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쁘다는 핑계로 많이 늦어졌네요
이미 며칠 전 A형 기입형 모범답안 작성 후에 신속하게 이 자료도 제공했어야 하는데
내년 1-2월에 사용할 교재 개편작업이 많이 방대해진 나머지 거의 시간을 못냈었습니다
그러다다 이제 오늘(토) 기출문제 해설 강의도 있고 해서 마저 마무리 하려는 의도로 조금 급하게 작성했습니다
아마 오전 10시에 강의 시작하기 전에 부분적인 문구 수정 등이 있을 지는 모르겠습니다
지난 번에 보내드렸던 기입형 문제 중에서도 10, 14번 등은 여전히 문제 자체가 논란의 소지가 남아 있다고 느끼고 있고
오전에 강의할 때도 가능성 있는 부분들을 좀 두루 언급할 참입니다
일단 텍스트 파일로 아래 오려붙이기 할 테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오늘과 내일 14-15일 사이에 우리 카페의 이 게시물에 A, B형 전체 일부 문구 수정 포함한 완성 답안 올리겠습니다)
A- 서술형
1
The current news style is characterized as personalizing human-interest news instead of treating it in wider, social perspectives. It does not analyze the current issues deeply. Great literature and theater, on the other hand, leads people to consider issues in moral and social terms.
현재의 뉴스는 다분히 사적이고 협의적인 차원에서만 사건들을 다루지만 (1.5점) 위대한 문학이나 영화는 좀 더 심오하게 도덕적, 사회적 차원에서 사건들을 다룬다는 게 핵심 (1.5점).
2.
The conversation in <B> derives from the sequence of interactional moves because it lacks proper preliminary moves and includes too lengthy negotiation about the request. Jisu uses the strategy of question for clarification (clarification request) when she cannot understand Kelly as in “Sorry” or “What was that?”
A에서 명시한 interactional moves의 여러 조건을 살핀 후 그 중에서 B의 대화문 가운데서 위배되고 있는 부분을 찾아 지적하고 설명하는 게 첫 과제의 관건. (1.5점) [이 대화문에서는 위배 사항이 두 개는 되는 바, 한 가지만 서술하면 –1]
그 후 지수가 켈리의 말을 한 번에 이해하지 못했을 때 사용한 보상 책략을 대화 속의 예시를 제시하며 식별하면 됨. (1.5점) [책략만 맞게 식별하거나 대화 본문 속의 예시만 제시하면 –1]
3.
The textbook most suitable for Mr. Park is Textbook B because it is scored highest in the points related to authentic tasks. It is verified in that Textbook B is marked as point 3 in ‘role-play – real life situation’ and ‘group project’. These tasks focus on conveying meaning outside the classroom.
비교적 쉬운 문제, 자료에 충실하면 됨
자료 A에서 줄곧 교실 밖의 진정성 있는 소통과 그를 위한 의미전달에의 집중을 말하고 있으므로 이에 근거하여 그 목적에 부합되는 항목에 높은 점수를 받은 교과서를 채택하면 됨.
채점 기준: 교과서를 올바르게 식별해 내면 1점 + 그렇게 된 이유를 체크 리스트에서 찾아내면 1점 + 체크 리스트의 그런 항목이 갖는 의의를 서술하면 1점
4.
The underlined parts in (2) and (3) are regarded as constituents when we consider the tests of substitution and movement. As for (2), both substitution and movement are applied: the underlined part is replaced with the pronoun ‘them’ (or ‘those’) and it undergoes rightward movement because of its heaviness (because it is a heavy NP). In (3), though the underlined part may not be moved as in ‘.. *crowded with ___ from Asia ..’, it can be substituted with the pronoun ‘those’.
이 문제는 지시 사항이 다소 혼란스러운데, movement and/or substitution이라는 말은 결국 답인 되는 문장 중 두 테스트 다 충족시키는 것과 두 테스트 중 하나만 충족시키는 것이 있음을 가리킨다. 답이 안 되는 나머지 두 문장은 결국 두 테스트 중 아무 것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된다.
채점 기준: (2)와 (3)을 바르게 식별하면 1점 (한 개에 0.5점) + 각 문장의 밑줄 부분이 성분이 되는 이유를 적절히 설명하면 1.5점*2=3점
5.
Requirement 2 posits that only anterior sound can occur before the suffix ‘-al’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coronal or not. The phonemes ‘th’, ‘v’ and ‘t’ are all anterior sounds while ‘k’ and ‘ch’ phonemes are not anterior sounds.
Requirement 3 generalizes that the sequence of ‘stressed vowel + sonorant + anterior (here, labiodental, dental or alveolar)’ is licences as the legal pattern before the suffix ‘-al’ as in the upper row. The data set in the lower row, however, includes obstruent sounds in the place of sonorant sounds, therefore unacceptable.
이건 매우 어려운 문제임. (아마 대부분 4점 만점에 2점대나 그 이하에 머물렀을 수도)
Requirement 3가 어려운데 이와 관련해서는 오래 전에 Siegel (1979: 164-168)에서 이런 경우 접어 첨가 조건을 아래와 같이 정식화 했음에 주목하면 일단 핵심은 다 들어간 것임.
강세 모음 + (공명음인 자음) + 순치음, 치음, 치경음 중 한 개
괄호는 optional
Requirement 3에서 윗 줄은 이 조건을 다 준수한 데이터들이라 적형이 되고
아랫 줄은 이 조건을 어김, 특히 중간에 비공명음인 자음이 옴
그리고 이런 것들 역시 Requirement 2에서와 마찬가지로 Anterior 속성 연결해서 설명됨
채점 기준: Requirement 2에서 적형이 되는 곳 이유 설명 (1점) + R2에서 비적형이 되는 곳 이유 설명 (1점) + R3에서 적형이 되는 곳 이유 설명 (1점) + R3에서 비적형이 되는 곳 이유 설명 (1점)
6.
The teaching procedure in <B> focuses on The Lexical Preference Principle in that it deals with the problem of focusing on only meaning while ignoring the linguistic form, the past tense marker ‘-ed’ in this case. The structural input activity in <B> contributes to students’ correct processing of the target form for meaning in that it provides them with the opportunity to notice the target form ‘-ed’ while they are checking whether each example sentence includes a present or past verb form.
채점 기준: <B>의 교수 절차가 집중하는 원칙이 어휘 선호 원칙임을 찾아냄 (0.5점) + 이 원칙이 해당되는 데 대한 적절한 이유를 서술 (1점) + <B>에서의 구조화된 입력 활동이 학생들이 대상 형태를 적확하게 인식하는데 도움되는 근거를 적절히 서술 (1.5점)
바로 어제 아침 처음 올린 B형 모범답안에 이어
A형 기입형도 추가로 올립니다
1-2일 이내에 A형 서술형도 마저 완성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여기 올리는 자료 속에는 A형의 영어학 서술형에 대한 설명도 간략하게 말미에 언급은 했습니다
일단 문항 수가 적은 B형부터 완성해서 올립니다 (12월 9일 0시 35분 현재 초안 상태입니다)
첨부된 pdf 파일을 내려받아서 보시면 됩니다
이번 시험은 B형을 더 쉽게 체감한 듯 합니다
물론 문제 자체는 쉽게 나온 것 맞습니다
하지만 작년에도 역대 최약/최저 난이도의 논술고사를 보고 나왔다고 다들 좋아하긴 했지만
나중에 최종 합격 발표 후 확인한 결과 점수는 매우 낮게, 짜게 나온 일이 거의 대부분이었습니다
올해도 만약 본래의 채점 기준표대로 에누리 없이 적용하면 작년 비슷한 결과도 가능합니다
물론 바뀐 시험 제도의 첫 해이기도 하고, 임용 시험을 어렵게 내는 것을 지양하자는 취지를 살리는 차원에서
출제에 못지 않게 채점도 너그럽게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어쨌든 신중하게 판단해서 가채점 해보려면 이 기준표에 나와 있는 지적들
특히, 이 문제는 답이 뭐다 하는 부분에 머무르지 말고
각 문항별로 주제/핵심을 구체성 있게 서술하는 부분이라든지
핵심만 썰렁하게 툭 던져놓고 뒷받침이 부실한 문제라든지
그런 부분까지도 고려해서 가채점 하시는 게 훨씬 현명하다는 것, 미리 말씀 드립니다
어제 저녁에 원래는 예정에 없던 두 어번의 개인 약속을 진행하느라
조금은 서둘러 서술된 감이 있습니다
부분적인 오타 등 오류가 발견되면 속속 수정본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분들의 건승, 합격을 기원합니다!
(A형은 내일부터 두 세 번에 나눠서 올립니다. 답 길이는 짧아도 문항 수가 많고, 또 요새 제가 내년 상반기 학원수업용 교재 작업을 마무리 하느라 시험 끝난 후에도 바쁘고, 당장 1주 후부터는 2차대비 면접 수업실연 준비작업도 분주해서 조금씩 지연되더라도 너무 화내지 마세요 ㅎㅎ)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해요 :)
감사합니당!!
감사합니다!
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해요^^
최고!!
바쁘신 중에도 감사드립니다.
감사해요!!!
감사합니다 샘^-^ 그리고 한 해 동안 정말 바쁘게 첨삭하시고 강의하시느라 넘 고생하신 것 같아요...정말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올해 포기하지말고 공부를 했더라면,, 하고 후회가 밀려왔던 시간이었습니다...
개인적인 일로 바빠 공부를 못했지만 요번 시험을 보면서 선생님과 작년에 2차공부했던 것이 큰 도움이었습니다. 감사드려요.
기회가 된다면 또 공부하고 싶네요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페북에서 얼핏 보니까 혹시 결혼하신 거 같던데 축하드립니다 ㅎㅎ
(아이디를 보니 작년에 오래 나오셨던 박__ 선생님 같아서 추측으로 하는 말이긴 합니다만..)
분명히 기회가 오면 임용 합격할 수 있습니다
@김재균(김규식) 기억하시나요? 영광이에요^^ 정말 감사드리고 기회되면 꼭 찾아뵐게요 교수님께서도 좋은 소식 있으시길 바래요^^
@jjina2233 네 맞군요 ㅎㅎ 페북 사진 가끔 보면 박선생님 커플 참 잘 생기고 아름답게 생긴 정말 선남선녀 커플입니다. 저도 박선생님과는 또 다른 스탈의 아름다운 분과 만나고 있는데 좋은 소식 결정되면 알려드리지요 ㅎㅎ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로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
화안내요 ㅋㅋㅋㅋ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공개특강에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잘 참고하겠습니다^^
교수님...정말 꼼꼼하신듯...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자료 잘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열공할께요 ^^
정말 감사합니다. 잘 보겠습니다. 논술이 정말 막막했는데 많은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정말 항상 감사합니다. 김재균 교수님 화이팅
정말 감사해요 . 교수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