫혀 열리지 않아요

    이걸 명심하셔야 합니다

  • 24.11.18 09:54

    @갑진 예 투간자 이해는 됩니다.

  • 24.11.18 09:55

    @兼山 금강경에도 말합니다

    500세 이후에 이런 글을 이해할 자가 나타나겠습니까?
    그런 말하지 말라 수보리야

    그런 사람은 과거세에 한 부처님만 모신 게 아니라서
    수천 수겁동안 이 말을 듣고 왔기 때무넹
    나의 이말을 듣고 바로 믿음을 내느니라

    명리학도 마찬가지에요
    왜곡되지 않고
    정법을 하게 되면 저절로 모습을 드러나게 됩니다

  • 24.11.18 09:58

    @兼山 자기 생각들을 버리셔야 합니다

    록겁격에서 격따로 용신따로

    그런 대목이 일체 없습니다

    그런데에도 왜 이상한 생각들을 하는지 모르겠군요

  • 작성자 24.11.18 09:21

    격은 대체로 용신과 같습니다.

    그러나 격과 용신이 다를 때도 있습니다.

    이걸 이해하지 못하면

    격국 엉터리를 벗어나지 못하며

    자신이 엉터리인지도 모릅니다.



  • 24.11.18 09:59

    자평진정에서 격과 용신이 같다 이 부분에 초학자 혼란이 많은 것 같은데
    이 부분을 뚜렸하게 분간한 내용이 있으면 올려 주셧으면 하고요. 다른개념이다 역시내용을 올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24.11.18 10:02

    @兼山 그런 부분 없습니다
    있으면 제가 먼저 공개했겠지요

    격다로 용신따로

    이건 창작 소설가들이 만들어낸 허상입니다

    그런 허상을 따라 명리학하면
    어찌 발전을 하겠나요

    정신들 차리셔야 합니다

  • 24.11.18 09:38

    격과 용신이 다르다는 내용이 있는 고전의 구결있으면
    올려 주세요

    증명도 못하면서 자기들이 창안해 내 놓고 완전 바닥을 어지럽게 합니다

    아래 증거물을 올려 증명하시기 바랍니다
    책에도 없는 용어들을 마구 잡이로 만들어 퍼뜨리니

    1 ~~ 용겁
    2 격따로, 용신따로
    3 용신=상신 동일하다

  • 작성자 24.11.18 10:00


    월령 비겁은 용신이 될 수 없습니다.

    다만 격은 될 수 있습니다.

    일간 본신과 동일한 오행은 용신이 될 수 없다는 게

    원칙입니다.

    입문자 분들은 명심하셔야 합니다.





  • 작성자 24.11.18 10:01

    고전의 어떤 책도

    비겁을 용신으로 쓴 경우는 없습니다.




  • 24.11.18 10:03

    그럼 정답이 나온 겁니다

    첵이 엉터리이다

    이렇게 나올 차례이군요

  • 작성자 24.11.18 10:20

    록겁이 월령을 용신으로 쓸 수 있었다면

    굳이 재관살식을 따로 찾으라고 말할 필요가 없지요.

    이해력이 있어야
    격국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 24.11.18 10:06

    재관살식
    만 아니라
    8개를 모두 찾아야겠죠

    본인 말로는 ~용겁도 된다고 하니까요

    그럼 살상겁인 재관인식

    모두 등장해야죠

    무슨 재관살식만 해당되겠나요

    앞뒤가 하나도 안 맞는 말들을 하고 있네

  • 24.11.18 10:05

    제발 정신들 좀 차리세요

    이런 허망한 셍각들을 하시니까

    명리가 제자리 아닙니까

    누구는 10년 전 보다 일취월장했습니다

    그런데 댁같은 분들은

    제자리 걸음들 아닙니까

    이런 엉터리를 만들어 배우는데
    무슨 명리가 열리겠습니까

    시간 낭비들 하게 만드십니다

  • 작성자 24.11.18 10:07

    건록과 월겁은 어차피 월령을 용신으로 쓰지 못하기에 같은 격으로 취급합니다
    그래서 록겁으로 둘을 뭉쳐 놓았습니다.

    분리하면 건록과 월겁은 다릅니다.





  • 24.11.18 10:15

    용신은 사흉신이 있는데
    살상겁인이다
    곧 칠살,상관, 겁재, 양인을 4흉신의 용신이라 한다

    이미 도입부분에서

    사흉신으로 용신을 구명했는데

    무슨 딴 소리 하시는지요

  • 작성자 24.11.18 10:09

    격국법은 반드시 이해력이 있어야 배울 수 있습니다.


    월령 비겁을 용신으로 쓰면 안 된다는 걸 이해하지 못하면

    100년을 익혀도

    엉터리가 될 뿐입니다.




  • 작성자 24.11.18 10:17

    입문자 분들은 반드시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이미 엉터리가 된 분을 고치기 위해
    제가 글을 쓰는 게 아닙니다.

    입문자 분들을 위해서
    글을 씁니다.


    그 증거는
    양인용재격에 함축되어 있습니다.
    재성은 용신이며, 상신이 아닙니다.

    월령이 용신이 아니라는 증거입니다.





  • 24.11.18 10:16

    입문자분들 위해 쓸 게 아니라 정작 본인을 위해

    바른 길로 나가세요

  • 24.11.18 10:15

    저는 앞으로 현존 실전 사례를 들면서 각종 격국 토론하면 좋을 것이라 봅니다.
    각자 이해 정도가 다르니 각자의 통변에 맡기고 너무 천지자연 생극제화 이치 어긋나면 스스로 분간하리라
    봅니다. 토론하다보면 이해의 충돌이 있을수 있으나 도리어 발전의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 24.11.18 10:19


    불교경전에서도

    의사가 이미 처방해 놓은 약재가 기록되었있는데
    내가 있으나 마다 책을 따라 배워라고 당부하였죠

    자기 견해가 고전에 존재하는가
    가/부를 검토하려고 고전을 들여다 보는 겁니다

    고전은 이렇게 사용하는 겁니다

    책에 없는 용어들을
    마구잡이 사용하면
    안되는 겁니다

    특히

    격따로 용신따로

    이런게 어디 있습니까?

    이런것은 견해 차이가 아닙니다

    엉망인 것이죠

  • 24.11.18 10:21

    예를 들어 록겁격에서

    록겁이 용신이 아니라면
    상신은 도대체 어디에 존재하나요
    상신이 용신이라고 따들던데
    전구용신 월령입니다
    상신이 용신이라면
    그 용신들이 하나같이 월령이 뿌리가 없어요

    이것 하나만 놓고 보아도 수비게 알 수 있습니다

  • 24.11.18 10:24

    癸癸戊庚
    亥酉子戌

    록겁용관에서 소개한 정승사주입니다
    록겁이 용신이고 정관이 상신이죠

    그런데 록겁이 격따로 라고 하면
    상신이 무토 정관이 용신이라는 말인데

    무토 용신이 자수에 뿌리를 내렸나요

    전구용신월령을 위배한 겁니다

    ㅇ요신은 월령에 근기가 있어야 한다는 용신법에 저촉이 되는 겁니다

    이것 하나만 보면 바로 이해가 되는 겁니다

  • 24.11.18 10:25

    @갑진 갑진님 말씀 충분히 이해합니다.
    각자마다 공부의 정도 차이가 있으니 널리 이해 해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명리의 발전은 이론을 바탕해서 실전에 쓰고자 함이니 앞으로 간혹 실전 명조 올려지면
    바르고 좋은 격용통변 부탁드려봅니다.

  • 24.11.18 10:27

    @兼山 그럴 필요 없어요

    시간낭비하는데 쓸 여력이 없으니까요

    정도 껏 해야죠

    말도 안되는 소설가 주장을 하는데
    내가 거기에 웨 편승하겠나요

    논쟁도 합리적인 주제가 나와야 하는 겁니다

    격따로 용신따로

    이게 고전에도 없는 대목이죠

    헤괴한 주제를 가지고 무슨 토론을 한다고 하나요

  • 작성자 24.11.18 10:21


    록겁이 월령을 용신으로 쓸 수 있었다면

    굳이 재관살식을 따로 찾으라고 책이 강조해 말할 필요가 없지요.

    상식 수준의
    이해력이라도 있어야
    격국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 작성자 24.11.18 10:39


    록겁은 정식 십신 명칭이 아닙니다.

    록겁의 본성은 비겁입니다.

    비겁이 월령이면 용신으로 쓸 수 없습니다.

    이건 명리의 원칙입니다.

    그래서 재관살식을 따로 찾아야 한다고

    책이 강조했습니다.

    아주 간단한 사실입니다.
    상식 수준의 이해력만 있으면 이해할 수 있는 이론이죠.





  • 24.11.18 10:50

    비견은 용하지 못하나 비겁이 월건에서 만나 록당을 지으면 건록자로 용신이 사용가능하다
    ----------


    건록자(建祿者)라는 것은 월건(月建)에서 록당(祿堂)을 만난 것이다. 록(祿)은 곧 겁재(劫財)이다. 혹 록당(祿堂)의 성분이 천간에 투출하면 이것은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된다. 그러나 비견은 용할 수가 없는데 록당의 무리가 아닌 것은 용신이 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고로 건록과 월겁은 동일한 격이 될 수 있으니 나눌 필요가 없다. 비견이던 겁재이던 모두 록당에서 천간으로 투간하고 회지하면 다른 곳의 재관살식을 상신으로 용하면 된다.[

  • 작성자 24.11.18 10:53

    양인격과 록겁격은

    죽었다 깨어나도 월령이 비겁이라서 월령을 용신으로 못 씁니다.

    그래서 격과 용신이 다른 겁니다.

    상식 수준의 이해력도 없거나, 머리가 안 돌아가면
    이해를 못 하는 것입니다.






  • 24.11.18 10:54

    앞으로 책을 써서 출판할 예비 명리학인들께서는 알아주세요

    1 ~~ㅇ용겁
    2 격따로 용신따로
    3 용신=상신이 동일하다

    이러한 주제는 허망한 겁니다

    오래동안 역동의 논쟁을 보아 오신 학인이라면 아실 겁니다
    이러한 주제는 현째까지도 뚜렷하게
    고전에서 확인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게 분명하죠

    그래서 이런 주제는 건드리지 않는 게 상책입니다

    잘못하면 이미 출판한 책들이 역공을 당할 수 있으니까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