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100대 명산이며 지리산, 무등산과 함께 호남의 삼신산(三神山)이라 불리며 고창의 진산인 방장산을 다녀왔다.
남한의 최고의 산인 지리산은 두류산 또는 방장산으로도 불리는데, 지리산의 또다른 이름으로도 불리우는 방장산(方丈山)은
최고의 어른, 수장을 뜻하는 최고의 산으로 예전에는 방등산, 반등산 등으로도 불렸으며 장(丈)자를 문(文)자로 오역해 방문산이라고도 불리었단다.
전남 장성군 북이면, 고창군 고창읍과 신림면, 정읍 입암면을 접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산악회는 장성 갈재에서 고창 양고살재로 횡단하는 코스를 이용하는데 나는 혼자기에 정상에서 되돌아 오는 코스를 택했다.
양고살재-방장사-갈미봉-벽오봉-억새봉-임도-정상-봉수대 ; 왕복4시간

호남고속도로 정읍에서 장성을 통과하는 호남터널 전에 우측으로 보이는 방장산 동쪽의 쓰리봉.

전주 삼천동에서 출발해 고속도로를 이용해 백양사 IC 통하면 고창 양고살재에 40분이면 도착한다.

양고살재-고창읍과 장성 북이면의 경계로 병자호란 때에 청나라 누루하치의 사위 양고리가 조선의 박의장군에게 목이 잘린(살해된) 자리라고 한다.


출발은 경사가 있다.


방장사- 원래는 임공사(臨空寺) 였는데 임공사가 산 밑으로 옮겨서 방장사가 생겼단다.
임공사는 미소사로 개명해서 인터네 자료나 안내책자 등은 방장사와 미소사의 주소나 위치가 제각각이다.

석정마을에서 본 방장사


갈미봉에서 본 문수산-고창에서는 문수산(621m), 문수사에서는 청량산, 장성에서는 축령산이라 부른단다.
청량산은 호남최대의 문수도량 문수골이 있으며 국내 최초로 천연기념물인 단풍나무 숲길이 유명해 TV "1박2일" 이승기가 소개한 산이며, 장성군 서삼면 축령산은 4~50년생 편백나무 숲이 있어 이국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고창에서 양고살재로 가는 길-양곱창처럼 꼬불꼬불

석정 웰파크 시티-예전에 석정온천 주변에 웰빙도시를 개발하고 골프장과 스파시설을 한 일종의 실버타운이다.

문너머재-고창읍에서 바로 오는 길이다.


갈미봉부터는 평탄한 능선길로 이어지다 벽오봉 직전부터 오르막이다.

방장동굴-도적들의 소굴로 많은 아낙네들을 납치해 이곳에 가두어 놓았으며, 하루빨리 가족이 자신을 찾아오길 기다리며 노래를 했다는 고려사 '악지'에 전하는 백제가요 다섯편 중 하나인"반등산가"가 있는데 그노래의 무대이단다.

벽오봉-많은 자료들에서 방문산이라고 잘못 표기되어 있다.

벽오봉에서 본 고창읍- 고창읍내가 가장 잘보이는 곳으로 반대로는 고창에서 방장산은 벽오봉만 보인다.
날씨가 좋을 때는 서해바다가 보인단다.



억새봉- 원래는 억새가 많았으나 패러글라이딩 활공장으로 개발하며 잔디가 심어졌단다.

억새봉에서 본 신림면

억새봉에서 본 정상



억새봉에서 정상으로 가는 편백나무 숲길

근육나무

신림면 용추폭포로 넘어가는 고창고개


정상가는길

방장산정상

정상 북서쪽으로 선운산과 줄포 갯벌 변산반도가 보인다.

북쪽의 정읍 평야

정상에서 본 봉수대,연자봉,쓰리봉


봉수대 가는길



봉수대-예전에는 봉화를 전달하는 곳이였기에 사방이 막힘이 없어 정상보다 전망이 좋으며 현재는 헬기장으로 사용한다.
정상보다 높이가 더 높았으나 한국전쟁시에 폭격을 맞아 높이가 줄어들었다 한다.

봉수대에서 본 쓰리봉-방장산의 제일 동쪽 봉우리이며 봉수대에서 가깝게 보이나 거리가 2킬로가 넘으며 보기드문 영어이름의 봉우리로 유래는 알 수가 없다.
시간관계상 하산을 하기위해 봉수대에서 발길을 돌려서 쓰리봉 등반을 못해 마음이 쓰리다.



미소사(微笑寺)-전에 방장사 자리에서 임공사였는데 자리를 옮기고 현재의 이름을 사용하며,이심전심과 비슷한 말로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한다"는 염화미소(拈華微笑)의 뜻이 있는것 같다.
요사체-미소가 아름다운 주지스님이 기거하는 곳으로 통나무학교 출신의 신도들이 재료값만 받고 지어줬단다.

도깨비도로-석정마을 입구에 고창에서 양고살재로 오르막길이 실제로는 약간의 내리막길 이다.

방장산 북쪽의 신림저수지에서 본 방장산

내장산 IC에서 본 방장산 석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